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77

산거  이인로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산거 이인로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산거 이인로 산거 이인로 해석 해설 산거 이인로 해석 해설입니다. 春去花猶在(춘거화유재) 天晴谷自陰(천청곡자음) 杜鵑啼白晝(두견제백주) 始覺卜居深(시각복거심) 봄은 지났는데 꽃은 아직 남아 있고 하늘은 개었어도 골짜기는 어둑하구나. 두견새 한낮에도 구슬피 우니 비로소 깨달았소, 내가 깊은 산에 사는 것을. 산거 이인로 내용 요약 산거 이인로 내용 요약 입니다. 이 시의 작가 이인로는 어려서 부모를 잃고 절에서 스님의 부양으로 성장했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환속하여 당시의 문인인 오세재, 임춘 등과 함께 활동하게 된다. 무신의 난인 정중부의 난(1170년)이 일어나자 다시 절에서 난을 피한 후, 환속하여 1180년에 문.. 2022. 10. 11.
명월음 최현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명월음 최현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명월음 최현 명월음 최현 해석 해설 명월음 최현 해석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조선 선조 때 지어진 가사이다. 제작 시기는 1594년(선조 27년)에서 1597년 사이로 추정된다. 임진왜란으로 몽진(임금이 난리를 피하여 다른 곳으로 자리를 옮김) 길에 오른 '임금'을 '명월'에 빗대어 나라 걱정하는 마음과 왕을 그리워하는 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달이 찼다가 기울고, 구름에 가렸다가 다시 그 모습을 나타내듯이 나라의 전란도 머지않아 사라지리라는 염원과 의지를 담은 노래이다. 작가의 또 다른 작품인 '용사음(龍蛇吟)'이 직접적인 전란의 상황 속에서 비분강개를 표현한 내용이라면, 이 작품은 구름에 가린 달을 보는 안타까움을 개인.. 2022. 10. 11.
산민 김창협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산민 김창협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산민 김창협 산민 김창협 해석 해설 산민 김창협 해석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가렴주구(苛斂誅求)를 일삼는 관리들을 피해 산속에 사는 농민의 고달픈 생활을 그리고 있다. 사람들과의 교류도 없고 사나운 짐승이 나오는 산 속의 생활을 영위하는 것은 결코 풍족한 삶을 보장해 주기 때문이 아니다. 바로 호랑이보다 사나운 관리의 손길이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작가는 '단궁편'에서 "가혹한 정치가 호랑이보다 사나울 수 있으니 관리가 되는 사람은 백성을 잘 보살펴야 한다."는 말을 연상시키는 표현을 통해 당시 관리들의 가혹함을 비판하고 있다. * 제16행 → 현실적 여건이 잘 드러남. 의 '단궁편'에 나오는 '가정맹어호'가 연상됨. 산.. 2022. 10. 11.
봉선화가 미상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봉선화가 미상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봉선화가 미상 봉선화가 미상 해석 해설 봉선화가 미상 해석 해설입니다. ◆ 서사 향규(香閨)의 일이 업셔 백화보(百花譜)를 혀쳐보니, 봉선화 이 일홈을 뉘라서 지어낸고. 진유(眞游)의 옥소(玉簫) 소리 자연(紫煙)으로 행한 후에, 규중(閨中)의 나믄 인연(因緣) 일지화(一枝花)의 머므르니, 유약(柔弱)한 푸른 닙은 봉의 꼬리 넘노는 듯. 자약(自若)히 붉은 꼿은 자하군(紫霞裙)을 헤쳣는 듯. 규방에 할 일이 없어 백화보를 펼쳐 보니, / 봉선화 이 이름을 누가 지어 냈는가. / 신선의 옥피리 소리가 선경으로 사라진 후에, / 규방에 남은 인연이 한 가지 꽃에 머물렀으니, / 연약한 푸른 잎은 봉의 꼬리가 넘노는 듯하며,.. 2022. 10. 11.
산중문답 이백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산중문답 이백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산중문답 이백 산중문답 이백 해석 해설 산중문답 이백 해석 해설입니다. 중국 당나라 시인 이백의 한시로, 에 실려 있다. 시제가 '산중답속인'으로 되어 있는 판본과 제1구가 '問余何事棲碧山(문여하사서벽산)'으로 되어 있는 판본이 있다. 보통 7언 절구로 분류되며, 1, 2, 4구의 마지막 글자, 즉 '山, 閒, 間'이 운자들이며 '4/3'으로 끊어 읽는다. 이 시를 근체시(近體詩)의 율격과 거리가 멀다는 이유로 7언고시로 분류하기도 한다. 산중문답 이백 내용 요약 산중문답 이백 내용 요약 입니다. 산중문답(山中問答) -이백- 問余何事棲碧山(문여하사서벽산) 笑而不答心自閒(소이부답심자한) 桃花流水杳然去(도화유수묘연거) 別有.. 2022. 10. 11.
북찬가 이광명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북찬가 이광명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북찬가 이광명 북찬가 이광명 해석 해설 북찬가 이광명 해석 해설입니다. [주요 어구 풀이] 막힌 길 →화자가 처한 상황을 나타낸 시어 밝은 달, 뜨는 구름 → 화자가 하소연하는 대상 흐르는 내, 새 → 화자가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하는 대상 여의 잃은 용, 치 없는 배 → 화자가 자신을 비유한 대상 북찬가 이광명 내용 요약 북찬가 이광명 내용 요약 입니다. 북찬가(北竄歌) -이광명- 앉은 곳에 해가 지고 누운 자리 밤을 새워 잠든 밧긔 한숨이오 한숨 끝에 눈물일세 밤밤마다 꿈에 뵈니 꿈을 둘너 상시(常時)과저 학발자안(鶴髮慈顔) 못 뵈거든 안족서신(雁足書信) 잦아짐에 기다린들 기별 올까 오노라면 달이 넘네 못 본 제는 기.. 2022. 10. 11.
삿갓을 읊다  김병연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삿갓을 읊다 김병연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삿갓을 읊다 김병연 삿갓을 읊다 김병연 해석 해설 삿갓을 읊다 김병연 해석 해설입니다. 浮浮我笠等虛舟(부부아립등허주) 一着平生四十秋(일착평생사십추) 牧竪輕裝隨野犢(목수경장수야독) 漁翁本色伴沙鷗(어옹본색반사구) 醉來脫掛看花樹(취래탈괘간화수) 興倒携登翫月樓(흥도휴등완월루) 俗子衣冠皆外飾(속자의관개외식) 滿天風雨獨無愁(만천풍우독무수)가뿐한 내 삿갓이 빈 배와 같아 한번 썼다가 사십 년 평생 쓰게 되었네. 목동은 가벼운 삿갓 차림으로 소 먹이러 나가고 어부는 갈매기 따라 삿갓으로 본색을 나타냈지. 취하면 벗어서 구경하던 꽃나무에 걸고 흥겨우면 들고서 다락에 올라 달구경하네. 속인(俗人)들의 의관은 모두 겉치장이지만 하늘 .. 2022. 10. 11.
사미인곡 정철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사미인곡 정철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사미인곡 정철 사미인곡 정철 해석 해설 사미인곡 정철 해석 해설입니다. ●현대어 풀이 이 몸이 태어날 때에 임을 따라서 태어나니 / 한평생을 살아갈 인연이며, 이것을 하늘이 모르겠는가. / 나 오직 젊었고 임은 오직 나를 사랑하시니 / 이 마음과 이 사랑을 비교할 곳이 다시 없구나. / 평생에 원하되 임과 함께 살아가려고 하였더니 / 늙어서야 무슨 일로 외따로 두고 그리워하는가 / 엊그제는 임을 모시고 궁전에 올라 있었는데 / 그동안 어찌하여 속세에 내려와 있는가. / 내려올 때 빗은 머리가 헝클어진 지 삼년이라. / 연지와 분이 있지만 누굴 위해 곱게 단장하겠는가. / 마음에 맺힌 근심이 겹겹으로 쌓여 있어서 / 짓는.. 2022. 10. 11.
송인  정지상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송인 정지상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송인 정지상 송인 정지상 해석 해설 송인 정지상 해석 해설입니다.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 別淚年年添綠波(별루년년첨록파) 비 개인 긴 강둑 위에 풀빛이 진한데 남포에 임을 보내니 노랫가락마저 구슬프구나. 대동강의 물은 어느 때에 마를 것인가? 해마다 이별의 눈물만 푸른 물결을 더해 가노니. [ 이해와 감상 ] 송인 정지상 내용 요약 송인 정지상 내용 요약 입니다. 송 인(送人) -정지상- 송 인(送人) -정지상- 송인 정지상 특징 주제 송인 정지상 배경 특징 입니다. [ 요점 정리 ] 송인 정지상 분석 송인 정지상 분석 입니다. ◆형식 : 한시, 7언 절구.. 2022. 10. 11.
상사곡 박인로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상사곡 박인로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상사곡 박인로 상사곡 박인로 해석 해설 상사곡 박인로 해석 해설입니다. 은 제목 아래 '상주영감영작'이라는 협주(夾註)가 있으므로 상주 영감의 영(令)을 받고 지은 것으로 보인다. 1690년에 한음 가문에서 '상주 영감'이라고 부를 만한 인물은 상주 목사를 지낸 이여규이다. 이여규는 상주에 도임하자 선친(先親)과 각별했던 노계를 상주로 초청하였고, 선가자(善歌者,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 노계에게 가사 한 편을 청했을 것이다. 충효사상이 투철했던 노계는 자연스럽게 연군가사인 정철의 과 을 떠올리며 연군의 정을 노래한 을 지었을 것이다. 이는 105행 222구 1,520여 자의 충신연주지사로, 10개의 단락 또는 기승전결의.. 2022.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