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계월전

홍계월전 해설
홍계월전의 해설입니다. 고전소설인 여성영웅소설 '홍계월전'은 조선시대에 창작되어 작자 미상의 소설입니다. 주인공 홍계월의 영웅적인 일생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영웅소설의 범주에 포함되며,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 영웅소설'로 따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한문본은 없고 국문본에 여러 종의 이본이 존재하며, 한문혼용체로 쓰여진 필사본이 1종 발견되었습니다.
홍계월전 주제
홍계월전의 주제는 홍계월의 영웅적인 행적과 활약입니다.
홍계월전 줄거리 요약
홍계월종 줄거리 요약입니다. 중국 명 현종 때 이브시란을 지낸 홍무와 그의 부인 양씨는 나중에 태어난 귀한 자녀 계월과 함께 현주 구계촌에서 살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전란이 일어나 온 가족이 뿔뿔이 흩어집니다. 이때 양씨는 도적에게 잡혀 종이 되고 계월은 강에 버려집니다. 하지만 계월은 곧 무릉마을에 사는 여공에게 구출되어 그의 집에서 살게 됩니다. 한편 계월의 아버지 홍무는 도적에게 거짓 항복한 죄로 벽파도로 유배하러 갑니다. 이후 양씨는 수적으로 도망쳐 절에 숨어 지내다가 꿈에서 본 장소로 찾아가 남편 홍무를 만나게 됩니다.
여공의 집에서 살게 된 계월은 '평국'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고 그의 아들 보국과 함께 곽 도사로부터 수학합니다. 남장을 한 채 보국과 함께 과거에 급제한 평국은 서달의 난이 일어나자 대원수가 되어 출전하였고, 이 전장에서 우연히 친부모를 만나게 됩니다. 천자는 전공을 세운 평국을 청주 후에 그의 아버지를 위국공으로 봉하고 전쟁으로 몸이 쇠약해진 평국을 진맥시킵니다. 이때 평국이 여자임이 밝혀지는데, 정자는 그녀를 벌하지 않고 보국과의 결혼을 중매합니다. 나라에 다시 반란이 일어나면 평국은 다시 출전하여 위기에 처한 보국을 구하고 나라를 지킵니다. 이후 평국과 보국은 부귀영화를 누립니다.
홍계월전 특징
홍계월전의 특징은 신분을 감추기 위한 남장 모티브를 사용하였습니다. 남성보다 여성을 주체적, 의지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여성의 봉건적 역할을 거부하는 근대적 가치관을 담고 있습니다. 전형적인 고전소설의 서사구조와 특징을 따릅니다.
홍계월전 분석
홍계월전 분석에서는 소설에서 계월은 남장한 여성으로 입신출세하지만 정체가 밝혀진 후에도 전쟁터에 나가 관직 활동을 유지하며 공적 영역의 성취를 보여줍니다. 이는 주체적인 인간으로서의 능력을 인정받은 것입니다. 계월은 군법을 앞세워 남편을 꾸짖는 등 가부장적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행동합니다.
이것은 새로운 시대에 맞는 여성상을 구현한 것입니다. 남성 보국이 위기에 처하자 평국을 찾아가며 우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는 전통적인 성 역할과 반대의 모습으로 남성을 희화화하고 여성의 영웅성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여성 영웅 소설은 전체 군담 소설의 10분의 1 정도에 해당합니다. 이 작품들은 여성 독자들이 많이 차지하던 조선 후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성 영웅 소설은 대체로 여성 주인공이 전쟁 영웅이 되어 남성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공적인 자아를 성취해 나간다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그런데 모든 여성 영웅 소설의 주인공들이 가정과 사회에서의 성취를 이루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성취를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약혼자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쟁에 참여하거나 남자 주인공보다 지위가 아래이면서 남자 주인공을 돕는 역할을 하는 여자 주인공도 있습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나면 규방 여자로 복귀하여 결혼을 하고 공적인 지위 유지에 대해 아무런 미련이 없는 것으로 그려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한계가 있다 하더라도 여성 영웅 소설은 충분한 의미가 있습니다. 소설의 주요 향유층으로 등장하게 된 여성들의 바람이 여성 영웅 소설 속에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조선시대 여성들은 평소 사적인 영역에서만 생활하도록 규제되어 왔습니다. 전쟁에 나가 공을 세워 높은 벼슬을 하는 소설 속 주인공들의 모습은 조선시대 여성들에게 대리만족을 선사합니다. 비록 현실에서 차별의 벽을 넘지 못했다 하더라도 시대 여성들의 의식이 성장하고 있었음을 여성 영웅의 향유 현상이 말해주는 것입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익성전 해설 주제의 줄거리 요약 의미 특징 분석 (0) | 2022.08.19 |
---|---|
효녀 지은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삼한습유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지하국대적퇴치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정진사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