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
춘향전 해설
춘향전의 해설입니다. 남원마을 기생 '월매'의 딸 '송춘향'과 남원리 아들 '이몽룡'의 신분차를 넘어선 사랑이야기입니다. 구전설화에서 출발하여 판소리라 불리다가 소설로 자리 잡은 '판소리계 소설'입니다.
춘향전 주제
춘향전의 주제는 신분을 초월한 남녀간의 순수한 사랑과 유교적 정절입니다.
춘향전 줄거리 요약
춘향전 줄거리 요약입니다. 남원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퇴기 월매의 딸 춘향을 만나 사랑에 빠집니다.이몽룡의 아버지가 한양으로 가게 되면서 이몽룡과 춘향은 어쩔 수 없이 헤어지게 됩니다. 새로운 남원부사로 부임한 변학도는 춘향에게 숙청을 강요하고 춘향이 이를 거역하자 옥에 가둬요. 장원 급제한 이몽룡이 암행어사로 내려와 변학도의 생일파티에 참석한 후 어사 출도를 하여 변학도와 탐관오리를 징벌합니다. 왕의 허락을 받고 춘향이 이몽룡의 정실 부인이 되어 함께 한양으로 올라가 행복한 일생을 보냅니다.
춘향전 특징
춘향전의 특징은 판소리 대본인 판소리 사설이 소설로 자리 잡은 것을 일반적으로 판소리계 소설이라고 합니다. 판소리계 소설은 산문과 운문이 혼합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풍자와 해학적 표현으로 당대의 생활상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 돋보입니다. 주로 서민층을 중심으로 향유되고 후대에 양반층까지 폭넓게 향유됨으로써 양반층의 언어와 서민층의 언어가 공존하는 점도 특징입니다.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은 판소리 사설 춘향가가 문자로 기록돼 정착한 것으로, 이후 신소설 옥중화로 이어집니다. 그밖에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로는 흥부전, 심청전, 토끼전 등이 있습니다.
춘향전 분석
『춘향전』분석에서는 오랜 세월에 걸쳐 구비 전승되어 기록된 적층문학으로 이본이 많습니다. 작품의 내용과 주제면에서 서민적인 것과 양반적인 것의 이원화가 나타납니다. 확장적 문체, 편집자적 논평 등 판소리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운문과 산문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세련된 한문 언어와 평민층의 발랄한 속어 및 재담과 육담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이 해학과 풍자 속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 등에 대해서 관련된 여러 가지를 나열하거나 반복해서 덧붙이는 문체입니다. 판소리에나타나는특징으로내용중에서흥미로운내용이나표현을확장적문체로표현하여장면의극대화,부분의독자성과같은효과를가져옵니다. 확장적 문체를 통한 장면 극대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생동감과 현실감을 느끼게 하지만, 과도한 경우 장면이 서로 어긋나거나 줄거리상의 불균형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규보 경설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
이생규장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콩쥐팥쥐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국순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심생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