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by 문학정보 2022. 10. 2.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해석 해설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해석 해설입니다.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소년에 대한 기대를 바다에 비유하여 표현한 이 시는 전대의 시가 지닌 정형성을 깨뜨리고 자유로운 형태를 추구했다는 점에서 신체시의 효시가 되었다. '텨…ㄹ썩 텨…ㄹ썩 �� 쏴…아.' 하는 장쾌한 의성어가 반복되는 이 시는, 거칠 것 없는 대담한 서술체에서 미래를 걸머질 소년에 대한 따뜻한 희망의 어투로 바뀌면서 시상을 종결짓고 있다. 이 시에서는 의인화된 바다가 시적 화자이다. 이 바다는 힘센 것과 순결한 것을 속성으로 하고 있다. 이 바다가 사랑하는 존재 역시 담이 크고 순수한 소년들이다. 바다와 소년이 그 속성에서 완전히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 시는 힘 있고 순결한 소년에 대한 믿음을 표현한 것이다. 이것을 시대와 관련시켜 본다면 바다는 세계이고, 소년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새 시대의 주인공으로 설정된 셈이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시어의 생경함과 구어식 산문투의 거친 표현은 신체시의 과도기적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기존의 정형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율조를 구사해 본 것, 의성어를 도입하여 새로운 느낌을 부여한 것 등은 참신한 시도라 할 것이다.

[참 고]
● '신체시'에 대하여
⇒ 신체시란, 신시(新詩)라고도 하며, 고대 시가에 대해 갑오경장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시를 일컫는 말로, 창가의 정형적인 율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율조 속에 새로운 내용을 담은 시 형태를 말한다.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정형시의 잔재와 계몽성 때문에 완전한 자유시가 되기에는 미흡하지만, 우리 시문학사상 정형률을 벗어났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신체시의 형식은 3 · 4조가 기본이 되는 구형을 깨뜨리고, 7 · 5조 내지 3 · 4 · 5조의 새로운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부분적 정형률은 가졌지만 전체가 일률적인 율조로 된 것이 아니란 점에서 자유시에 한 발 다가선 형태이다.
중심 내용은 개화의식, 자주독립과 민족정신, 신교육, 남녀평등 등의 사상을 담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신체시는 근대정신의 소산으로 전통적인 인습을 타파하고 서구문화를 수용하려는 근대화 운동의 표현이기 때문에 그 이전의 전통시가와는 다른 이질적인 것이다. 즉, 신체시는 이전까지의 가창을 전제로 한 고시가와 개화가사 혹은 창가의 율조에서 벗어나 산문화한 자유시에로 이행되는 과도기의 시적 형태의 하나이다. 
'정형성의 탈피, 구어체의 채용, 옛 시가와의 주제의식의 변별' 등은 이전 시가와 대비되는 신체시의 중요한 특징들이다. 
 
● '바다'의 의미
⇒ 이 시에서 바다는 의인화되어 있고, 그 의인화된 바다가 화자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바다는 사물로서의 그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 바다의 속성은 단지 두 가지로만 되어 있다. 하나는 힘이 세다는 것, 다른 하나는 순결성이다. 달리 말해 순결성과 위력을 가진 인격체로 바다를 파악하고 있을 따름이다. 지극히 센 힘과 지극히 순결한 바다라는 인격체가 오직 사랑하는 것은 '소년배'일 뿐이다. 담 크고 순정한 소년배와 힘세고 순결한 인격체(바다)는 이에 완전히 대응되고 있다. 이 도식에서 우리는 대번에 계몽주의자 육당의 의도를 읽어낼 수 있다. 그것은 힘과 순결성만으로 집약된다. 그리고 그 밑바닥에는 계몽주의적 낙관주의가 너무 짙게 노출되어 있다. 소년가 바다의 대응은 화해 관계에 놓여 있다. 
 
● 최남선이 신문화 건설에 미친 영향
⑴ 민족 계몽 : 장래 역사의 주인공이 될 청소년들을 깨우칠 목적으로 <소년>, <붉은 저고리>, <아이들 보이>, <샛별>, <청춘> 등의 잡지를 간행했다.
⑵ 현대문학에의 선구적 업적 : 창가, 신체시에서 자유시, 산문시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형태에 걸쳐 문학상의 새로움을 추구하였다. 문학사에서 1908년부터 1919년까지를 최남선, 이광수 '2인 문단 시대'라 할 정도이다.
⑶ 신문장 운동 : 언문일치 운동을 전개하여 문장 개혁을 주도했다.
⑷ 시조부흥운동과 근대수필의 개혁 :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시조집인 <백팔번뇌>와 기행수필 '삼춘순례', '백두산 근참기' 등을 남겼다.
⑸ 고전의 소개 : 춘향전 등 고전소설을 '육전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펴내고, 광문화를 통해 <열하일기> 등을 간행했다.
⑹ 국사의 대중화에 기여 : <단군론>, <삼국유사 해제> 등의 역사책을 써서 보급하였다.
 

목록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주제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주제 입니다. 

주제 : 소년의 시대적 각성과 의지
◆ 의의 : 신체시의 효시가 되는 작품으로, 근대 자유시 형성에 영향을 줌.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내용 요약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내용 요약 입니다.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최남선-







텨……ㄹ썩, 텨……ㄹ썩, ��, 쏴……아.
따린다, 부슨다, 문허 버린다.
태산 갓흔 놉흔 뫼, 딥태 갓흔 바위ㅅ 돌이나,
요것이 무어야,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나냐, 모르나냐, 호통까디 하면서,
따린다, 부슨다, 문허 버린다.
텨……ㄹ썩, 텨……ㄹ썩, ��, 튜르릉, 콱.


텨……ㄹ썩, 텨……ㄹ썩, ��, 쏴……아.
내게는, 아모것, 두려움 업서,
육상에서 아모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者)라도,
나 압헤 와서는 꼼�y 못하고,
아모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디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압헤는.
텨……ㄹ썩, 텨……ㄹ썩, ��, 튜르릉, 콱.


텨……ㄹ썩, 텨……ㄹ썩, ��, 쏴……아.
나에게 뎔하디 아니한 자가
지금까디 잇거던 통긔하고 나서 보아라.
진시황, 나팔륜, 너의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의 역시(亦是) 내게는 굽히도다.
나허구 겨르리 잇건 오나라.
텨……ㄹ썩, 텨……ㄹ썩, ��, 튜르릉, 콱.


텨……ㄹ썩, 텨……ㄹ썩, ��, 쏴……아.
됴고만 산(山)모를 의지하거나,
됴ㅅ쌀 갓흔 �Z은 섬, 손ㅅ벽만한 땅을 가디고,
고 속에 잇서서 영악한 톄를,
부리면서, 나 혼댜 거룩하다 하난 자
이리 �� 오나라, 나를 보아라.
텨……ㄹ썩, 텨……ㄹ썩, ��, 튜르릉, 콱.


텨……ㄹ썩, 텨……ㄹ썩, ��, 쏴……아.
나의 �y될 이는 한아 잇도다.
크고 길고, 널으게 뒤덥흔 바 뎌 푸른 하날.
뎌것은 우리와 틀님이 업서,
�Z은 시비(是非) �Z은 쌈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업도다.
됴 따위 세상에 됴 사람텨럼,
텨……ㄹ썩, 텨……ㄹ썩, ��, 튜르릉, 콱.


텨……ㄹ썩, 텨……ㄹ썩, ��, 쏴……아.
뎌 세상 뎌 사람 모다 미우나
그 중에서 똑 한아 사랑하난 일이 잇스니,
담(膽) 크고 순정(純精)한 소년배들이
재롱텨럼 귀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김이로다.








오나라, 소년배. 입맛텨 듀마.
텨……ㄹ썩, 텨……ㄹ썩, ��, 튜르릉, 콱.

-<소년>(1908)-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배경 특징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배경 특징 입니다. 


 
< ※ 이 자료는 서주홍의 '문학 속으로'에서 퍼온 글입니다. >
 
[개관 정리]
◆ 성격 : 계몽적, 신체시
◆ 표현 : 의성법, 직유법, 반복법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텨……ㄹ썩, 텨……ㄹ썩, ��, 쏴……아 → 표면상 파도의 웅장함과 힘을 나타내는 의성어인데, 이는 소년의 씩씩한 기상을 상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무한한 힘을 가지고 있는 바다와 무한한 희망을 가지고 있는 소년의 기개는 상통하기 때문이다.
    *  태산 갓흔 놉흔 뫼, 딥태 갓흔 바위ㅅ돌이나 → 엄청나게 높은 산이든 집채처럼 큰 바윗돌이든(파도 앞에서는 보잘것없다). 산과 바윗돌은 파도의 진전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이니 그 상징 의미는 개화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로 볼 수 있다. 시대적 배경으로 보아 '일제'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 나의 큰 힘 아나냐, 모르나냐, 호통까디 하면서  → 화자인 '나'는 바다를 뜻하며 무한한 희망과 힘을 지닌 소년과 대응된다. 그러므로 '나의 큰 힘'은 문명 개화를 이룰 수 있는 힘을 뜻한다.
    *  육상에서 아모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라도 → 땅 위에서 아무리 큰 힘과 권세를 부리던 사람일지라도.  지상의 힘과 권력을 압도하는 바다의 기개를 표현한 말이다. 시대 상황과 관련하여 '힘과 권을 부리던 자'를 일제히 해석할 수 있다.
    *  지금까디 잇거던 통긔하고 나서 보아라. → 아직도 나의 위력에 굴복하지 않는 존재가 있으면 기별하고 나서 보라는 뜻으로, 바다가 지닌 기개를 과시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  됴고만 산(山)모를 의지하거나, 됴ㅅ쌀 갓흔 �Z은 섬, 손ㅅ벽만한 땅을 가디고, 고 속에 잇서서 영악한 톄를, 부리면서, 나 혼댜 거룩하다 하난 자 → 우물 안 개구리 식의 오만한 태도로 문명 개화를 꺼리는 모든 부류의 사람들, 또는 섬나라에 살면서 우리나라를 삼키려고 드는 일본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있다.
    *  나의 �y될 이는 한아 잇도다. → 바다의 큰 뜻과 통하는 것은 푸른 하늘뿐이라는 뜻이다.
    *  �Z은 시비 �Z은 쌈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업도다 / 됴 따위 세상에 됴 사람텨럼. → 저 세상의 인간들이 지닌 시비와 더러움이 없는 하늘은 나의 벗. 바다와 하늘의 공통되는 맑고 깨끗한 속성과 인간 세상의 더러움을 대비적으로 표현함.
    * 담(膽) 크고 순정(純精)한 소년배들이 재롱텨럼 귀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김이로다. 오나라, 소년배. 입맛텨 듀마. → 바다와 소년이 지니는 공통점으로 담 크고 순정하다는 점을 들어 대응시키고 있다. 구시대를 개혁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데 소년을 주인공으로 삼자는 작자의식을 드러낸 부분이다. 새 시대의 주역이 될 소년들에게 입맞춰 준다는 것은 시대적 요청인 '문명개화'를 뜻한다.
 
◆ 제재 : 바다(새로운 문물)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분석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분석 입니다.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바다의 위력 - 모든 것을 부수고 무너뜨림.
◆ 2연 : 바다의 위엄 - 어떤 것도 두려워하지 않음.
◆ 3연 : 바다의 기개 - 모든 것을 굴복시킬 수 있음.
◆ 4연 : 바다의 호통 - 개화에 부정적인 자에 대한 비판.
◆ 5연 : 바다의 속성 - 하늘과 같이 맑고 깨끗함.
◆ 6연 : 바다의 소년 - 바다는 담 크고 순정한 소년을 좋아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