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봉전
이대봉전 설명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군담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 남자 주인공인 이대봉보다 그의 약혼자인 장애황의 활약상이 더 두드러진 작품입니다. 장애황은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고, 외적이 난을 일으켰을 때 대원수로 출전하여 공을 세웠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당시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여성 독자들의 반발 심리를 받아들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품의 전개가 어려 한 남녀의 혼인 약속과 이별, 시련 이후의 재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인간 일생 결혼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대봉전 주제
이대봉전 주제는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사랑을 이루는 남녀 주인공의 활약상 입니다.
이대봉전 줄거리
명나라 때 이 시랑은 백운암에 시주하고 아들 대봉을 낳습니다. 이 시랑의 죽마고우 장한림도 같은 시간에 딸 애황이를 낳아 대봉과 약혼시킵니다. 간신 왕희가 국권을 함부로 휘둘러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이 시랑은 직간하는 상소를 올리지만 왕희의 참회를 받고 백설도로 유배됩니다. 유배하러 가는 길에 왕희는 사공을 매수해 이 시랑과 오미네를 죽이려 하지만 오미네 부자는 류왕의 도움으로 살아납니다. 대봉 부자의 참사를 듣고 장항림과 그의 아내는 탄식하며 병을 얻어 죽습니다. 왕희는 애황의 미모가 뛰어나다는 말을 듣고 며느리로 맞아들이려 하지만 애황은 남장을 하고 도주해 이름을 계운으로 바꾸고 무예를 배웁니다. 과거 대장에 급제하여 한림학사를 제수받은 계운은 남성우가 중원을 침략하자 대원수로 출마하여 적을 크게 무찌릅니다. 반면 서해 용왕의 도움으로 살아난 대봉은 백운암에서 수행하며 때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때마침 북흉노가 중원을 침범하여 황성을 점령하고 천자를 핍박하여 위급한 상황에 이르자, 이대봉은 필마단기로 흉노군을 격파하고 적군의 항복을 쟁취합니다. 결국 이대봉은 왕희를 처단하고 장애황과 혼인하게 됩니다. 이후 이대봉은 초왕이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일생을 마감합니다.
이대봉전 핵심 정리
갈래: 영웅 소설, 군담 소설
성격: 전기적, 비현실적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이대봉전 특징
조선 후기 유행한 창작 군담소설의 대표작으로 여주인공의 활약상이 돋보입니다. 국가와 군주에게 충성을 다하는 유교의 가치관이 나타나 있습니다. 사회적 제약을 뛰어넘는 여성 영웅을 통해 남성 중심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의 능력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만남-이별의 반복으로 사건이 전개됩니다.
조선후기 유행한 창작군담소설의 대표적 작품국가와 군주에 대한 충의를 주제로 합니다. 남성 중심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의 능력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유문성전』, 『여장군전』, 『옥루몽』 등과 함께 부부의 영웅적인 활약이 그려져 있습니다. 권선징악적인 구성으로 흥미롭게 이야기를 이끌어갑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강사자현부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
양산백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수성지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옥소선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제48대 경문대왕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