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 경설
이규보 경설 해설
이규보경설 해설입니다. 개와 이를 소재로 사물의 본질을 제대로 봐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개의 죽음이든, 그 죽음이든 죽음은 본질적으로 같다는 점을 통해 선입견을 버리고 본질을 파악하라는 내용을 익살과 풍자의 방식으로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이규보 경설 주제
이규보 경설 주제는 경설은 흐린 거울을 사용하는 거사의 태도를 통해 바람직한 삶의 자세를 일깨우는 교훈적 수필입니다.
이규보 경설 줄거리 요약
이규보 경설 줄거리 요약입니다. 거사가 거울을 들고 있었고, 그 거울은 깨끗하지 않았습니다. 흐리고 먼지가 쌓여 있습니다. 나그네가 묻습니다. 거울이란 자신의 얼굴을 보는 것, 반성, 성찰인데 왜 당신의 거울은 더러운데 보고 있느냐고 물으면 답이 못생긴 사람은 거울을 보고 싶지 않습니다. 못생긴 분들이 많아요.겉모습만 판단하는 눈을 가리게 됩니다. 배려와 이해의 마음을 위해 거울의 깨끗한 바탕은 그대로 남아 있는 것입니다. 본성과 외모 중에서 본성이 더 중요합니다. 외모가 아닌 마음입니다.
이규보 경설 특징
이규보 경설의 특징은 대화 형식,문답 형식을 통해 주제 의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경험에서 보편적인 삶의 지혜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거사라는 허구적 대리인을 앞세워 작가의 인식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이규보 경설 분석
이규보 경설 분석에서는 우리 옛 조상들은 작은 사물 하나도 깊이 관찰하고 사소한 경험 속에서도 삶의 가르침을 찾아내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설이라는 계통의 글이에요. 고전 수필의 하나인 설은 자신의 체험을 통해 깨달은 것을 말하거나 어떤 사물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글입니다. 그래서 설의 내용은 자연스럽게 체험과 깨달음 또는 사실과 의견으로 구성됩니다. 곡목설은 조선시대의 문신인 장황련이 쓴 수필로, 장황련은 굽은 나무를 통해 도덕적이지 않은 사람이 등용되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경설은 고려시대 문신 이규보의 글로 흐린 거울을 들고 보는 선비와 그런 행동을 수상히 여기는 나그네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규보는 선비의 입을 통해 비록 표면이 흐려도 거울의 맑음은 내면에 남아 있다며 사물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을 전합니다. 이규보는 경설 외에도 번개설과 주뢰설, 이옥설 등의 글을 남겼는데, 번개설에서는 자연 현상과 인간의 삶을 연관시키는 동양적 사고관이 드러난 글에서 평소에도 신중하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다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뢰설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작은 일에까지 뇌물을 주고받는 현실을 통해 당시 사회가 얼마나 부패했는지를 예리한 어조로 말하고 있습니다.
이옥설은 비가 새는 행랑채를 수리하는 경험을 통해 무슨 일이든 그때그때 바로잡아야 한다는 깨달음을 개인의 인격 수양과 국가 정치 문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홍우원의 노마설은 노마에 관한 글이지만 늙고 힘없는 짐승이라 할지라도 소홀히 여기지 않는 옛 사람의 모습을 통해 사람조차도 필요에 따라 그 가치를 판단하는 우리의 태도를 반성할 수 있는 글입니다. 조선시대 문신 강희맹이 쓴 참치설은 그가 아들을 훈계하기 위해 만든 다섯 가지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강희맹은 사냥꾼의 먹이에 반응하는 꿩의 모습에서 주변 무리에 휩쓸리는 사람의 모습을 발견하고 스스로 절제하여 나쁜 유혹에 빠지지 않는 현명함을 갖추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권근의 기우는 삶의 진정한 여유와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했던 옛 사람들의 풍류를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점점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또 다른 면모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옛 조상들은 자신의 크고 작은 경험 속에서 교훈을 찾고 스스로를 바로잡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설은 우리가 쉽게 지나가는 사소한 경험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자신의 삶과 사회 속으로 확장시킨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보여줍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설화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
옥루몽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이생규장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춘향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콩쥐팥쥐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