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해석 해설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해석 해설입니다.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의 중심 소재인 해바라기는 물론 단순한 꽃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상징이다. 해바라기의 상징적 의미는 불령스런 의지라고 이 시의 2연에서 밝히고 있다. 해바라기의 상징적 의미를 이렇게 만든 것은 전적으로 시인 유치환의 개인적, 문학적 창조이다. 따라서 시의 독창성도 그만큼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해바라기는 현실적 사물이요, 불령스런 의지는 초현실의 세게에 속하는 관념이다. 상징은 눈에 보이는 사물을 통해 보이지 않는 세계를 표현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여기서 재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보이지 않는 세계, 즉 불령스런 의지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의미의 내포를 지니고 있다. 이를 테면 그것은 자연이나 운명의 시련을 끝까지 감내하는 의지일 수도 있고, 또 시대적 고난을 꿋꿋하게 견디는 지사적 의지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의적인 시적 의미는 물론 한마디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
목록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주제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주제 입니다.
주제 : 의지적 존재로 살고자 하는 의지, 삶의 방식으로서의 의지 추구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내용 요약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내용 요약 입니다.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해바라기 밭 해바라기들 새에 서서
나도 해바라기가 되려오.
황금(黃金) 사자(獅子) 나룻
오만(傲慢)한 왕후(王候)의 몸매로
진종일 짝소리 없이
삼복(三伏)의 염천(炎天)을 노리고 서서
눈부시어 요요히 호접(胡蝶)도 못오는 백주(白晝)!
한 점 회의(懷疑)도 감상(感傷)도 용납지 않는
그 불령(不逞)스런 의지의 바다의 한 분신(分身)이 되려오.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해바라기 밭으로 가서
해바라기가 되어 섰으려오.
-<생명의 서>(1947)-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배경 특징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배경 특징 입니다.
[개관 정리]
◆ 성격 : 상징적, 의지적
◆ 표현 : 수미상관식 구성
유사한 시구의 반복으로 화자의 내면적 지향을 강조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해바라기 → 화자가 추구하는 대상으로 구체적 의미는 2연에 형상화되어 있음.
* 새에 서서 → 사이에 서서, 동화(동질)된 상태
* 나룻 → 수염
* 오만한 → 태도나 행동이 거만하고 당당한
* 진종일 짝소리 없이 → 화자의 의연한 태도가 드러남.
* 삼복의 염천 → 뜨거운 여름 날씨, 고난과 시련의 상징
* 노리고 서서 → 상황에 대한 대결 의지가 투영됨.
* 사자 → 해바라기를 사자에 비유한 것은 외양의 유사성과 함께 강하고 당당한 의지적 존재임을 표현
* 요요히 → 매우 맵씨 있는 모습
* 호접 → 호랑나비, 나약하고 감정적인 존재, 강하고 의지적인 해바라기와 대립되는 존재
* 눈부신 백주 → 접근하기 어려운 대상
* 한 점 회의도 감상도 용납지 않는
→ 회의(지식)와 감상(감정)은 인간 삶의 문제와 본질을 해결해주지 못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바탕이 됨.
* 불령스런 → 어떠한 구속도 받지 아니하고 제 마음대로 행동하는
* 불령스런 의지의 바다 → 해바라기 밭을 상징
* 분신 → 하나의 주체에서 갈라져 나온 존재
◆ 제재 : 해바라기
◆ 화자 : 해바라기와 같이 의지적 존재로 살아가기를 갈망하는 사람
◆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분석
해바라기 밭으로 가려오. 유치환 분석 입니다.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해바라기가 되고자 함.
◆ 2연 : 해바라기의 의지적 모습 형상화
◆ 3연 : 해바라기의 분신이 되고자 함.
◆ 4연 : 의지적 존재로 살고자 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