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유광억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8. 17.
반응형

유광억전  

 

유광억전 설명

유광억전 소설에서 주요 인물은 유광억과 경시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광옥은 이 소설의 주인공입니다. '유광억전'이니까 당연하죠. 여기서 <-전>을 이야기하면 <-전은 한 인물의 일생을 시간순으로 서술한 글입니다. 주로 유교의 덕목을 실현하는 모범적인 인물을 <-전>의 대상으로 하여 신선, 도인, 예술가, 패륜자 등으로 확대합니다. 앞의 구조는 도입-전개-논평의 구조로 도입에서는 인물의 가계와 성장과정을 제시하고 전개에서 인물의 업적이나 잘못을 열거하고 논평에서 저자의 견해와 평가, 교훈을 제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시 '유광옥전'으로 돌아오고, 유광옥은 생계를 위해 자신의 양심과 능력을 파는 인물로 작가가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대상입니다. 당시 사회의 모순, 즉 과거 제도가 가진 모순을 밝히기 위해 설정된 가상의 인물입니다. 경시관은 이러한 유광옥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인물로, 유광옥이 자살시키는 인물로 보입니다. 작가인 매화외사는 논평을 통해 유광옥 같은 자는 또 그 마음을 판 자 아닌가?라고 말하며 유광옥을 비판하고 또 주는 것과 받는 것이 죄가 같다는 말을 통해 유광옥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광옥이 판 것은 개인의 재능뿐만 아니라 양심과 도덕성을 모두 판 것이며, 유광옥의 마지막은 비참하고 작가는 이러한 비극적 상황을 결국 자업자득이라고 말하게 됩니다. 또 이런 것을 개인의 일탈로 볼 수 없다고 말하면서 거짓된 방법으로 과거에 합격하려 했던 사람들, 이런 사태를 제대로 관리 감독하지 못하고 묵인하는 조선 사회 모두를 비판한 것입니다.

유광억전 주제

유광억전 주제는 과거 시험의 부정을 통해 타락한 사회상 반영 입니다. 

 

유광억전 줄거리

유광옥은 집이 가난하고 신분이 낮아 대리시험을 치르면서 돈을 받고 생계를 유지하며 살아왔습니다. 유광옥의 글이 나라에 소문이 나자 경상감사와 경시관이 유광옥의 글을 골라낼 수 있을지 내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경시관의 능력으로 광억의 글을 찾아냈고 이를 증거로 삼기 위해 광억을 호출했지만 광억은 처벌이 두려워 자살하게 되었습니다. 작가는 팔지 못하는 것이 없어진 상황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 

 

<유광억전>은 과체중(과거 시험용 시)으로 유명했지만 자신은 과거에 응시하지 못하고 돈에 매수되어 글을 파는 일을 생업으로 하던 유광옥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입니다. 과거 시험을 소재로 매관 마술이 성행했던 당시 사회상과 돈에 약한 인간의 게를 그려낸 근대의식의 산물로, 실제로 과거 시험에서 소설 문체로 응시해 비난을 받았지만 결국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불우한 일생을 보낸 작가 자신의 삶이 창작의 밑거름이 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광억전 핵심 정리

갈래 : 한문 소설, 단편 소설
성격 : 경세적, 현실 비판적

'유광억전'은 당대 인물들의 삶을 생생하게 그려내는 동시에 풍자에 탁월한 작가 이옥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세태소설입니다. 이익에 집착해 양심까지 팔기까지 했던 당대의 현실을 '유광옥'이라는 인물의 간략한 전기를 통해 구체화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힘으로써 교훈을 전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유광옥'은 대리시험을 치르거나 대신 시문을 작성하고 돈을 받는 인물입니다. 당대에 만연했던 부정행위를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모습은 세상에 팔리지 않는 물건이 없어진 상황을 보여줍니다. 또한 '유광옥의 죽음'에 대한 작가의 논평에서 당대의 부정적 세태가 만연한 사회에 대한 비판과 그런 문제들이 개인이 아닌 사회적 문제임을 강조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유광억전 특징

특정 인물의 행위를 통해 당대의 부정적인 세태를 나타냅니다. 에피소드에 대한 작가의 논평을 제시하고 주제의식을 강조합니다. 부정적인 대상을 통해 현실 문제를 강하게 비판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