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남염부주지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남염부주지
남염부주지 해설
남염부주지 해설입니다. 남염부주지는 조선시대 생육신의 한 사람인 매월당 김시습은 1435~1493이 쓴 한국 최초의 한문 단편소설 중 하나로 『금오신화』에 이생규장전, 만복사지 포기, 용궁부련록, 취유부벽정기와 함께 실려 있는 작품입니다. 유학자로서의 선비가 가져야 할 자세와 왕도정치의 이상과 당대 현실의 비판을 주제로 한 작품입니다. 제목 '남염부 주지'는 남염부주에 다녀온 이야기라는 뜻입니다.
남염부주지는 남쪽에 있는 매우 뜨거운 불이 항상 공중에 떠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지옥을 가리킵니다.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자 박생이 꿈속에서 염부주의 왕과 대화를 나눈 곳으로 이 글의 중심 공간입니다. 이 작품은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통분하여 경주 금오산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주에 살던 박생은 불교를 믿지 않았지만 꿈속에서 남쪽 염부주는 염라국을 다녀온 후 크게 깨닫는다는 내용으로 주인공이 꿈속에서 겪은 일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몽유구조의 소설로 작가의 철학사상이 가장 집약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작품입니다.
남염부주지 주제
남염부주지 주제 입니다. 남염부주지 의 주제는 작품 속 박생을 김시습과 그대로 대응시켜 계유정란이라는 당대의 현실, 나아가 유교질서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현실에 대한 우의이자 문답을 통해 유가적 이상을 추구하는 작품입니다.
남염부주지 줄거리 요약
남염부주지 줄거리 요약입니다. 경주에 사는 박생은 유학으로 대성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열심히 공부했지만 과거에는 실패했어요. 그래서 그 불쾌감을 이기지 못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뜻이 높고 강직하며 인품이 훌륭하여 주위의 칭찬을 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그는 귀신·무당·불교 등의 이단에 빠지지 않도록 유교 경전을 읽었고, 세상의 도리는 하나뿐이라는 내용의 철학논문인 이리론을 쓰면서 자신의 뜻을 더욱 확고히 했습니다.
어느 날 꿈에 박생은 저승사자에게 인도되어 염부주라는 별세계에 이르러 염라대왕과 사상적인 담론을 펼치게 됩니다. 유교, 불교, 미신, 우주, 정치 등 다양한 문답을 통해 염왕과의 의견일치를 통해 자신의 지식이 타당함을 재확인했습니다. 염라대왕은 박생의 참된 지식을 찬양하고 그 능력을 인정하여 왕위를 물려주겠다며 선위문을 내리고 잠시 세상을 다녀오라고 하였으니 꿈을 깬 박생은 집안일을 정리하여 지내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병이 났습니다. 그는 의원과 무당을 불러 병을 고치지 않고 조용히 죽었다고 합니다.
남염부주지 특징
남염부주지 특징 입니다. ①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집입니다. ② 한국을 배경으로 한국인이 등장하여 한국인의 감정과 사상을 표현합니다. ③ 비현실적인 세계를 무대로 합니다. ④ 주인공은 재자가인 입니다. ⑤ 로맨틱한 사랑 사건을 다룬다는 점에서 전기적인 성격입니다. ⑥ 자아와 세계가 서로 상대방에게 우위를 보이며 대결합니다. ⑦ 인간성 긍정입니다. 인간의 원초적 욕망 긍정입니다. ⑧ 제도, 인습, 전쟁, 운명 등과 강력하게 대결하는 인간의 의지 표현입니다.
남염부주지 분석
남염부주지 분석 입니다. 이 작품은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나온 다른 소설과 달리 남자 주인공만 등장하고 따라서 남녀의 애정 문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삽입 시도 없이 작품 대부분은 박생과 염왕의 문답식 토론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작가의 생각이 비교적 직접적으로 제시가 됩니다. 주인공 박생은 귀신이나 지옥의 존재를 부정하는 유학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남염부주라는 지옥의 왕이 됩니다. 김시습이 이처럼 모순된 구성을 취하게 된 이면에는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그가 겪는 갈등과 번뇌가 숨어 있다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 존재를 부정하면서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한 고민의 표현입니다. 또한 이 작품은 세조의 왕위찬탈을 풍자한 소설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폭력으로 백성을 위협하거나 덕망 없이 권력으로 왕위에 오르는 것을 강력히 비난한 것이나 인간 세계에서 부모와 왕을 죽인 대역죄인이나 간흉이 고통받는 곳으로 남광부주를 설정한 것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그리고 '세력에 굴복하지 않는' 주인공 박생의 모습은 바로 매월 당 자신의 투영임이 분명합니다. 그가 현세에서 현달하는 벼슬이나 덕망이 높아 이름을 세상에 알리지 않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므로 남염불 설정은 현실의 불행을 조금이라도 위로받고 싶은 갈등의 소산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소설은 몽유소설로 분류되는 거죠.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씨남정기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
영영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오유란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조웅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예덕선생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