본문 바로가기
문학

신유복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8. 17.
반응형

신유복전 

신유복전

신유복전 설명

이 작품은 고전소설 낙성비룡과 비슷한 내용입니다. 무대가 중국의 명나라에서 한국의 조선시대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낙성비룡의 개작본으로 추측됩니다. 아내가 남편을 출세시키는 내용은 고전소설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상입니다. 또한 주인공 신유복이 청병교수가 되어 명나라를 구원한다는 내용은 한국의 국력을 중국에 과시하려는 민족적 긍지와 자주독립정신을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작가는 신유복의 입을 통해 변방의 호국을 격파하고 명나라를 위기에서 구출함으로써 조선국의 위력을 세계에 빛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후반부 영웅담을 제외하면 대체로 모든 사건이 현실적으로 표현돼 있고 전기성이나 우연성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요컨대 이 작품은 거지 신유복에 대한 여주인공 경패의 희생적인 사랑과 남자주인공 신유복의 영웅적인 행동을 통해 우리 민족의 능력과 위력을 보여준 작품이라 할 수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신유복의 인생역전이 가능했던 이유는 결국 과거에 합격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8년이라는 오랜 시간 열의를 가지고 공부하다가 과거에 합격한 뒤 이전에 자신을 내팽개친 장인, 장모를 공손히 모시고 자신을 거지라고 멸시하던 동서까지도 자신의 부임지로 불러 용서하고 화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처럼 타인을 위한 마음이 결국 자신을 더 큰 인물로 만들어 영웅적인 면모를 보이게 된 것입니다.

신유복전 주제

신유복전 주제는 신유복의 고난 극복과 영웅적인 행적입니다.

 

신유복전 줄거리

주인공 신유복은 전라도 무주에서 신진사의 유나로 태어납니다. 다섯 살에 어머니마저 돌아가시고 고아가 되고 시비의 춘매에 의해 양육되지만 아홉 살 때 춘매까지 죽으면 사방으로 유랑, 거지가 됩니다.그리고 경상도 상주땅에 이르러 우연히 상주목사를 만나게 됩니다. 목사는 그의 비범함을 알고는 호방이 섬을 불러 사위로 삼게 합니다. 이 섬은 목사님의 엄명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유복을 데려오는지 온 가족이 그를 쫓아내라고 합니다.하지만 셋째 딸 경패가 유복이와 혼인하겠다고 나서자 온 가족이 두 사람을 쫓아내고 맙니다. 그들은 뒷산 기슭에 움막을 짓고 거지를 하며 살아요.하루는 경패가 유생들에게 수학할 것을 권하고 7년 기한으로 헤어집니다. 

 

7년 후의 유복은 과거에 응하기 위해 상경합니다. 과장으로 두 동서를 만나 온갖 모욕을 당하지만 결국 유복이는 과장으로 급제하고 두 동서는 탈락합니다.유복은 수원부사가 되어 상주로 향하여 전날 자신과 아내를 홀대하였던 장인·장모와 처형·동서를 은혜로 대접하였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전날의 푸대접을 뉘우칩니다. 유복은 그 길을 고향으로 찾아가 선영에게 성묘·치제하고 수원에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었습니다. 조정에서 신부 선정을 듣고 병조판서를 제출합니다.이때 명나라는 변방의 오랑캐들이 침공해 오자 한국에 원병을 요청하게 됩니다. 유복은 청병대장으로 명나라에 들어가 명군과 아군을 연합한 대원수가 되어 호군을 격파하고 우리의 위력을 중원에 과시합니다. 신원수는 명나라 황제로부터 위나라 공의 책봉을 받고 회군합니다.

신유복전 핵심 정리

조선시대 신유복의 영웅적인 일대기를 잘 보여주는 고전소설입니다. 아버지의 꿈에 선관이 나타나 점치고 태어난 신유복은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상주 목사가 그의 인물임을 알아보고 호장의 딸인 경패와 혼인시키지만 가난하다는 이유로 경패와 함께 집에서 쫓겨나 고난을 겪습니다. 

 

그러나 경패의 의지로 유복이 학문을 닦고 입신출세하여 나라를 구하는 것은 물론 위기에 빠진 중국을 구하는 등 영웅적인 활약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복의 비범한 영웅으로서의 행적을 보여주고 흥미를 느끼게 하는 한편 민족적 자부심을 잘 나타내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시문에서는 신유복이 어려 부모를 잃고 유리한 거지를 하며 고난을 겪지만, 경패와 혼인을 하면서 과거에 급제하여 입신출세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유복전 특징

시점은 전지적 작가의 시점입니다.서술자의 개입을 통해 독자의 이해를 돕고 주제의식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쫓겨난 여성을 운 좋게 만들어 복을 가져다준다는 발복설화를 받아들입니다. 전기성이나 우연성이 드물기 때문에 독특합니다. 고아 신유복이 병조판서와 위국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립니다. 

 

인물이 명나라를 구하는 부분을 통해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으려 합니다. 희생적인 사랑으로 남편을 영웅으로 만드는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여성상을 구현합니다. 고전소설 <낙성비룡>과 내용이 비슷하여 <낙성비룡>의 개작본으로 추측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