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사횡입황천기
삼사횡입황천기 설명
《삼사횡입황천기》는 조선후기에 세워진 작자미상의 한글소설로 1848년(헌종 14년) 간행된 삼설기(삼설기)》 에 실려있는 소설입니다. 세 선비가 아직 수명이 남았는데도 저승사자의 실수로 황천으로 끌려가 염왕 앞에서 각자 소원을 말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전기적·도술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 있는 이 작품은 재생설화 또는 환생설화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또한 당대 한국인의 저승사자관(세관)과 행복관이 무엇인지 알려줍니다. 특히 세 번째 선비가 말한 소원은 비록 염왕이 이루어 줄 수 없다고 화를 내긴 했지만 무병장수하면서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고 싶어하는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간접적으로 말해주고 있습니다.
삼사횡입황천기 주제
삼사횡입황천기 주제는 당대 사람들의 행복의 기준과 그 기준에 이르는 것의 어려움입니다.
삼사횡입황천기 줄거리
세 명의 선비가 백악산 경개를 구경하다가 만취하여 인사불성이 되자 돌아다니던 사신들이 세 명의 선비를 지부로 가져갑니다. 염왕이 잘못 잡혀온 세 선비를 돌려주려 하자 세 선비는 자신들이 원하는 곳으로 환생시켜 달라고 합니다. 염왕은 선비로서 문과에 급제하여 위엄이 천하에 진동하는 인물이 되기를 희망하는 첫 선비의 소원과 무과에 급제하여 암행어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두 번째 선비의 소원을 들어줍니다. 하지만 온갖 복을 탐내는 욕심 많은 셋째 선비의 부탁을 듣고 크게 꾸짖습니다.
삼사횡입황천기 핵심 정리
갈래는 고전소설(한글소설 단편소설 전기소설)이고, 소재는 저승으로 끌려간 세 선비의 소원입니다. 주제는 행복한 삶을 살고자 했던 당대 한국인의 내세관과 행복관입니다.
삼사횡입황천기는 인간이 인간계가 아닌 저승사자, 즉 지부세계를 경험하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지부세계는 준엄한 공간으로 사생공사의 약점이 용납될 수 없는 모습을 보이며 지부세계의 존재는 인간계에 개입할 수 있는 초월적인 능력을 갖춘 인물로 그려집니다. 지부 세계를 체험하는 과정에서 인간들이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인간계의 관행을 답습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피해자로서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려는 당당함도 보여주게 됩니다.
이러한 지부 세계에 대한 인간의 체험기를 통해 세속적 욕망을 추구하는 당대 인간계의 실상과 당대인의 생사관을 엿볼 수 있습니다.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세워진 작자 미상의 한글 소설로 불교 환생설화를 한국적인 행복관과 접목시킨 전기 소설입니다. 이 작품은 당시 한국인이 생각한 행복의 개념과 저승사자관을 보여주는데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세 번째 선비의 소원은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보여줍니다.
삼사횡입황천기 특징
불교 환생설화를 한국적인 행복관과 결합시켜 창작합니다. 당시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선비의 소원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인 욕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돈을 통해 문제 상황을 해결하려는 당대 인간계의 관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죽은 후에 영혼과 육체가 분리된다는 생사관을 반영합니다.
지부세계의 존재가 인간계에 개입할 수 있는 초월적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재생설화, 환생설화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불교 고리회관을 바탕으로 당시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복관을 보여줍니다. 한글 소설이지만 상투적인 한자 어구를 자주 사용합니다. 대화 형식으로 내용 전개합니다. 죽음 이후 저승으로 나아간다는 내세관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의의는 당대 한국인의 저승사자관과 행복관이 나타납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유복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
유씨삼대록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반씨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다모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설씨녀 설화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