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77 용비어천가 정인지 외 2인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용비어천가 정인지 외 2인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용비어천가 정인지 외 2인 용비어천가 정인지 외 2인 해석 해설 용비어천가 정인지 외 2인 해석 해설입니다. [제1장] 현대어 풀이 우리나라의 여섯 성군이 나시어 하는 일(건국 위업)마다 모두 하늘이 내리신 복이십니다. (이 일은) 중국 고대 성군들이 하신 일과 일치합니다. 어구풀이 및 감상 # 해동 → '발해의 동쪽'이란 뜻의 말로, 우리나라의 별칭임 # 육룡 → 하늘의 뜻을 받은 여섯 분. 즉,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의 여섯 임금 # 일마다 → 하시는 일마다. 여기서 '일'은 '조선 창업'에 관계되는 일이다. # 고성 → 중국의 옛 훌륭한 임금(天子)을 가리키는 말. 특별히 중국의 역대.. 2022. 10. 15.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아내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아내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아내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아내 해석 해설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아내 해석 해설입니다. [ 배경 설화 ] 조선에 곽리자고(藿里子高)라는 뱃사공이 있었는데, 어느 날 새벽에 일어나 배를 손질하고 있을 때 머리가 새하얀 미치광이 사나이가 머리를 풀어 헤친 채 술병을 끼고 비틀거리면서 강물을 건너는 것이었다. 뒤쫓아 온 그의 아내가 그를 말리려 했으나 이미 때는 늦어 그 미치광이는 결국 죽고 말았다. 이를 본 그의 아내는 남편을 안타깝게 불렀으나 소용이 없었다. 울다 문득 갖고 있던 공후를 타면서 자신의 심정을 노래로 지어 불렀는데 그 소리가 아주 슬펐다. 노래를 다 부르자 아내도 물에 몸을.. 2022. 10. 15. 신도가 정도전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신도가 정도전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신도가 정도전 신도가 정도전 해석 해설 신도가 정도전 해석 해설입니다. [ 현대어 풀이 ] 옛날에는양주 고을이여 / 그 경계에 새로운 도읍으로서의 지세와풍경이 빼어나도다. / 개국 성왕(이태조)께서 성스러운왕조를 이룩하셨도다. / 도성답도다! 지금의 모습이여, 도성답도다! / 임금께서 만수무강하시어 온 백성들이 즐거움을누리는구나 / 아으 다롱디리 / 앞은 한강이여, 뒤에는 삼각산이여, / 많은 덕을 쌓으신 이 강산 사이에서만세를 누리소서. 신도가 정도전 내용 요약 신도가 정도전 내용 요약 입니다. 신도 가(新都歌)-정도전- 조선 초기의 송축가로, 조선이 개국하고 곧 이어 송도에서 한양으로 천도하였는데, 이 새 도읍에 대.. 2022. 10. 15.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해석 해설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해석 해설입니다. [ 배경 설화 ] 대략 기원전 1세기 경, 동명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 제2대 왕이 된 유리왕은 송씨를 왕비로 맞았으나 왕비는 1년 후 세상을 떠났다. 이에 왕은 두 여자를 계비(繼妃)로 맞이하였는데, 우리나라 골천 사람의 딸 화희와 한나라 사람의 딸인 치희였다. 이 두 여인은 왕의 사랑을 두고 서로 다투어 사이가 좋지 않았다. 왕은 하는 수 없이 양곡의 동서에 두 궁전을 지어 따로 살게 하였다. 어느 날 왕이 기산(箕山)으로 사냥을 나가 이레 동안 돌아오지 않았는데, 그 사이에 두 여자가 심하게 다투게 되었다. 이때 화희.. 2022. 10. 15. 감군은 미상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감군은 미상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감군은 미상 감군은 미상 해석 해설 감군은 미상 해석 해설입니다. # 자히리어니와 → 잴 수 있으려니와 # 향복무강 → 끝이 없이 복을 누림 # 일간명월 → 한가닥 낚싯대를 드리우고 밝은 달을 즐기는 태평세월 # 밋거니와 → 미치거니와(及) # 쥬즙 → 배와 삿대로, 배를 총칭함 # 백골미분 → 백골이 가루가 됨. [ 현대어 풀이 ] 사해의바다 깊이는 닻줄을 가지고 잴 수 있겠지만 / 임금님의은혜는 어느 줄로 잴 수 있겠습니까? / 끝없이 복 받으시어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사시옵소서. / 달 밝은 밤 낚싯대 드리우는 것도 임금님 은혜이시로다. 태산이높다고 하건마는 하늘에 이르지 못하는데 /.. 2022. 10. 15. 해가 미상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해가 미상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해가 미상 해가 미상 해석 해설 해가 미상 해석 해설입니다. [ 배경 설화 ] 신라 성덕왕 때에 순정공(純貞公)이 강릉 태수로 부임하는 도중 임해정(臨海亭)이란 곳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는데, 불현듯 해룡(海龍)이 나타나 그의 아내 수로 부인의 미모를 탐내 바다 속으로 납치해 가는 것이었다. 공이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는데 그 때 한 노인이 나타나 말하기를, "옛날 말에 여러 입은 쇠도 녹인다 하니 이제 바다 속의 물건인들 어찌 여러 입을 두려워하지 않으랴? 경내의 백성을 모아 노래를 지어 부르고 막대로 언덕을 치면 부인을 찾을 수 있으리라."하였다. 이에 공이 그 노인의 말대로 하였더니 용이 부인을 받들고 나와 도로 내놓았.. 2022. 10. 15.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해석 해설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해석 해설입니다. [ 현대어 풀이 ] 달님이시여 높이 높이 돋으시어 / 아, 멀리 멀리 비추어 주십시오. / (후렴구) / (임이여) 시장에 가 계시옵니까? / 아, 진 곳을 디딜까 두렵습니다. / (후렴구) / 어느 곳에나 놓으십시오. / 아, 내가(내 임이)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습니다. / (후렴구)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내용 요약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내용 요약 입니다. 정읍사- 어느 행상인의 아내- - -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특징 주제 정읍사 행상인의 아내 배경 특징 입니다. 전주(全州)의 속현(屬縣)인 정읍(井邑)에 한 .. 2022. 10. 15. 서동요 서동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서동요 서동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서동요 서동 서동요 서동 해석 해설 서동요 서동 해석 해설입니다. [ 현대어 풀이 ] 선화 공주님은 / 남 몰래 시집가 놓고(정을 통해 놓고) / 서동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서동요 서동 내용 요약 서동요 서동 내용 요약 입니다. 서동요- 서동(薯童)- 善化公主主隱他密只嫁良置古薯童房乙夜矣卯乙抱遺去如 서동요 서동 특징 주제 서동요 서동 배경 특징 입니다.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모친이 남편을 여의고 과부가 되어 백제의 서울 남쪽 못가에 살면서,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은 재주와 도량이 커서 장차 큰 일을 할 바탕을 갖추고 있었는데 항상 마(薯)를 캐어 팔아서 생계를 꾸.. 2022. 10. 15. 강강술래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강강술래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강강술래 강강술래 해석 해설 강강술래 해석 해설입니다. 달떠 온다 달 떠 온다 우리 마을에 달 떠 온다 강강술래 저달이 장차 우연히 밝아 장부 간장 다 녹인다 강강술래 우리세상이 얼마나 좋아 이렇게 모아 잔치하고 강강술래 강강술래잘도 한다 인생일장은 춘몽이더라 강강술래 아니야놀고 무엇을 할꼬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 강강술래 늙고병들면 못 노니라 놀고 놀자 놀아 보세 강강술래 이러다가죽어지면 살은 녹아 녹수가 되고 강강술래 뼈는삭아 진토가 되니 우리 모두 놀고 놀자 강강술래 어느때의 하세월에 우리 시방에 다시 올래 강강술래 우리육신이 있을 적에 춤도 추고 노래도 하고 강강술래 놀고놀고 놀아 보자 질 게 하면 듣기도 싫다 강강술.. 2022. 10. 15. 혜성가 융천사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혜성가 융천사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혜성가 융천사 혜성가 융천사 해석 해설 혜성가 융천사 해석 해설입니다. [ 현대어 풀이 ] 옛날, 동해 물가에 건달바(신기루)가 / 어리던 성(城)을 바라보고 / 왜군이 왔다고 / 봉화를 올린 일이 있었다. / 삼화(세 화랑)이 산 구경 간다는 소식을 듣고 / 달도 부지런히 밝히려는 가운데 / 길을 쓸고 있는 별들을 바라보고 / 혜성이여, 하고 말한 사람이 있었다. / 아아, 달 아래로 떠나갔더라 / 어이유, 무슨 혜성이 있을까? 혜성가 융천사 내용 요약 혜성가 융천사 내용 요약 입니다. 혜성가- 융천사- 舊理東尸汀叱乾達婆矣遊烏隱城叱兮良望良古倭理叱軍置來叱多烽燒邪隱邊也수耶三花矣岳音見賜烏尸聞古月置八切爾數於將來尸波衣道尸掃尸星.. 2022. 10. 15.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