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양반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0.
반응형

양반전

양반전

양반전 해설

양반전의 해설입니다. 양반전은 무능한 양반과 부자가 된 평민들이 양반의 신분을 사고파는 사건을 소재로 당시 사회의 모순을 그리고 있습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큰 전쟁을 거치면서 사회가 혼란한 가운데 농업기술과 상업이 발달하였고, 평민 중에서도 큰 부자가 되었습니다. 신분질서가 흔들리면서 실제로 신분을 사고파는 일이 벌어졌지만 당시 지배층은 혼란스러운 사회를 개혁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고 양반이라는 권위의식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양반전은 이러한 조선 후기의 모습을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입니다.

 

양반전 주제

양반전의 주제는 양반들의 공허한 관념과 특권의식에 대한 비판입니다.

 

양반전 줄거리 요약

양반전 줄거리 요약입니다. 정선군에 어질고 글씨 읽기를 좋아하는 양반이 살았는데, 그는 매우 가난하여 매년 관청의 환곡을 빌려 먹은 것이 천 석이나 되었습니다.이때 사정을 알게 된 부자가 양반을 찾아가 환곡을 대신 갚기로 하고 양반을 샀습니다. 이 사실을 안 군수는 매매증서를 작성했어요.최초 문서에 불만을 가진 부자들의 요구에 증서를 재작성하였는데, 그 내용은 포악무도한 양반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내용이었습니다.문권 작성 도중 모녀는 머리를 흔들며 가버려 다시는 말을 꺼내지 않았다고 합니다.

 

양반전 특징

양반전의 특징은 연암 박지원의 소설은 중세적 봉건사회가 무너지고 거기서 새로운 사회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하는 역사적 변화에 살면서 그 모든 추이를 직시한 비판적 태도에서 비롯됩니다. 조선후기의 사회는 임진입니다.병란의 후유증 등으로 조선 전기의 엄격한 신분 질서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상업의 발달과 농업 생산력의 발달 등으로 평민 부자가 많이 나타났습니다. 국가에서는 부족한 재정을 메우기 위해 돈을 받아 양반으로 상승시키기도 했습니다. 앙반매매와 권위와 권세로 가득 찬 몰염치한 양반들이 판을 쳤습니다. 이러한 조선 후기 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양반전 분석

양반전 분석에서는 양반전에서는 먼저 신분을 팔아야 할 정도로 경제적으로 어려우면서도 아무런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 양반을 통해 변화된 현실을 깨닫지 못하고 낡은 학문만을 추구하는 양반들의 무능력한 모습을 비판합니다. 또한 양반증서를 작성하는 장면을 통해 예의에 사로잡혔고, 양반으로서의 권위를 앞세워 평민을 괴롭히는 양반들의 부도덕함을 꼬집었습니다.

다른 많은 고전소설에서도 당시 지배층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담겨 있는데, 특히 박지원의 양반전은 양반 입장에서 누구보다 철저하게 양반의 실상을 비판했다는 점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한 양반으로서 스스로 부패한 양반의 실상을 철저히 폭로하여 양반 계층의 반성을 촉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호질'은 호랑이의 질책이라는 뜻으로 호랑이의 입을 통해 겉과 속이 다른 인간의 모습을 비판하는 소설입니다. 이야기는 호랑이가 인간을 먹이로 평가하는 장면에서 시작됩니다. 먼저 호랑이는 의원과 무당, 선비를 먹이에서 제외합니다. 의원은 사람의 생명을 지키고 무당은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호랑이는 의원과 무당이 자신의 본분을 다하지 않고 사람들을 속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이어 선비를 미끼로 삼는 것에 대해 가장 큰 거부 반응을 보임으로써 당시 양반이 부패한 의원이나 무당보다도 부도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리자와 북곽선생은 양반사회의 위선을 예리하게 보여줍니다. 동리자는 정절을 잘 지켜 나라에서도 상을 받았지만 실제로는 다섯 아들의 아버지가 모두 다르다고 꼬집습니다. 또한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북곽 선생도 실제로는 과부의 집을 드나드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외모나 평판과는 전혀 다른 양반사회의 실상을 비판한 것입니다.

특히 북곽선생이 똥구멍에 빠지는 장면은 그의 추악한 모습을 가장 우스꽝스럽고 적나라하게 표현한 부분입니다. 이는 그와 만난 호랑이의 입을 통해 더 직접적인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또 마지막으로 북곽선생이 농부 앞에서 다시 근엄하게 행동하는 모습은 그의 이중성을 더욱 크게 보여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