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전
최충전 설명
비범한 인물인 치원이 글 읽는 소리를 들은 중국의 황제는 중원의 선비를 보내 실력을 겨루게 합니다. 중원 선비는 어린 치원의 글쓰기 대결에서 자신이 지면 말로 승패를 겨루기로 합니다. 중원 선비는 치원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질문을 던지고, 이에 치원은 재치 있는 답변으로 중원 선비의 시험에 대응합니다. 치원을 특히 생각한 중원 선비는 자녀가 이렇기 때문에 신라에는 '문장재사'가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중원으로 돌아갑니다. 중원의 선비로부터 치원을 들은 황제는 신라를 곤경에 빠뜨리기 위해 일부러 어려운 과제를 보냅니다. 단단히 봉한 돌상자 안에 들어 있는 것을 맞추지 않으면 죄를 묻겠다는 황제의 말에 신라왕은 놀라서 누구나 이 안에 들어 있는 것을 맞추면 높은 벼슬과 천금을 상으로 준다고 합니다. 황제의 시험에 나라가 혼란해지자 최랑은 자신이 돌상자 속의 물건을 찾아낼 테니 나승상의 딸을 아내로 삼으라고 요구합니다. 나소자가 돌상자 위에 황룡이 깃들어 있는 꿈을 꾸던 날 치원은 돌상자 안으로 들어간 것이 알이었고 그것이 부화하여 병아리가 되었다는 시를 내지요. 치원의 시를 받은 황제가 돌상자를 열면 정말 알이 부화해서 병아리가 되어 있었습니다. 황제는 찬양함과 동시에 신라에 이런 천재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태학사는 치원을 중원으로 불러들여야 할 모습을 보여 줄 것을 당부합니다.
최충전 주제
최충전 주제는 최치원의 영웅적 일대기를 통한 민족적 우월감과 자부심의 표출와 최고운의 일대기를 그리고, 당대 중세적 질서의 위기를 문제 삼는 것입니다.
최충전 줄거리
최치원의 어머니는 금돼지에게 납치되어 돌아온 후 최치원을 낳습니다. 최치원은 여러 조력자를 만나 중국 황제가 견제할 정도로 비범한 재능을 가진 인물로 성장합니다. 어린 최치원은 중원 선비와의 문재 대결에서 승리합니다. 중원의 선비들은 황제에게 이를 알리고 황제는 돌상자 안에 있는 물건을 맞히는 문제를 내어 문재가 있는 신라 선비들을 시험하려고 합니다. 최치원은 석함안의 물건을 맞혔고 황제는 최치원의 재능을 걱정해 최치원을 중국으로 불러들였습니다. 이후 중국에 들어온 최치원은 모든 기교에서 이기고 과거에도 급제하여 난을 평정하는 데에도 기여하지만 대신들의 모략으로 귀양을 가기도 합니다. 고국에 돌아온 최치원은 결국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가야산에 들어가 은거하게 됩니다.
최충전 핵심 정리
작자, 연대 : 미상
갈래 : 고전 소설
성격 : 전기적(傳奇的), 영웅적, 도술적, 설화적
최충전 특징
전지적 작가의 시점입니다. 서술자가 작품 밖에서 인물의 상황과 심리를 서술하고 있어요. 순행적 구성으로 사건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주로 인물의 대화를 통해 사건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많은 군담 소설이 전쟁을 소재로 하여 민족의 영웅을 창조하고 있는 데 반해 이 작품은 우리 민족의 뛰어난 문재를 과시하기 위한 의도가 역력한 점이 큰 특색입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용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8 |
---|---|
김현감호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이화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김신선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마장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