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문성전
유문성전 설명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대 소설입니다. 국문필사본과 활자본 국문필사본이 전해지고 1918년에 출판된 광문서시판 활자본이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 책은 국문 필사본으로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간행되었습니다. 중국 원나라를 배경으로 한 허구적인 영웅소설, 군담소설입니다. 원말에 주인공 류문성과 창업을 다투는 조선 출신 영웅 주원장의 무용담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환생기연을 소설화한 것이지만 전반은 애정담, 후반은 영웅담으로 되어 있는 홍미 중심의 소설로 명태조 주원장을 한국 황해도 출신으로 한 점은 이채롭습니다.
유문성전 주제
유문성전 주제는 민족정신의 발휘와 권선징악, 여성의 지위향상 입니다.
유문성전 줄거리
"원 스님의 아들 문성은 이낭자를 그리다가 상사병에 걸려요. 부모님의 주선으로 그녀와 약혼했지만, 그녀는 이후 들어오는 프러포즈와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목을 매 죽습니다. 이에 문성은 그 무덤을 찾아가 통곡하면 무덤이 깨지고 이난자가 다시 살아났기 때문에 다시 사랑하게 됩니다. 이후 두 사람은 도사를 만나 병법과 도술을 배웠는데 주원장이 일어나자 그에 합류하였고, 후에 그의 밑에서 연왕의 봉함을 받아 부귀 9부귀와 공명을 누리겠습니다." "유승상의 아들 문성은 과거를 보러 격상하였으나, 이승상의 딸 이서자에게 반하여 과거도 보지 못하고 귀향하여 병을 얻게 됩니다. 이에 양가가 인연을 맺고 약혼했는데, 황제가 이서자를 후궁으로 맞아들이려다 환란을 당했습니다. 그런데 겨우 그 외환위기를 벗어나다 보면 다시 우승상인 다츠키에게 외환위기가 닥칩니다.
그러나 이 소저를 다시 구한 문성은 역모하여 황제를 잠칭한 달목을 조선 출신의 명장 주원장과 함께 힘을 합쳐 무찌르고 부귀를 누립니다." "중국 원나라 유승상의 아들 문성이 과거를 보러 상경하다가 이승상의 딸 이서자에게 반해 과거도 보지 못하고 귀향했다가 연사병으로 쓰러지고 만다. 이 때문에 양가에서 인연을 맺어 약혼이 이루어졌는데, 황제가 이 소저를 후궁으로 맞아들이려다 고난을 겪습니다. 위기에서 겨우 벗어났지만 다시 우승상 달목의 방해로 이소저는 자살 소동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그녀를 구출한 문성은 역모하여 황제를 참칭한 달목을 조선 출신의 명장 주원장과 함께 무찌르고 주원장을 천자의 자리에 앉히고 자신은 연왕이 되어 부귀와 영화를 누리며 승천하여 신선이 됩니다.
원명종 황제 때 재상 이경윤이 늦게까지 아이가 없었으나 딸 충연을 낳습니다. 유승상의 아들 문성이 지나는 길에 담 너머로 준영을 보고 반해 사랑에 걸려 집으로 돌아옵니다. 유승상은 아들을 위해 프러포즈해 승낙을 받은 뒤 충연을 만나 대면해 옥지환을 선물합니다. 이때 황제가 춘영을 후궁으로 삼으려 하자 이재상은 유승상의 아들과 약혼했음을 알리고 복종하지 않습니다. 이재상과 유승상은 옥에 갇혔다가 황제의 승하로 풀려나 다시 가정의 화목을 되찾습니다.
유승상 부부가 죽자 문성은 고아로 전전하며 거지를 합니다. 이 소식을 들은 이 승상은 소문 끝에 문성을 방문하여 별당에 살게 합니다. 이때 간사의 우승상 달목이 이승상의 딸 충영을 며느리로 맞이하려고 온갖 압력을 가하자, 이승상은 문성과의 혼인일까지 정했다가 취소하고 달목의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충영은 자결을 결심하고 문선에게 편지를 보내 집을 나가게 하고 혼인식을 마친 뒤 달목의 집으로 돌아가던 중 가마 안에서 자살합니다.
정처 없이 떠돌던 문성은 꿈속 도인의 지시를 받고 충영의 무덤으로 갔다가 다시 살아난 충영과 극적으로 재회합니다. 두 사람은 일광도사를 만나 술법을 배웠고, 이 딸도 남장을 하고 함께 정국을 수습하기 위해 여행을 떠납니다. 이때 황성에서는 달목이 순종 황제를 몰아내고 자칭 황제가 되자 곳곳에서 민심이 들끓기 시작합니다. 반면 황해도 평산에 사는 주 원장은 일찍부터 부모를 여의고 학문을 닦고 큰 뜻을 품고 중국으로 향했습니다.
마침 문성의 군사와 마주쳤는데, 문성은 현몽에 의해 주원장이 천자가 되는 인물임을 알고 화해하여 의형제를 맺고 함께 달목을 쳐서 붙잡아 죄를 다스립니다. 이어 주원장을 황제로 모시면 곧 명나라가 건국하게 됩니다. 유원수는 이난자가 여자임을 황제에게 알리고 혼인하여 돌아갈 것을 요청하자 황제는 유원수를 연왕으로 봉합니다. 연왕은 곧 각지로 통문하여 이승상 부부를 찾아가 이난자의 옛 시비의 난향을 둘째 부인으로 삼아 유아생녀와 100세를 산 후 부부가 함께 청학을 타고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갑니다.'
유문성전 특징
이 소설의 특징은 여주인공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만 있고, 남자주인공의 출생에 관한 이야기가 없는 점, 혼담에서 남자아버지가 딸에게 옥지환을 주는 점, 명나라 시조 주원장이 한국인인 점, 여자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구성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남자의 예속을 벗어나지 못한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의 주제는 활자본의 경우 민족정신의 발휘와 권선징악, 여성의 지위 향상 등으로 볼 수 있지만 필사본에는 흥미 위주로 짜여져 주 원장이 한국인이라는 사실조차 표현되지 않았습니다. 중국의 명태 조주 원장이 한국 출신으로 되어 있는 것이 독특하고 작가의 의식적인 결구로서 천명의 소기를 나타내는 혁명사상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지원 허생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
옥소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가락국 신화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청강사자현부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양산백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