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로왕 신화
김수로왕 신화 설명
이 작품은 가락국은 가야국의 건국신화로 구비 전승되어 고려시대에 일연에 의해 『삼국유사』 『기이편』에 수록되었습니다. 가야국 건국의 시조인 김수로왕의 탄생과 즉위, 혼인, 죽음에 이르는 일대기가 서사의 큰 흐름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하늘의 명을 받고 내려온 물길이 자신들의 왕이고 그로 인해 자신들의 나라가 세워졌다는 것에 대한 가야인들의 자부심이 담겨 있습니다.
건국신화의 주인공이 가진 일반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 있고 신탁에 의해 백성들이 신을 맞이하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으며, 작품에 삽입된 「구지가」를 통해 고대인의 소박한 상징 기법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 이 작품의 특징입니다.
김수로왕 신화 주제
김수로왕 신화 주제는 수로왕의 탄생과 가야국의 건국 과정 입니다.
김수로왕 신화 줄거리
구지봉에서 저는 이상한 소리를 듣고 구간 등 이삼백 사람들이 모였습니다.그곳에서 집단으로 땅을 갈아엎고 "구지가"를 부르면 기쁜 일이 있을 거라는 말을 듣고 그와 함께 했더니 하늘에서 붉은색 보자기로 싼 금합이 왔습니다.그 금합에는 여섯 개의 황금알이 들어 있었는데 그 알에서 여섯 아이가 태어났습니다.그 중에서 가장 큰 알에서 태어난 사람이 대가야의 임금으로 즉위하면서 이름을 수로로 삼았습니다.임금은 임시로 도읍을 정하여 나라를 다스리고 새로운 궁궐을 만들어 모든 정치의 기초를 빼앗고 국가의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김수로왕 신화 핵심 정리
김수로왕의 기묘한 탄생과 가야국의 건국과정을 그린 건국신화입니다. 일연에 의해 문헌으로 정착되어 『삼국유사』에 수록되었습니다. 김수로왕의 탄생, 즉위, 결혼, 죽음에 이르는 일대기를 바탕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하늘의 뜻에 따라 태어나 왕위에 오른 김수로왕의 이야기는 당시 가야국인들에게 긍지와 애국심을 갖게 한 것입니다.
김수로왕이 알에서 태어난다는 난생설화를 통해 신비성과 위대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김수로왕이 태어나 성장하였고 이후 가야국을 세우는 건국 과정이 자세히 밝혀졌습니다. 구간은 가야국 형성 이전 부족 단위로 지역을 다스렸던 9명의 장을 의미합니다. 구간이 하늘에서 소리를 듣고 부른 노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집단요소인 구자가로 김수왕 신화에 삽입되어 있습니다. '구지가'는 직접적이고 명령직인 어조를 바탕으로 무언가를 염원하며 불렀던 주술가로 여러 사람이 땅을 파며 불렀던 노동요, 왕을 맞이하는 행사에서 불렀던 의식요입니다.
구간이 노래를 부른 뒤 하늘에서 내려온 '보라색 선',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으로 만든 상자'는 모두 신성하고 고귀함을 드러내는 물건이며, 그 안에 담긴 '황금알'은 김수로 왕의 신비함과 위대성을 강조합니다. 알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모두 중국 제왕과 같은 뛰어난 용모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육가야의 왕이 됩니다. 김수로왕은 가야국의 수도를 정할 때 땅의 크기보다는 토지의 가치를 높게 평가했습니다.
김수로왕이 궁궐과 옥사를 지을 때 농사짓기에 바쁘지 않은 틈을 이용하여 농경중심사회로서의 특성과 백성들에 대한 배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탈해가 김수로왕과 대결하는 것은 왕권을 둘러싸고 겪는 김수로왕의 시련이라고 할 수 있지만, 김수로왕은 술법이라는 비범한 능력의 우위를 통해 이를 극복합니다. 김수로왕은 왕후를 맞이할 때에도 안도의 힘으로 해결하지 않고 하늘의 뜻을 따르려고 합니다.
김수로왕 신화 특징
수로의 신성성과 왕위의 당위성을 제공합니다. 수로왕의 탄생과 혼례, 즉위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내력을 줄거리로 삼고 있습니다. 수로가 등극하기 전까지는 시련과 시험이 없고 등극 후 시련이 주어진다는 점에서 다른 건국신화와 구별됩니다. 인간사회가 물길을 춤과 노래로 스스럼없이 맞아들여 왕으로 만든 영신신화라는 데 특색이 있습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모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
설씨녀 설화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고전소설 옥주호연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고전소설 유씨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용소와 며느리 바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