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덴동어미 화전가 해석 해설 주제 감상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덴동어미 화전가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덴동어미 화전가

덴동어미 화전가

 

 

덴동어미 화전가 해설

덴동어미 화전가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화전놀이에 참여한 천동모가 한 청춘 과부견이 뜻을 물어 자신의 불행한 인생역정을 들려주고 이를 만류한다는 내용으로 놀이의 즐거움과 향락적인 분위기를 주로 다루는 여타 '화전이' 작품과 달리 천동어머니라는 비극적 주인공의 이야기가 실감나게 삽입되어 있어 주목된다.

 

덴동어미 화전가 주제

덴동어미 화전가 주제 입니다. 덴동어미 화전가 의 주제는 천동어미의 화전가에서는 여느 화전가와 달리 천동어미의 기구한 인생 역정을 담고 있습니다. 양반 부녀자들이 지어 부른 전형적인 규방 가사로서의 '화전가'와는 다릅니다. 유흥적인 분위기와 삶의 여유를 노래하는 양반들의 '화전가'와는 달리 이 작품은 고난에 찬 비극적인 여성의 삶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생긴 이유는 사대부부녀들의 석방 가사를 본떠 변형시키는 수법으로 기존의 관념에 대한 하층민의 반발을 나타내며 부정적이고 모순된 세계를 고발하려는 욕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유흥적 소용돌이에 그치지 않고 사실에 가까운 조선후기 하층민의 삶을 한 여성의 기구한 인생역정을 통해 형상화함으로써 기존 관념에 반발한 조선후기 하층민의 의식과 힘겨운 운명 앞에서 굴하지 않고 이를 극복해 나갈 여성의 삶과 의지를 보여준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덴동어미 화전가 감상

덴동어미 화전가 핵심 정리 입니다. '텐돈오미'는 '운명을 거스르는 길'이었습니다. 도달한 것은 운명에 도망칠 수 없다는 인식입니다. 그녀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태도와 체념이 아니라 운명의 겸허한 수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종의 달관의 경지마저 보이는 텐돈어미는 운명에 흔들리지 않게 된 것입니다. 그녀가 고향에 돌아와 지나간 삶을 돌이켜봤을 때 개가가 아닌 수절이라는 그녀는 선택하지 않은 길이 보였습니다. 그녀가 선택한 길이 결국 실패로 끝났기 때문에 더 나아가 그녀 자신이 걷지 않았던 길을 새삼 가치 있게 보인 것입니다. 언뜻 보면 이 가사는 개가를 반대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이는 아닙니다. 운명을 거스를 수 없다는 게 더 보여요. 요컨대 형식적으로도 내용적으로도 된 동어미의 인생역정을 중심으로 완벽한 대칭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텐돈어미의 인생역정 못지않게 이화정놀이에서의 그녀의 역할도 주목됩니다. 화전놀이를 흥취롭고 즐겁게 한 사람이 바로 그녀입니다. 청춘 과부는 화전놀이 규칙을 어기고 일상의 규율을 연장시켰습니다. 이런 일을 메주알은 차단하고 슬픔을 기쁨으로 전환시킨 것입니다. 이는 깨달음이 신명으로 이어졌다는 점이 된 동어미 역할의 중요한 점입니다.

 

덴동어미 화전가 특징

덴동어미 화전가 특징 입니다. 

 이 작품에서 특히 주목되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덴동어미의 사연이 전체 '화전가' 속에 일종의 액자 형식으로 들어 있다는 점이다. 이 덴동어미의 사연은 청춘 과부의 개가를 만류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작되며, 이야기가 끝나자 더욱 신명나게 놀게 되는 것으로 보아 작품 전체의 구조 속에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액자 형식은 사연의 설득력을 높이고 실감을 주는데 기여한다.

 

덴동어미 화전가 분석

덴동어미 화전가 분석 입니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하층민에 의해서 창작되어졌다. 노래 배경은 경상북도 순흥의 비봉산이다. 이 가사 의 구조는 점층적 구조로 첫째, 화전가는 과정과 놀이가 나타나 일반적 花煎歌 분위기가 나타난다. 둘째, 청춘 과부의 개가해야 하는 심정과 덴동어미의 인생 역정이 드러난다. 셋째, 서술자가 '화전놀이'의 의미를 새기며 내년을 기약한다. 즉 둘째 부분의 내용은 여타의 화전가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 일종의 액자형식을 취하고 있어 설득력과 실감을 풍부히 하는 효과를 가지고 오는 구성상의 특징이다. 덴동어미는 순흥 읍내 이방의 딸로 그의 남편은 이방, 아전, 옹기장수, 엿장수에게 개가를 들면서 인생의 역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모습은 ① 중인층 신분이 하층민으로 몰락하는 과정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점과 ② 고난에 찬 하층민의 생활상이 드러난 점, ③ 절망적 삶에 굴복하지 않고 극복해 가는 민중의 생명력을 보여주고 있다. 즉 ① 조선말의 사회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점, ② 기존의 관념(성리학적 세계관)에 대한 반발을 볼 수 있다. 덴동어미의 개가하는 행위는 기존 관념과 상관없이 생명력을 위한 행위이고 덴동어미가 개가를 반대하는 행위는 모순에 찬 세상을 고발하려는 행위인 것이다. ③ 역사적 으로 당시에 실재했던 일(이포를 추심하는 것, 병술년(1866)에 전국에 콜레라가 만연한 사실), 구체적 지명(경북 일원), 구체적 사람의 性(둘째 남편 조씨)을 명시한 점 등은 사실에 기한 것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