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계우사
고전소설 계우사 설명
제목인 계우사의 의미를 말씀드리면 어리석은 사람을 깨우치는 글이라는 뜻입니다. '개우사'라고도 불립니다. 계우사의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서울의 갑부의 아들 '무숙'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무숙은 건달로 방탕하게 생활하여 집안의 재산을 탕진하고, 그 중에서도 모르고 기생들의 의양을 첩으로 삼습니다. 그런데 이 기생충의 장점이 아주 옳은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남편 무숙을 개과천선시키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무숙을 개과천선시키려는 계획을 세운 의양은 무숙의 본처에게 자신의 계획을 편지로 보냅니다. 무숙을 온갖 곤경에 처하게 해서 정신 차리게 해요. 무숙의 본처는 의양의 편지를 보고 감동하여 눈물을 흘립니다.
그리고 대답에 의양의 마음을 칭찬하고 죽더라도 은혜를 갚고 사당에도 제사를 지내겠다는 약속을 합니다. 사당에 제사를 지낸다는 말의 의미는 한 집 사람으로 인정해 주겠다는 약속입니다. 그리고 무숙인 본처의 답장을 받은 의양도 본처의 마음 씀이에 감동을 받습니다. 그리고 의양은 계책을 짜서 무숙을 무일푼 거지로 만들고 나아가 거짓으로 무숙 친구들과 애정행위를 합니다. 이에 화가 난 무숙은 거지꼴로 자기 집으로 가져갑니다. 무숙이 초라한 모습으로 자기 집에 가면 그 많은 재산을 탕진해 무숙 가족이 남의 집 옆방에서 정말 가난하고 초라한 모습을 무숙이 보게 됩니다.
작품에서 서술자가 무숙의 형태를 '천하의 잡야가 아닌가'라는 표현을 통해 무숙을 평가합니다. 이렇게 서술자가 직접 개입하여 사건이나 상황 또는 인물을 평가하는 것을 서술자의 개입 또는 편집자적 논평이라고 합니다. 시험 문제의 포인트입니다. 서술자의 개입이나 편집자적 논평은 고전소설이나 판소리계 소설에서 많이 쓰이고 현대소설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편집자적 논평을 활용하면 쉽게 내용과 주제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이런 이유 때문에 독자가 개입할 여지가 적어집니다. 따라서 재미가 없습니다.
너무나 가난하게 살아가는 가족의 모습에 무숙은 반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무숙도 사람이기 때문에 들어갈까 말까 망설이게 됩니다. 그런데 아들이 꿈에서 아버지가 송악을 쓰고 등에 개를 업고 구름을 타고 하늘로 빙 올라갔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 말을 듣고 무숙의 아내는 하늘로 올라갔다는 말을 듣고 무숙이 죽은 줄 알고 통곡합니다. 이 꿈은 무숙을 하며 가족에 대한 애틋한 사랑을 일깨우는 기능을 합니다. 이에 또한 가족의 사랑을 알게 된 무숙은 아내와 가족들에게 그동안의 잘못을 빌고 아내는 그동안 힘들었던 상황과 남편에 대한 원한을 이야기하며 남편을 용서하게 됩니다. 즉, 작품의 테마는 「개과천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전소설 계우사 주제
고전소설 계우사 주제는 방탕에 대한 경계와 건전한 생활 추구입니다
고전소설 계우사 줄거리
성종대왕 즉위 원년, 방탕을 일삼는 말괄량이 김무숙은 선량한 성격을 가진 그의 아내와 살고 있습니다. 어느 봄날 무숙은 왈차들에게 마지막으로 한 번 크게 논 뒤 착실히 살겠다고 하는데 평양 기생인 의양이 화개동에 머물고 있다는 말을 듣고 곧바로 의양을 찾아가 다정한 편지로 그녀의 환심을 얻습니다.
무숙은 큰돈을 들여 의양을 게이샤 신분에서 벗어나게 하고 그녀와 호화롭게 살아갑니다. 돈을 물쓰게 하는 무숙을 걱정한 의양은 그의 아내와 짜고 무숙이 돈을 탕진시키고 일부러 무숙 앞에서 무숙의 친구인 김선달과 애정행위를 합니다. 이에 실망한 무숙은 전 재산을 잃고 집으로 돌아가고, 의양의 요청에 따라 그녀의 집에서 심부름을 하며 지내는 것. 의양이 다시 무숙 앞에서 김성달과 애정행위를 벌이자 무숙은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의양과 김성달에게 벌을 주기를 기도하지만, 이 말을 들은 의양이 무숙에게 그간의 사정을 말하자 무숙은 눈물을 흘립니다.
고전소설 계우사 핵심 정리
고전소설 계우사 특징
서한문(편지)을 활용하여 서사를 효과적으로 전개합니다. 한문어체와일상적구어가혼용됩니다. 4음보의 운문적 문체를 사용합니다. 대화와 행동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됩니다.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열거 등판 소리 운문체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서술자가 사건과 인물을 직접 평가하는 편집자적 논평이 활용됩니다.(판소리적 문체) 고사와 경전의 한 구절을 활용하여 인물의 생각을 적절히 나타냅니다. '탄자 길들이기' 모티브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쉽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화폐 경제의 발달에 따른 19세기 서울의 세태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고전소설 계우사 서사 구조
탕자 길들이기 서사구조란 자신의 기질과 외적 요인에 의해 가산을 탕진한 남편이 온갖 슬픔을 겪으면서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개과천선하는 이야기를 말합니다. 놀기 좋아하는 탕자가 착한 아내와 삽니다. 탕자는 기생에 현혹되어 가산을 쓰고, 기생 밑에서 고난을 겪습니다. 탕자는 착한 아내의 도움으로 가산을 찾습니다. 그리고 탕자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개과천선합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소설 옥주호연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
고전소설 유씨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용소와 며느리 바위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신광한 서재야회록 해석 해설 주제 설명 줄거리 정리 (0) | 2022.08.16 |
설화 세 선비의 꿈 해석 해설 특징 뜻 주제 정리 분석 (0) | 2022.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