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소와 며느리 바위
용소와 며느리 바위 설명
용소와 며느리 바위은 구두쇠 부자가 도승에게 쇠똥을 주어서 벌을 받았다는 내용의 설화를 채록한 것입니다. 구연한 내용을 그대로 채록한 것이기 때문에 표준어가 아니거나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을 볼 수 있습니다. '용소'라는 증거물을 동반한 지명설화의 하나로, 이러한 설화에는 대개 장자의 악행을 부끄럽게 여겨 몰래 보시하던 며느리가 도승이 제시한 금기에 반해 바위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함께 붙어 있습니다.
이 설화의 도승은 승려나 거지로 변하기도 하고 며느리는 딸·아내·하녀로 변하기도 합니다. 권선징악이라는 교훈과 인간의 존재 양상에 대한 철학적 인식이 담겨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고전소설 '옹고집전'의 근원설화로 보기도 합니다.
용소와 며느리 바위 주제
탐욕에 대한 경계(인과응보, 권선징악)로 악행을 일삼은 욕심 많은 부자에 대한 응징, 초월적 질서와 본능적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간의 한계입니다.
용소와 며느리 바위 줄거리
옛날 지금의 용소 터에 인색하기로 유명한 장재 점지가 살고 있었습니다.장제점지는 한 도승이 찾아와 시주를 구하자 소똥을 나눠주는데, 이 모습을 본 며느리는 쌀 한 그릇을 시주했습니다.도승은 며느리에게 산으로 도망가지만 절대 돌아보지 말라는 금기를 알려줬지만 며느리는 도승이 말한 금기에 반해 뒤를 돌아 결국 바위가 됩니다. 장재점지의 집은 용소라는 깊은 연못으로 변하게 됩니다.
용소와 며느리 바위 핵심 정리
설화는 구전되고 있지만 설화의 화구는 이야기의 구조에 힘입어 전승되고 있습니다. 즉, 화자는 이야기의 세부적인 부분을 그대로 기억하고 그대로 그것을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구조를 기억하고 여기에 화자 나름의 수식을 더해 전승하게 됩니다. 설화는 일반적으로 신화와 전설, 민담으로 나뉩니다.
전설은 구체적으로 제한된 시간과 장소를 가집니다.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는 전설이 가진 진실성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전설은 특정한 개별 증거물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위에 관한 전설은 바위의 일반을 증거물로 삼을 수 없고 어떤 곳에 있는 어떤 형태의 바위만이 증거물일 수 있습니다. 이 바위는 다른 바위와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화자가 항상 주목해 오거나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하며, 그 모습은 누구나 기이하게 생각할 정도로 유리합니다.
용소와 며느리 바위 특징
용소와 며느리바위라는 증거물의 생성과정을 밝혀주는 전설입니다.부자지위가 벌받는 사건을 통해 교훈을 담습니다. 며느리가 화석이 되는 사건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화자가 듣는 사람에게 직접 들려주는 구술 형식입니다. 방언(경기도 방언)을 사용하여 토속적인 정감과 현장감을 나타냅니다. 주변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구연 상황을 보여줍니다. 구어체에서 같은 말이 반복됩니다. 과장되고 비현실적인 내용이 많이 나타납니다. 증거물이 있는 전설의 일반적인 특성이 나타납니다.(진실성,구체적시간장소,개별적인증거,인물의대결에서패배)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소설 옥주호연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
고전소설 유씨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신광한 서재야회록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고전소설 계우사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5 |
설화 세 선비의 꿈 해석 해설 특징 뜻 주제 정리 분석 (0) | 2022.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