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원생몽유록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원생몽유록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원생몽유록

원생몽유록

 

 

원생몽유록 해설

원생몽유록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조선 선조 때의 문인 임제가 쓴 몽유록계 소설입니다. 의로운 선비의 원자허가의 꿈을 통해 단종, 그리고 사육신으로 여겨지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단종의 억울함을 드러내고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판하려는 의도가 담긴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원생몽유록 주제

원생몽유록 주제 입니다. 원생몽유록 의 주제는 역사의 모순과 부조리한 정치에 대한 비판입니다.

 

원생몽유록 줄거리 요약

원생몽유록 줄거리 요약입니다. 원자허는 현실에 소외된 선비로 숭핍한 처지에 있었지만 선비로서의 기개를 잃지 않고 공부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어느 날 원자바오는 책을 읽다가 잠이 들었는데 꿈속에서 복건을 쓰고 야복을 입은 남자를 만납니다. 그의 초청으로 원자바오는 한 왕과 다섯 명의 신하를 만나 좌선하고 토론 후 시연에 참여합니다. 왕위찬탈의 비애와 울분을 노래한 시를 주고받으며 저마다 슬픔에 잠겨 눈물을 흘리던 중 기이한 남자가 한 명 뛰어듭니다. 그는 비범한 무인이었지만 왕에게 예를 갖추어 인사한 뒤 썩은 선비와는 대사를 이룰 수 없다며 칼을 빼들고 춤을 추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날씨가 흐리고 비바람이 몰아치고 천둥이 치면 원자바오는 꿈에서 깨어납니다. 그의 친구인 해월거사가 꿈에 대해 억울함을 시로 표현하며 마무리됩니다.

 

원생몽유록 특징

원생몽유록 특징 입니다. 액자 형식을 취하고 있는 몽유록 괴소설. '몽'이라는 우회적인 수단으로 단종과 사육신을 등장인물로 형상화합니다. 서사적 진행보다는 삽입시를 통해 사건을 전개하고 주제의식을 나타냅니다. 세조의 왕위찬탈을 소재로 정치권력의 모순을 폭로하고 인간사의 부조리에 대한 회의를 나타냅니다. 해월거사를 작가의 분신적 존재로 설정해 현실에 대한 작가의 비판 의식을 토로합니다.

 

원생몽유록 분석

원생몽유록 분석 입니다. 몽유록계 작품으로 생육신 중 한 명인 원호를 주인공으로 하여 사육신 및 단종의 사후생활을 그린 것입니다. 즉 주인공 원생이 어느 가을밤에 꿈속에서 단종과 사육신에 비유된 인물들을 만나 술을 마시고 노래를 만들며 비분강개하다 깨어났다는 이야기입니다. 세조의 왕위친탈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정치권력의 모순을 폭로한 이 작품은 중세 권위에 대한 비판정신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두 작품의 제목은 몽에서 보듯 모두 꿈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두 이야기는 모두 현실에서 꿈으로, 그리고 꿈에서 깨어나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구조이며 현실 인물이 자신이 꾼 꿈의 내용을 기로에 세우는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의 소설을 몽유록계 소설이라고 부르고, 이러한 소설의 대부분의 제목에 몽유록이 들어갑니다. 안빙몽유록은 신광한의 작품으로 1533년에 간행된 기재가 여기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안빙목유록은 꽃과 나무를 의인화해서 표현한 작품이에요. 과거 시험에 여러 번 떨어진 안빈은 꿈 속 신비한 세계에서 여왕과 많은 인물을 만나 시를 지으며 놀고 있습니다. 그러다 꿈에서 깬 후 안빈은 꿈에 나타난 인물이 정원의 꽃과 나무였음을 깨닫고 다시 글 공부에 몰두합니다. 안빙의 꿈은 정원에서 한가롭게 놀았던 과거를 반성하고 다시 학문에 정진하는 계기가 되는 것입니다. 한편 꿈속에서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즐겁게 시를 지으며 노는 가운데 출당화만 밖에서 혼자 울고 있는데, 이 여성은 억울한 이유로 죄를 얻고 차별받고 소외되는 인물로 그려집니다. 이것은 저자인 신광한의 경험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글을 창작할 당시 신광한은 훈구파에 의해 신진 사림이 살해되거나 귀양을 가게 된 사건인 기묘사화와 관련하여 세상과 동떨어져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억울한 처지를 소설 속 출당화를 통해 표현한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