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어룡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8. 17.
반응형

어룡전 

어룡전

어룡전 설명

계모와 전처 자녀의 갈등을 다룬 가정소설과 영웅소설 두 종류가 혼합된 작품입니다. 창작연대는 분명하지 않지만 19세기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중국의 송나라가 배경입니다. 이 작품은 계모의 영입으로 야기되는 가족 갈등을 계모형 가정소설의 상투적 도식에 따라 다루고 있으며, 갈등의 배경과 본질에 대한 진지한 탐색 없이 모든 문제를 권선징악적 도덕률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계모의 악과 전처자녀의 선이 한층 절대화되고, 선악의 극단적인 대조와 감정의 무절제한 노출로 독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측면이 크게 강화되고 있습니다. 주인공의 무용담과 가족의 이합 과정이 지나치게 강조됨으로써 계모와 전처 자녀의 갈등이라는 본래 문제는 뒷전으로 밀리고 작품의 주제도 많이 흐려집니다.

어룡전 주제

어룡전 주제는 계모의 학대로 인한 가정의 비극 입니다. 

 

어룡전 줄거리

송나라 때 어학사 부인이 월(딸)과 용(아들) 남매를 두고 돌아가면 강씨가 후처로 들어옵니다. 강씨는 아들 자룡이를 낳자 전처의 자녀들을 학대하기 시작했고, 어학사가 이상서가 돼 상경하기 때문에 집을 비우게 되자 이들을 쫓아냅니다. 두 남매는 온갖 고생을 다하며 헤매고, 용은 통천도사를 만나 도술과 무예를 익히고 달은 윤시란의 수양딸이 됩니다. 오초사가 돌아와 남매가 쫓겨난 사실을 알고 이들을 찾아 나선다.

 

달이 17세가 되자 윤시란은 그녀를 임상서의 아들 임송과 혼인시킵니다. 임선은 장원 급제하여 한림학사를 모시고 어상서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했습니다. 이때 북흉노가 침입하여 천자가 위기에 처했을 때 용이 출전하여 적을 물리치고 좌승상이 되고 임선은 우승상이 됩니다. 수년간 남매를 찾아 헤매던 오상서는 기이한 꿈을 꾸고 고향에 돌아와 용의 소식을 듣고 상경해 아들과 만나게 됩니다. 오상서와 련은 월의 소식을 여기저기 묻지만 우연히 대화를 듣게 된 임상서가 월의 소식을 전하면서 극적으로 오상서와 남매가 다시 만나게 됩니다. 새엄마는 벌렁 드러누워 죽고 용은 이복동생 재궁에 찾아가 형제의 뜻을 굳게 합니다. 이후 용은 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된 후 5남 1녀를 얻어 부귀영화를 누립니다.

 

어룡전 핵심 정리

계모 영입에서 파생되는 가족 간의 갈등을 문제 삼고 있는 소설을 말합니다. 계모형 소설은 소규모 가정을 무대로 하여 전처 소생과의 갈등과 재산 문제를 다루지만 가문소설은 한 가계 내부의 여러 세대에 걸친 사정을 다루고, 쟁총형 소설은 처첩 간의 갈등을 다루는데 이와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계모와 전처 소생 간의 갈등을 다룬 이야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이 전해지는데, 이러한 유형의 소설에서 계모는 악인의 전형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전처의 자녀를 해치는 수법이 작품마다 대체로 비슷합니다. 고전소설은 거의 모두가 행복한 결말을 보이고 일반적인 고전소설이 낙관적인 분위기나 행복한 결말을 맺는 반면, 계모형 소설은 계모의 학대로 전처의 자녀가 죽거나 비극적인 결말을 맺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남편과 아버지의 존재는 대체로 무기력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봉건체제의 붕괴를 상징하는 일면이며, 계모를 가정에서의 이질적인 존재로 본 것은 부계혈통의 강조와 족보중시 경향을 잘 보여줍니다. 가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 즉 남성의 재취득과 전처의 자녀를 매개로 한 여성의 질투, 재산 상속 등은 여성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내용이기 때문에 계모형 소설의 독자층은 주로 서민 부녀자였습니다. 

 

고전소설 중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한 대표적인 계모형 소설로는 『장화홍련전』, 『콘치와 패치전』, 『정민전』 등이 있으며 중국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는 『양풍운전』과 『어룡전』 등이 있습니다.

어룡전 특징

서술자의 직접 개입이 밝혀집니다. 시간순으로 이루어진 사건의 전개입니다. 사건의 요약적 기술입니다 인물 간의 갈등이 역동적으로 전개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