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사소설
송사소설 해설
송사소설의 해설이에요. 억울한 일을 관청에 호소하고 해결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고전 소설'사법 관청의 법정에서 자란 소설'이라고 해요. 의미로 '공안 소설'동시 해요. '소송 사태 해결 과정 및 그 결과'가 소설의 발단 분쟁과 결말에 대응되는 구조가 되어 전개되는 소설이에요. 공안이란 용어는 원래 중국어로 이 말의 본래 의미는 '관공서의 문서'라는 뜻이었다. 그것이 뒷날'재판 사건의 문서'라는 의미로 전용되고 중국 소설과 희곡의 한 계통 명칭으로 쓰이게 된 것이에요. 그런데'공안'이라는 용어는 소송 사건 재판 사건이라는 뜻으로 쓰인 용례를 우리 문헌에서 찾을 수 없으며 이는 재판 사건 헤교루쟈을 중심으로 하는 용어기 때문에 갈등 당사자 중심으로 전개되는 송사소설 작품을 가리키게는 그 포괄성이 부족하고 있어요. 이런 이유 때문에 '공안'이라는 어휘는 소설의 계통 명칭에서 적절한 용어가 없어요.
송사소설 종류
송사소설 종류는 온갖 소설에 해당하는 작품에서는 화은세교루송, 니시오 주력 서동 지전·와사옥의 소옥키 까치 쵸은・녹쵸사 연회, 정수의 경전·장화 홍련전·킴잉햐은쵸은 김 씨 욜헹록 김 씨 남쵸은키·다모 전·신계 후쵸은·양반 전·왕교은료은쵸은·몽교루쵸항송·이웅송쵸은·웅에쵸은·유연전·팍효과 전·홍 욜 부전, 쵸은・효 자전·킴승브쵸은· 진 방전·옥 난쟈 전·박문 수전 삼사 후에은이프 황천기 등이 꼽혀요. 한국 송사소설의 자생적 연원으로는 고조선의 팔 조금 법에서 유추되는 소송 사건, 탈헤싱화 소송 모티브 및 고려 시대의 각종 소송 설화 등이 꼽혀요.
그러나 송사소설의 형성과 전개의 구체적인 모습은 조선 전기 이후 볼 수 있어요. 조선 시대 사회는 통치 이념과 제도에서 보고, 소송 문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드러나고 있어요. 이는 무고한 피해자가 늘어나는 현실에 기인하는 소송에 대한 관심과 소송을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에서 기인하는 관심으로 나뉘어요. 전자에서는 잉율비브율, 응하지 않는 상부 등의 임의적 법 적용과 소급 입법 법의 적용의 신분적 차별, 고문 제도적 허용, 사적 복수의 묵인 등을 들 수 있고 후자에서는 훔휴루의 애민 정치, 사대부에 유루 서울 가락을 필독하고 지방 수령의 평가 기준 및 임용 자격으로 소송 처리 능력과 경력의 이수를 필수적인 요건에서 부과하고 있는 점 등이 꼽혀요. 이들은 바로 송사소설이 형성된 사회·법제적 토대를 의미해요.
송사소설 근원
송사소설 근원은 송사 소설의 제재적 근원으로는 실사와 설화가 들 수 있어요. 설화가 소설화된 작품으로는 정수경전·서대주전·황새결송·옥낭자전·진대방전 등이 있으며, 실사가 소설화된 작품으로는 유연정·홍열부전·박효란전·진대방전·김승부전·전효자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조선시대의 각종 야담집과 목민심서·흠신서·임관정요·율의요람·수교정례 등에 수록된 송사설화 및 실사를 바탕으로 작자의 허구성과 작의성에 의해 소설화된 작품들입니다.
송사소설 특징
송사소설의 특징은 송사소설의 주요 내용은 송사의 발생 동인과 갈등 양상에서 잘 드러납니다. 이를 ① 신분갈등 ② 가족성원갈등 ③ 향촌사회의 계층갈등 ④ 권력의 횡포와 저항의지와의 갈등 ⑤ 관습·규범의 억압과 극복의지와의 갈등 등으로 크게 유형화할 수 있습니다. ① 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신계후전·양반전을 들 수 있으며, ②의 작품으로는 장화홍련전·김씨열행록·김인향전·홍열부전 등을, ③의 작품으로는 황새결송·서대주전·까치전 등을, ④의 작품으로는 유연전·박효랑전·김순부전 등을, ⑤의 작품으로는 정수경전을 들 수 있습니다. 소송소설의 특징으로는 사건의 발생과 해결이 '과제 부여'와 '과제 해결'의 수수께끼적 구조를 갖는다는 점과 함께 소송사건의 결말이 작품의 주제의식으로 명확히 부각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수수께끼의 구조는 단순형·중복형·액자형·병렬형·복합형의 5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이 중 특히 액자형·병렬형·복합형에 해당하는 각각의 작품은 그 다원적·복합적 구성방식에 따라 갈등의 다양성과 함께 추리적 긴장의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송사소설의 결말은 원억형, 신원형, 화해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습니다.
원 억원의 결말 작품은 억울하게 핍박받는 자의 원한이 맺어지는 모습을 통해 당시 사회의 부패·타락상을 비판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신원형 결말 작품은 한의 매듭과 풀리라는 과정을 통해 등장인물의 기쁨은 물론 독자까지도 함께 풀림의 축제로 끌어들이고 있으며, 화해형 결말의 작품은 윤리적 타락의 상태를 바로 일깨움으로써 반성을 통한 교화의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송사소설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면 15·6세기까지는 왕랑반혼전·남염부 주지·설공찬전 등 명단심판 모티브를 축으로 전개되는 소설들이 창작되었습니다. 이들은 현실적인 의미의 소송사건을 형상화한 소송소설 자체는 아니지만, 인간의 사후세계를 현세적 삶에서 만든 선악의 판결을 통해 자리매김하려 한다는 점에서 소송의 전단계적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17세기가 되면 송사모티프는 현실 재현적 구체성의 모습을 온전히 지니고 소설화됩니다.
이 시기의 송사소설로는 유연전·홍열부전·김씨남정기·장화홍련전 등이 있으며, 이들은 실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실주의적 성향이 뚜렷하고 신원형 결말을 통해 교화적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18·9세기 송사소설은 당대의 현실에 대한 더욱 깊어진 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대주전·황새결송 등과 같이 원억형 결말을 통해 현실 비판정신을 그려내는 소설도 있고, 양반전·삼사공입황천기처럼 판단유보적인 개방형 결말을 통해 독자들에게 다원적 현실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소설도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담당층의 견해에 따라 다양한 이본이 창작되며, 기존의 문학 관습을 차용하여 새로운 작품이 창작되기도 합니다. 근대 전환기에도 송사모티프는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며, 이 시기의 신문 연재 소설 및 신소설 일부에서는 송사모티프가 삽화적 기능 또는 플롯 주도적 기능을 띠고 나타납니다.
송사소설 분석
송사소설의 분석으로는 송사소설의 문학사적 의의로는 한국설화의 중요한 모티브 중 하나인 의문의 모티브를 소설로 형상화함으로써 추리적 성격을 지닌 소설작품이라는 점과 그 외의 고전소설에 비해 리얼리티가 비교적 풍부한 소설이라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후자에 대해서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송사소설은 평범한 인물의 일상적인 활약상, 삶의 한 단면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야기, 꿈의 기능 퇴조, 지상계에서의 사건 진행 등의 측면에서 여타 고전소설과는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바로 송사소설이 리얼리티를 가진 작품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유를 현실적 주요 관심사의 소설화, 우연성이 절제된 구성 방식, 작자의 현실 지향 의식이 기존 질서의 회복 의지와 모순·부조리의 현실 고발 의지 등 두 방향으로 명확히 드러나 있는 점 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송사소설은 한국 고전소설의 하나로서의 독자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①소송소설 모두가 '소송사건의 발생과 해결과정·판결 및 그 결과에 대한 반응'이라는 구조적 유사성을 가졌으며 ②소송의 결말 유형, 즉 신원형·화해형 결말과 원억형 결말은 각각 교훈적이고 비판적 주제의식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들은 효용적 유사성의 묶음이었고 ③당대 소송의 담당층은 소송이라는 계통적 준거틀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일대주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
국선생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황새결송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유연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은애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0) | 2022.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