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허생전
박지원 허생전 설명
허생전에는 조선 후기 북학파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의 사상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먼저 '이용후생' 백성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려는 실학정신이 나타나 있습니다. "1만냥으로 완전히 장악했으니 이 나라의 깊이를 알 수 있다"는 허생의 한탄에는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너무 작다는 비판이 담겨 있습니다. 상업을 더 발전시켜야 한다는 거죠. 또 풍년이 들었을 때 남은 곡식을 마침 흉년이 든 장기에 가서 팔아 큰돈을 벌면서 무역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논밭도 있고 아내도 있다면 무엇 때문에 힘들게 도둑질을 한다는 겁니까?"라는 도둑들의 말을 통해 박지원은 나라 경제를 맡은 위정자들을 비판하고 있다.
나라 경제를 튼튼히 하고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면 사회 질서는 자연스럽게 정착됩니다. 그런데 집권층이 제대로 일을 못하고 나라의 모습이 어망이라는 겁니다. 허생정의 마지막 부분에는 당시 집권층에 대한 비판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변씨와의 대화에서 허생은 뛰어난 인재가 등용돼 능력을 넓히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합니다. 또 허생과 이완의 대화에서는 노론 집권층의 헛된 명분론을 신랄하게 비판합니다. 국가의 인재를 청나라로 유학 보내고 그 뛰어난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주장은 작품 속과 마찬가지로 현실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조선 몰락의 원인은 북학파의 이념이 좌절된 데 있는지도 모릅니다.
박지원 허생전 주제
박지원 허생전 주제는 양반 사대부의 무능함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삶의 각성 및 실천 추구 입니다.
박지원 허생전 줄거리
조선시대 남산골의 허생이라는 가난한 선비가 살았습니다. 매일 책을 읽는데 몰두해서 아내가 바느질을 해서 겨우 연명했어요. 그러다가 아내가 먹고 살 길을 찾으라며 안 되면 도둑질이라도 하라고 하자 허생은 집을 나가버렸습니다. 그는 집을 나와 서울에서 가장 부자라는 변씨를 찾습니다. 허생은 변씨에게 다짜고짜 1만냥을 빌려달라고 하지만, 변씨 또한 보통 사람이 아닌 듯한 이름도 모르는 낯선 인물에게 말없이 1만냥을 빌려줍니다.
그리고 허생은 이 돈으로 과일과 말총 등을 매점매석해 수년간 30만냥을 만듭니다. 허생은 변산 일대의 도적들을 설득하여 무인도로 데려가 농사를 짓고 장기라는 곳에 가서 판 백만 냥을 벌어요. 그리고 무인도에 정착한 도적들에게 최소한의 도리를 지키며 살라고 훈계한 뒤 50만 냥은 바다에 버리고 남은 돈으로 전국의 가난한 사람들을 구제한 뒤 10만 냥을 변씨에게 돌려줍니다. 다시 빈털터리가 되어 5년 만에 집으로 돌아온 허생에게 변씨는 먹을 것을 살 만한 재물을 가끔 가져다주며 점점 가까워집니다. 어느 날 변씨가 어영대장 이완을 허생에게 소개하지만 하룻밤 대화를 통해 집권층의 허망한 명분론을 비판한 허생은 다음날 잠적합니다.
박지원 허생전 핵심 정리
양반사회의 위선 허례 허식 비판 + 우리 경제의 취약성을 고발합니다. '변씨'의 역할은 허생이 행동할 수 있도록 조력(도움)+이완·허생 사이를 매개합니다. 하늘의 섬(무인도)' : 완전한 이상향 X, 경륜을 시험하는 공간입니다. 매점매석 비판, 이상적인 공동체 건설 시험, 북벌론 비판입니다.
시사삼책: 인재등용 문제 개선, 친명정책, 지피지기(청문물 수용). 대화를 통한 사건 전개, 냉소적인 현실 풍자입니다.
한계 : 허생 스스로가 "나는 장사꾼이 아니다"라며 번 돈을 바다에 버리고 본래 가난한 선비로 돌아가면서 양반으로서의 실상을 보여줍니다. 구체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박지원 허생전 특징
작가가 허생이라는 대리인을 앞세워 현실 인식과 그에 대한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실학사상 (실사구시, 이용후생) 현실에 대한 비판과 개혁을 촉구합니다. 서민들의 냉엄한 현실과 구세주 제민입니다 양반 사대부가 풍자의 대상이 됩니다> 평민의식 각성 상인 계층 등장 > 상업 자본이 성장합니다. 빈섬을 통해 이상향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직접적 제시와 간접적 제시를 적절히 혼용합니다. 설화적 결말(열린 결말, 개방적 결말)입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곽해룡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
양풍운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옥소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유문성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가락국 신화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