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강사자현부전
청강사자현부전 설명
고려의 가전문학은 사물을 의인화하여 교훈을 주는 우의적인 글입니다. 구성은 주인공의 생애와 공과를 제시한 후 작가의 평가로 이루어집니다. 평가에서는 작가의 대리인이 직접 인물에 대해 논평하기도 합니다. 이규보가 만든 이 작품은 거북이를 의인화하고 안분지족의 처세와 언행을 삼가는 삶의 자세를 이야기합니다.
국문학 역사상 동물을 의인화한 최초의 가전소설로 이전 작품과 달리 고사 나열을 줄이고 시를 삽입해 문학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작품 중간에 시를 삽입하는 방식은 조선 전기 금오신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청강사자현부전 주제
청강사자현부전 주제는 안분지족의 처세 입니다.
청강사자현부전 줄거리
현무, 즉 거북이 선대는 신인으로서 대대로 국가에 공적이 있었습니다. 그는 은둔한 선비로서 점을 치고 왕이 불러도 자연에서 노는 것을 좋아해서 나아가지 않았습니다. 춘추시대에 세상을 떠나 송원왕으로부터 존경을 받았지만 그 이후 행방은 묘연합니다. 사대부 중에는 그를 숭상하고 황금의 그의 모양을 만들어 익히는 자까지 있었습니다. 그의 세 아들 중 두 아들은 사람에게 살다 죽었는데요. 둘째 아들은 오나라와 월나라 사이에 은거하여 스스로 통현선생이라 불렀습니다. 그의 족속에도 도를 얻어 하늘에 이르기까지 죽지 않은 자도 있습니다.
청강사자현부전 핵심 정리
갈래: 가전(체)
거북이'를 의인화(무속신앙숭경, 예언자, 지혜로운 사람-BUT, 자신의 불행을 바꿀 수 없습니다) 현명하고 현명한 거북이의 불행을 통해 '하물며' 보통 사람은 더욱 그렇습니다!느끼게 해줍니다.
청강사자현부전 특징
거북이는 점을 치는 것을 직업으로 합니다. 조희의 성격 (비꼬는 듬뿍= 풍자) 인생 자체의 위험성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현부와 같이 장래의 길흉을 점치는 자들도 어부의 꾀에 사로잡히거나 사람들에게 잡혀 잡아먹히므로 그 밖의 사람들은 자칫 인생을 망치기 쉬운 것이 아닐까요! 안면이 있는 태도를 갖고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는 교훈을 전하세요. 미신적 신앙보다는 지족의 처세가 더 중요하다는 교훈을 전합니다. 복무(=무속신앙, 제비뽑기)가 인생을 구제할 수 없습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문성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
가락국 신화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양산백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이대봉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수성지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