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효녀 지은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18.
반응형

효녀 지은 

효녀 지은

효녀 지은 해설

효녀 지은 해설입니다. 주제설정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의 배경사상에서 심청전은 그다지 뚜렷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효를 최대의 덕목으로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유교적이고, 화주승을 통해 부처님의 신통력을 앞세운다는 점에서는 불교적이며, 용궁과 옥황상제, 선궁, 선녀 등이 등장하여 심청을 되살린다는 점은 도교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외래적 사상의 바탕에는 고유한 민간 신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나님인 심 봉사가 제의적 행위를 통해 깨어날 수 있다고 믿는다거나 뱃사람들이 인간을 제물로 바치고 제사를 지내는 행위가 이를 나타냅니다.

효녀 지은 주제

효녀 지은 주제는 심청전의 주제는 심청의 효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하지만 효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란이 있습니다. 심청전이 표면적으로는 효라는 인간의 보편적 덕목이자 유교의 덕목을 긍정하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이러한 이념을 부정하고 비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심청이 목숨을 버리려 한 것은 아버지에 대한 효도 때문이지만 실상 목숨을 버리는 것이야말로 최대의 불효에 해당한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이러한 역설을 통해 '효도'라는 유교윤리를 드러내는 대신 당시 하층민이 겪어야 했던 빈곤과 평범한 의미의 효도조차 하지 못한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고자 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완판본 심청전에서 잘 나타나 있습니다. 완판본 심청전은 현실적이고 물질지향적인 인물인 펜덕어미를 통해 유교윤리를 비판하고 심봉사를 매우 세속적이고 희극적인 인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물 설정은 심청전이 전통적인 유교윤리를 옹호하고 있다는 사실과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오히려 심청전이 전통적인 윤리를 부정하고 현실을 긍정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면서도 심청은 물에 빠져 거듭나기 때문에 그 제안적 의미도 중요하게 해석되기도 합니다. 이처럼 이 작품의 주제는 논란거리인 만큼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으며, 그 현대적 의미도 거듭 평가되고 있습니다.

 

효녀 지은 줄거리 요약

효녀 지은 줄거리 요약입니다. 효녀 지은이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로 어머니를 모셨습니다. 32세가 되도록 시집가지 않고 노모를 모시던 지은은 가난으로 인해 결국 자신의 몸을 부자 집의 종으로 팔기도 합니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노모는 통곡하고 지은이도 함께 울게 됩니다. 이런 사연을 효정량은 부모님께 요청해 지은에게 곡식과 옷을 보내고, 지은이 종 신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본 나동은 곡식을 수확하여 지은을 돕고, 왕도 이러한 사실을 알고 지은을 크게 포상합니다.

 

효녀 지은 특징

효녀 지은 특징은 불교의 인과응보사상, 유교의 효사상, 도교의 신선사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심청이 공양미 300석에 팔려 인당수에 제물이 되기까지의 전반부와 다시 태어나 황후가 되어 아버지를 만나고 아버지가 깨어나는 후반부로 나뉩니다.

 

효녀 지은 분석

효녀 지은 분석에서는 이 설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는 것은 빈곤이라는 결핍 상황입니다. 주인공은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32살이 될 때까지 시집도 가지 않고 어머니를 모셨습니다. 게다가 『삼국유사』의 빈녀 양모에서는 어머니가 눈을 감았다는 점에서 그 결핍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빈곤을 해결하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그러나 흉년이 들어 더 이상 거지하기조차 어려워지자 주인공은 급기야 자신의 몸을 부잣집에 팔아 일용직 양식을 마련합니다. 

 

이러한 주인공의 자기희생이 반전의 계기가 되고, 이를 통해 최초의 결핍 상황을 해소하는 것이 효도설화의 일반적인 서사구조입니다. 한편 남의 집에 팔아 어머니를 모신 것은 중국의 효행설화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태평어람에 기록된 한나라 경제 때 효자동영의 고사가 그것인데 고려 말 권보가 엮은 효도록에 동영임신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전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