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옹고집전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옹고집전
옹고집전 해설
옹고집전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불교적 설화가 판소리를 거쳐 소설로 자리 잡은 작품으로 놀부형 인간인 옹고집의 개과천선 과정을 통해 이기적으로 행동하고 사회윤리를 무시하고 살아가는 부도덕한 인물에 대한 비판과 풍자의 태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인공 옹고집은 물질적 욕망만을 추구하고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도리마저 지고 마는 패륜적 인물에 해당하지만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편집자적 논평을 통해 인간의 도리를 지키고 남에게 나쁜 짓을 하지 않고 착하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제의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옹고집전 주제
옹고집전 주제 입니다. 옹고집전 의 주제는 개과천선을 통한 인간의 참된 도리에 대한 비판입니다.
옹고집전 줄거리 요약
옹고집전 줄거리 요약입니다. 옹진골에 사는 옹고집은 성질이 약하고 인색하며 80세 노모를 돌보지 않는 불효자이며 승려와 거지를 무시하는 등 악행을 일삼는 인물입니다. 어느 날 월출봉 비치바위의 학대사가 옹고집을 찾아가는데 옹고집은 학대사를 문전박대합니다. 이에 도승은 허수아비에 부적을 붙여 가짜 옹관묘를 만듭니다. 이후 호온가는 진짜 옹고집 찬온가의 집으로 찾아가고, 호온가와 참온가는 서로가 진짜라고 다투게 됩니다. 두 사람은 원장을 찾아가 진위를 판단해달라는 소송을 하고, 원장은 세상살이와 가계 족보를 잘 알고 있다는 이유로 허언가를 진짜 고집으로 인정합니다. 집에서 쫓겨난 참언가는 도승을 찾아가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고 도승이 준 부적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갑니다. 참언가가 부적을 던지면 박하사는 허수아비로 변하고, 이에 참언가는 착한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기로 합니다.
옹고집전 특징
옹고집전 특징 입니다. 이기적이고 사회윤리를 무시하는 부도덕한 인물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판소리계 소설입니다. 물질적 욕망만을 추구하는 부유층을 통해 화폐경제가 발달한 조선 후기 시대상을 반영합니다. 참옹가로 형상화된 조선후기 향촌사회 부유층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책무를 강조합니다. 편집자적 논평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살기 위한 태도를 직접 보여줍니다. 참옹가가 참회하는 모습을 통해 개과천선이라는 주제의식을 강조합니다. 비현실적인 상황을 통해 전기성을 나타냅니다.
옹고집전 분석
옹고집전 분석 입니다. 문제의 원인의 발단은 옹고집은 팔순 노모를 돌보지 않는 불효자이자 악행을 일삼는 인물입니다. 학 대사님이 옹고집을 찾아가지만 옹고집은 학 대사님을 문전박대합니다. 문제의 발생 전개 위기 절정학 대사는 집에 가짜 옹고집을 만들어 옹고집의 집으로 보내고 이로 인해 옹고집은 집에서 쫓겨나게 됩니다. 문제의 해결 결말, 학 대사를 만난 옹고집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친 후 부적을 얻게 되고 집에 가면 가짜 옹고집이 사라집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낭자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
전우치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사씨남정기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영영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남염부주지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