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이화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8. 17.
반응형

이화전 

이화전

이화전 설명

이 작품은 주인공 이화가 임진왜란 때 조선을 구하러 왔다가 전사한 명나라 장군 이여백의 영혼의 도움을 받아 요괴(수천 년 된 수컷 여우와 암컷 여우)를 퇴치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전반부에는 한국을 배경으로, 후반부에는 중국을 배경으로 한 점과 임진왜란 당시의 현실세계를 소재로 한 점이 특색입니다. 그러나 작품 내용이 시종 황당한 요귀 퇴치로 사실성이 결여되어 전기소설의 부류에 속합니다. 이여백에 관한 이야기는 임진왜란 이후 이여송 장군의 이야기가 한국 각지에 전해지는 것처럼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화전』은 이러한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전래의 요귀 퇴치 설화가 모티브가 되어 일종의 모화 사상 내지 사대주의의 발로에서 창작된 전기 소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화전 주제

이화전 주제는 이여백의 도움을 받아 요괴를 퇴치하는 장수 이화의 이야기 입니다. 

 

이화전 줄거리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백과 이여백이 구원병을 이끌고 왔지만 불행하게도 이여백은 전사하고 맙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전라도 녹미산에 이변이 일어나 그 마을은 대부분 폐읍되게 합니다. 이때 이화라는 장수가 녹미산부사를 지원했는데 부임 첫날밤에 부내를 걷다가 형체를 알 수 없는 짐승이 연못에서 나와 민가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 따라갑니다. 그런데 그 짐승이 "여백아 문을 여시오." 그러자 문이 스르 열렸고 곧 사람의 화나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다음날 이 부사가 그 집 앞에 덫을 파 놓으면 자라가 빠져 죽습니다. 이 부사가 집에 있는 큰 자물쇠를 앞에 두고 '여백아'라고 부르면 그 자물쇠가 대답합니다. 이 부사가 이 마을 군수가 계속 죽은 이유를 묻자 후원 은행나무 중에 수천 년 된 여우 암수가 있어 군수의 피를 마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나무를 베었더니 요귀 두 명이 죽었는데 두 소녀로 변해요. 이에 놀란 이 부사가 앞으로의 일을 여백에게 묻자 3년 뒤 대국에 가서 죽게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죽지 않은 암여우는 이화에 대한 원한을 품고 중국으로 도망가 황제의 총애를 받는 총비의 탈을 쓰고 황제를 현혹시켜 이화를 사로잡게 했습니다. 이 부사가 부모의 처자와 헤어져 조선을 떠나지만 여백의 계교를 받고 소매 속에 보라매를 넣어 가져가 여우 탈을 쓴 총비의 눈알을 빼내 위기를 모면합니다. 이후 이 부사는 영릉태수를 모시고 중국에서 벼슬을 하고 조선에 돌아와 여백을 위해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화전 핵심 정리

창작연대 미상의 국문 고전소설, 필사본입니다. 1권 1권. 임진왜란 이후의 한국과 중국을 배경으로 한 장편 전기소설입니다. 임진왜란 이후 흉포한 민심의 소용돌이 속에서 요귀와 싸우는 장수 이화 이야기로 사대주의 사상이 작품 전반에 깔려 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 우리나라 각지에 널리 퍼진 명나라 장수 이여송의 전설처럼 이여백의 동생 이여백의 영혼과 인간 사이에서 요귀를 퇴치하고 국정과 민심을 수습하는 내용인데, 이 작품은 설화의 요괴퇴치의 불소화를 소설화한 것입니다.

이화전 특징

이 작품은 전반부에는 한국을 배경으로, 후반부에는 중국을 배경으로 했다는 점과 임진왜란 당시의 현실세계를 소재로 했다는 점이 특색입니다. 그러나 작품 내용이 시종 황당한 요귀 퇴치로 사실성이 결여되어 전기소설의 부류에 속합니다. 이 여백에 관한 이야기는 임진왜란 이후 이여송 장군의 이야기가 한국 각지에 전해지는 것처럼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화전』은 이러한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전래의 요귀 퇴치 설화가 모티브가 되어 일종의 모화 사상 내지 사대주의의 발로에서 창작된 전기 소설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