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애전
은애전 해설
은애전 해설입니다. 아정유고에 실려 있는데, 그 소서에 "경술 6월 상감이 모든 옥중을 심리하여 김은애와 신여척을 돕게 하고 곧 저에게 명령을 내리고 이은애전을 세워 내각의 일력에 싣도록 하였습니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내용은 전라남도 강진현에 살던 양가 여자 김은애가 유언비어를 퍼뜨려 예쁜 딸을 모함하는 마을 노파를 살해한 사건을 한문으로 쓴 것입니다. 이 작품은 김은애와 신여작이라는 두 사형수의 살인범행에 얽힌 기구한 에피소드를 담고 있습니다. 이들이 살인죄로 구속된 때는 1789년이었는데 이듬해 정조대왕은 두 사람의 죄를 사면하고 이덕무에게 그 전말을 기록으로 남기게 한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실제 사실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당시 향촌사회 서민의 일상적인 삶, 형사사건의 심리와 현장검증, 여성의 정조 관념, 지배층의 통치 이념과 윤리의식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문학성이 돋보입니다.
'은애전' 말미에 가해진 신여척이라는 살인범의 이야기도 윤리적 교화를 베풀기 위한 의도를 보여줍니다. 신여척 옆집에 사는 김순창이 밀 두 되가 모자라자 그의 동생을 폭행해 중상을 입힌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를 알게 된 여척은 순창이가 우애 없다고 타일렀다가 오히려 봉변을 당하고 억울해 한 번 발길질을 했지만 어이없이 상대가 쓰러져 죽게 됩니다. 김은애와 신여척 두 사형수의 사면을 결정한 이유는 더러운 소문으로부터 절개를 지키는 풍속은 나라를 지키는 충성심의 발로이며 형제간의 우애를 지키는 것은 효성에서 비롯된다는 지배층의 판단 때문입니다. 정절과 우애를 배신한 사람을 사사로 응징하고 살인을 저지르게 된 두 사람의 사면을 통해 충효의 지배이데올로기를 공고히 다지려는 의도가 잘 드러나 있습니다. 재물 때문에 생기는 부자, 형제간의 갈등과 그로 인한 각종 살인사건, 성이 상품화되지 못하고 노리개로까지 전락하고 있는 오늘의 현실에서 우리 모두가 김은애와 신여척의 죄는 미워하고 그 의기만은 평가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은애전 주제
은애전 주제는 기구한 살인 사건의 법적 처리인을 모함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없는 것을 경계합니다.
은애전 줄거리 요약
은애전 줄거리 요약입니다. 김은애는 전라남도 강진현에 사는 양반집의 열여섯 살 소녀였습니다. 그녀는 고향에 사는 기생 출신 노파에게 근거 없는 모함을 받게 됩니다. 노파는 평소 심술궂고 입이 가벼운 데다 남의 물건에 욕심이 많은 등 행동이 바르지 않아 은애 어머니가 가끔 그녀의 물욕에 꾸짖기도 했는데, 이에 앙심을 품은 노파는 은애네를 해칠 뜻을 품었습니다. 기회를 엿보던 노파는 같은 마을의 어린 총각 최종령 14~15세를 부추기며 "나는 이미 몰래 은애를 사랑한다"는 말을 떠들었고, 노파 또한 "은애가 정령을 연모해 은밀하게 서로 만나고 있다"는 루머를 퍼뜨린다. 노파의 이런 모략 때문에 은애는 거의 시집갈 길이 막힐 정도였습니다. 다행히 같은 동네 총각 김양준이 그 사정을 깊이 알고 은애에게 결혼했지만 할머니는 루머를 계속 퍼뜨렸습니다.
혼인 후에도 2년 동안 노파의 모함이 이어지자 은애는 부끄러움과 원망이 뼈저리게 견딜 수 없는 상황까지 이른 것. 급기야 은애는 그 누명을 벗기로 결심하고 노파가 혼자 있을 때를 들여다보며 잠든 그녀를 흔들어 깨우며 "나는 당신을 죽이고 부끄러움을 씻으려고 한다"며 준비한 칼을 들이댄다. 할미가 반항하기 때문에 서로 엎치락뒤치락하다 보면 할미는 무수히 찔려 죽고 맙니다. 이 일로 은애는 관가에 끌려가 조문을 받는데 의연했습니다. 그녀는 현감에게 규준 처녀 시절부터 모함을 받아온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며 "사람을 죽인 죄는 달게 받겠습니다"라고 말씀드리고 정련을 처벌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현감은 철저한 검시와 현장검증을 통해 범행의 전모를 확인한 후 깊은 동정심을 갖지만 법이 허락하지 않으니 부득이 상부에 보고합니다.이후 국가의 큰 경사로 사형수의 사면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옥사를 검토하던 왕은 "정조를 가진 여자가 외설이라는 모함을 받는 것은 천하에 억울한 일이지만 그녀를 처형하고 어떻게 풍속과 교화를 올바르게 펼칠 수 있겠느냐"며 은애의 죄를 사면합니다.
은애전 특징
은애전 특징은 ①당시 형사사건의 심리와 현장검증 ②여성의 정조관념 ③지배층의 통치이념과 윤리의식을 구체적으로 표현 ④당시 향촌사회 서민들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반영합니다.
은애전 분석
은애전 분석에서 작가 이덕무 씨는 조선 후기의 학자입니다. 본관은 전주입니다. 1741 영조 17~1793 정조 17. 자무관, 호형암, 아정, 청장, 영처 동방일사입니다. 정종의 별자 무림군 선생의 10세손이자 통덕랑성호의 아들입니다. 박학다식하고 고금의 기문이 서에 이르기까지 능통하고 문장에 개성이 뚜렷하여 문명을 일세에 전파하였으나 서자였기 때문에 크게 등용되지 않았습니다. 1778 사은 겸 진주사 침염조의 서장관으로 직접 연경에 들어갔습니다. 1779 규장각 경진대회에서 여러 차례 장원하였고 초대 규장각에서 근무하였습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새결송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
유연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적성의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토끼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최척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