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홍씨부인 계녀가 해설 주제 뜻 배경 특징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9. 4.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홍씨부인 계녀가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홍씨부인 계녀가

홍씨부인 계녀가

 

 

홍씨부인 계녀가 해설

홍씨부인 계녀가 해석 해설입니다. 딸을 시집 보내는 어머니의 안타까운 심정을 읊은 규방가사이다.  

 

홍씨부인 계녀가 주제

홍씨부인 계녀가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주제 : 딸을 시집 보내는 어머니의 안타까운 마음 

 

홍씨부인 계녀가 줄거리

홍씨부인 계녀가 줄거리 입니다. 

남의 업 식쳐로 금옥갓치 고히 길너
귀문(貴門)의 입승(入承) 후 서랑(壻郞)의 은 풍
원앙의 (雙)을 지어 오락가락 거동
앙망심듕(仰望心中) 엿더니 죠물이 시긔하고
셰가 분분야 옥갓 네 형용을 원별(遠別)이 일격(日隔)니
슉야(夙夜)의 만곡슈회(萬曲愁懷) 엇더타 형언하랴
녀 된 후의 구가(舅家)의 의탁이라
시의 즐거오미 구고(舅姑)의 즐 바다 죤당을 봉효하고
긔화 위열(慰悅)며 군 셩슌(承順)고 친쳑을 존경야 화목(和睦) 기 일으면 방인의게 시비 업고 하 복종야 인언(人言)이 없리라 
효우(孝友)가 엇듬이요 화열이 졔일이니 질도 여되고 부문(浮聞)도 헛말이라.
<중략>
잘 가거라 잘 가거라 험노원졍(險路遠程)  가거라
귀문의 입승야 한량업 들 복을
뉘 물니고 를 라 효봉구고(孝奉舅姑) 셩슌군(承順君子)
옥동화녀(玉童化女) (雙)으로 평을 안낙(安樂)면
이 의 못 잇고 그리오미 츈셜(春雪)갓치 풀니리라.
촉하(燭下)의 심심키로 잠든 너 어로만져 
몃몃 번 탄식(歎息)이며 눈물이 가리오니
슈일간(數日間) 네가 가면 형용과 녜 가
눈의 암암 귀의 경경(耿耿) 션물실과(膳物實果) 로 나니
너럴 불너 먹일 듯 명시가졀(明時佳節) 도라오면
너를 불너 즐길 듯 칠 듯  듯
이 졍 회포 아마도  둔 
일반일 듯 우리 션친(先親)도 날 보시고 
회포가 이쳐로 간졀셔실지니
가지록 뷸효막심 불효막심 후회난감여라.
셰셰(細細)  연(辭緣)은 여산약(如山若海) 건마 
후인이 볼시면 유(有難)고 실업시 알 듯
총총 츄필(醉筆)니 어미 각나거든 
조용히 여보고 본을 다 부부
조시조심  잇다가 명츄간(明秋間) 네 동
  반가이 다시 보.
어미 각 과히 말고 부 조심  잇거라.
병신 국월 십이일 촉하의 그리노라.

 

홍씨부인 계녀가 배경 특징

홍씨부인 계녀가 배경 특징 입니다. 

귀하게 기른 자식을 하루 아침에 떠나보내야 하는 안타까운 마음, 그리고 떠난 보낸 후에 갖게 될 그리움, 곧 다시 보기를 바라는 마음 등이 잘 드러나 있다.

 

홍씨부인 계녀가 분석

홍씨부인 계녀가 분석 입니다. 

◉ 지은이 : 작자 미상
◉ 갈래 : 내방가사
◉ 특징
① 어머니가 딸에게 편지로 당부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② 딸엑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면서도 다른 사람이 보는 것을 의식하여 말을 조심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