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설씨녀 설화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8. 16.
반응형

설씨녀 설화

설씨녀 설화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설씨녀 설화 설명

열녀 설씨녀의 이야기라고 하는데,사랑하는 여자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가실 이야기라고도 할수있습니다. 신라 진평왕 때 사랑하는 여인의 늙은 아버지를 대신해 군역을 맡으러 갔던 가실이 어려움을 딛고 혼인하는 내용의 민담입니다. 거울을 신표(훗날 증거가 되도록 하기 위해 나눈 것)로 해어진 두 사람이 재회한다는 점에서 신물(神物·신령스럽고 기묘한 것) 설화의 특징도 갖고 있습니다.

 

설씨녀 설화 주제

설씨녀 설화의 주제는 가실과 설씨녀의 사랑과 믿음, 서민남녀의 사랑과 믿음, 신의에 바탕을 둔 아름다운 사랑입니다.

 

설씨녀 설화 줄거리

신라 진평왕 때 율강 설씨라는 노인이 딸과 함께 살고 있었습니다. 설 씨는 연로한 나이에도 불구하고 수좌(국경을 지키는 일)를 떠나야 했고, 효자 설 씨는 그런 아버지를 도와주지 못해 걱정이 컸습니다. 그러자 평소 설씨녀를 좋아하던 이웃 가실은 설씨 대신 변방으로 가겠다고 했고, 이에 설씨는 가실과 설씨녀의 장래를 약속했습니다. 설씨녀는 거울을 반으로 나눠 가실에게 건네고 가실은 한 마디를 설씨녀에게 맡기고 수좌를 떠납니다. 그러나 6년이 지나도록 가실이 돌아오지 않자 설씨는 다른 사람에게 설씨 여자를 혼인시키려 하고, 설씨 여자는 이러한 설씨의 생각에 반대해 도망치려 하지만 실패한 뒤 낙담합니다. 마침내 6년 만에 가실이가 돌아왔는데, 외형이 너무 초라해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지만 설씨 여자는 가실이가 건넨 거울을 자신의 거울과 맞춰본 후 그가 가실임을 알게 됩니다. 그 후 두 사람은 혼인하여 일생을 해로합니다.

 

설씨녀 설화 핵심 정리

아내를 맞이하기 위해 고난을 겪고 위기의 순간으로 돌아가 거울을 새 표로 결혼하게 되는 반전이 있는 서사적 구조를 지닌 이 설화는 중원, 이광수에 의해 '가실'이라는 제목으로 소설화됐습니다. 신라시대부터 구전되어 고려초기 삼국사기에 수록된 설화입니다. 일반 백성들의 훌륭한 삶과 함께 잦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도 담겨 있습니다. 설씨녀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고난을 자청했던 가실이 위기의 순간으로 돌아와 거울을 신물로 제시하고 결혼에 성공하게 되는 탄탄한 서사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버지와의 갈등을 가길과의 신의를 내세워 극복하는 설씨녀의 모습에서 신분을 초월해 신의를 지켜야 한다는 교훈을 전하고 있습니다.

 

설씨녀 설화 특징

서민들의 이야기가 전해지자 삼국사기에 실린 것은 상대를 위해 지신을 희생하는 가실과 신의를 지키는 설씨녀의 모습이 당시의 가치관에 부합했기 때문입니다. 행복, 불행, 행복의 극적인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신물경이 행복한 결말을 이끌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