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조웅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조웅전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조웅전

조웅전

 

 

조웅전 해설

조웅전 해설입니다. '조웅전'은 국문으로 쓰여진 영웅소설이자 군담소설로 진충보국과 자유연애를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째는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 둘째는 조웅과 번왕의 대립, 셋째는 다시 조웅과 이두병의 대립입니다. 조웅과 이 두병의 대립은 조웅의 아버지 조정인의 죽음으로 인한 숙명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또한 번왕과의 갈등은 조웅의 아버지가 번왕과 대립하는 위왕과 우호관계였기 때문에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은 여타 군담소설과 비교하면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이 작품에는 명산대천에 기도를 올림으로써 아들을 얻는 기자의 정성에 대한 이야기가 없습니다. 둘째, 주인공이 천상인으로서 적막하다는 화소가 없습니다. 셋째, 장소와 혼전에 동침하게 되는데 이는 보수적인 윤리의식을 뛰어넘는 파격적인 행동으로 매우 이색적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대중의 취향에 맞게 통속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조웅전 주제

조웅전 주제 입니다. 조웅전 의 주제는 천충보국과 자유연애사상입니다.

 

조웅전 줄거리 요약

조웅전 줄거리 요약입니다. 중국 송나라 문제 때 승도 조정인이 아두병의 참회를 받고 음독자살을 기도합니다. 외아들 조웅도 이두병의 모함을 피해 어머니와 함께 도망칩니다. 온갖 고생을 다하며 떠돌던 조은 모자는 다행히 월경도사를 만나 강선암에 들어가 지내게 됩니다. 이후 도사를 찾아가 병법과 무술을 전수받은 조웅은 강선암으로 돌아가던 중 장진사 집에 머물다 우연히 장씨와 만나 혼인을 약속하게 됩니다. 이때 니시번이 침입하여 아사오가 나아가 이를 물리칩니다. 한편 스스로 천자라고 했던 이두병이 조은을 잡기 위한 군대를 일으켰지만 오히려 조은에게 연패한 끝에 사로잡히고 맙니다. 천자는 이두병 일파를 처단한 후 조웅을 제후로 봉합니다.

 

조웅전 특징

조웅전 특징 입니다. 영웅적 무용담과 혼담을 조합하여 구성하였습니다.한시를 삽입하여 인물의 상황이나 의중을 나타냅니다. 유교, 불교, 도교사상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발단은 중국 송나라 문제 때 승도 조정인이 이 두병의 참회를 받고 독살하자 조웅 모자는 이 두병을 피해 달아납니다. 전개는 천자가 세상을 떠나면 이 이병은 어린 태자를 계량도로 유배하여 스스로 천자가 됩니다. 조은 모자는 온갖 고생을 다하며 떠돌다가 월경대사를 만나 강선암에 들어가 살게 됩니다. 

 

월경대사로부터 술법과 글을 배운 조웅은 강선암을 떠나 화산대사로부터 조웅검 삼척검을 얻고 철관대사로부터 무술과 도술을 배운 후 용마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기는 조은은 강선암으로 어머니를 만나러 가던 중 장소인 저를 만나 혼인을 약속합니다. 이때 서번이 위나라를 침공하자 조웅은 위나라로 달려가 위왕을 도와 서번군을 격파합니다. 이후 세자를 구출하고 중국에 와서 이두병 일파를 처단합니다. 절정기의 조웅은 위왕과 연합하여 수십만의 대군으로 황성을 치고 이 두병의 목을 베어 태자를 천자의 자리에 앉혔습니다. 결말은 황실은 다시 회복되고 아사오는 니시번의 왕이 됩니다.

 

조웅전 분석

조웅전 분석 입니다. 유충렬전은 조웅전과 함께 조선후기 영웅소설과 군담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입니다. '유충렬전'은 '유충렬'이라는 영웅의 일대기를 그린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영웅 소설이자 군담 소설로 천상에서 지상으로 적강한 유충렬이 고난을 극복하고 위기에 처한 가문과 국가를 구원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조웅전」은 군신간의 충의를 주제로 한 작품으로 중국 송나라 때 조승상의 아들 웅과 장 진사의 딸 장서저 간의 애정담과 주인공 조은의 전쟁 무용담을 그린 허구적 영웅소설이자 군담소설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