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중록 혜경궁 홍씨 해설 주제 뜻 배경 특징 줄거리 정리

by 문학정보 2022. 9. 7.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한중록 혜경궁 홍씨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한중록 혜경궁 홍씨

한중록 혜경궁 홍씨

 

 

한중록 혜경궁 홍씨 해설

한중록 혜경궁 홍씨 해석 해설입니다. 혜경궁 흥씨(惠慶富 洪氏, 1735~1815) : 조선시대 영조의 아들 장조(莊 祖,思悼世子)의 비(妃). 본관은 풍산. 영풍부원군홍봉한(洪鳳漢)의 딸이며 정조의 어머니임. 9세 때인 1744년에 세자빈에 책봉되고, 1762년 사도세자가 죽임을 당하자 혜빈(惠嬪)에 추서됨. 후에 아들 정조가 즉위하자 궁호가 혜경(惠慶)으로 올랐고, 1899년, 남편이 장조(莊祖)로 추존됨에 따라 경의왕후(敬聽王后)로 추존. 1795년, 사도세자의 참사를 중심으로 자신의 한많은 일생을 (한중록)이라는 자서전적인 수필로 남겼음. 
이 글은 1795년, 정조의 어머니이며 사도세자빈인 혜경궁 홍씨가 남편의 참변과 자신의 기박한 운명을 회상하여 자서전적으로 기록한 수상이다. 총 4편인데, 제 1편은 정조 19년 작자의 회갑 때 쓰여졌고, 나머지 3편은 순조1년~5년 사이에 쓰여졌다. 사본에 따라 <한등록>, <한등만록>, <읍혈록> 등의 이칭이 있다. 

 

한중록 혜경궁 홍씨 주제

한중록 혜경궁 홍씨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주제: 사도세자의 참변을 중심으로 한 파란만장한 인생 회고
* 의의: ①내간체 문학의 백미
        ②전아한 궁중 용어 사용
        ③적절하고 간곡한 묘사
* 참고: 한문본도 전해지는데 읍혈록(泣血錄)이라 함

 

한중록 혜경궁 홍씨 줄거리

한중록 혜경궁 홍씨 줄거리 입니다. 

‘한중록’은 모두 네 편으로 되어 있다. 제1편은 혜경궁 홍씨의 어린 시절과 세자빈이 된 이후 50년 간 궁궐에서 지낸 이야기를 하는데, 사도 세자의 비극은 말하지 않고 넘어간다. 제2편과 제3편은 천정 쪽의 누명이 억울함을 말하는 내용이다. 제4편에서 비로소 사도 세자 참변의 진상이 기록되었다. 영조는 그가 사랑하던 화평 옹주의 죽음으로 세자에 무관심해지고, 그 사이 세자는 공부에 태만하고 무예 놀이를 즐기는가 하면, 서정(庶政)을 대리하게 하였으나 성격 차이로 부자 사이는 점점 더 벌어지게 된다. 마침내 세자는 부왕이 무서워 공포증과 강박증에 걸려 살인을 저지르고 방탕한 생활을 한다. 여기에 영조 38년(1762) 5월, 나경언(羅景彦)의 고변과 영빈의 종용으로 왕은 세자를 뒤주에 유폐시켜 9일 만에 절명하게 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또한 영조가 세자를 처분한 것은 만부득이한 일이었고, 뒤주의 착상은 영조 자신이 한 것이지 친정 아버지인 홍봉한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는 주장도 한다. 여기 실은 것은 사도 세자가 뒤주에 들어 절명하는 처분이 내리는 과정과, 그 이후 자신의 처지를 기록한 부분이다. 이 글을 쓴 혜경궁 홍씨의 당시 나이는 71세였다.

 

한중록 혜경궁 홍씨 배경 특징

한중록 혜경궁 홍씨 배경 특징 입니다. 

 제1편은 조카에게 주기 위한 순수한 회고록으로 친정중심으로 기록하였는데, 자신의 출생부터 어릴 때의 추억, 9세 때 세자빈으로 간택된 이야기와 입궁 이후 50년간의 궁중생활을 회고하고 있다. 나머지 3편은 동생 홍낙임(洪樂任)이 순조 1년 천주교 신자라는 죄목으로 사사(賜死)당한 뒤에 쓴 글로 순조에게 보일 목적으로 친정의 억울한 죄명에 대한 일종의 해명서이다. 제2편에서는 친정의 몰락에 대한 자탄을 주로 서술했는데, 정조가 초년에 외가를 멀리 한 이유나 아버지 홍인한을 멸망시킨 홍국영(洪國榮)의 전횡을 폭로하고 끝으로 동생의 억울한 죽음을 슬퍼하며 누명이 벗겨지는 날이 오기를 염원한다. 

 이듬해에 쓰여진 제 3편은 13세의 어린 손자 순조에게 보이기 위한 것으로 2편에 이어 정조가 말년에 외가에 대해 뉘우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는 사실을 기술했다. 

 제4편은 며느리 가순궁(嘉順宮)의 요청으로 썼는데, 사도세자 참변의 진상을 폭로하고 있다.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이 일어나게 된 경위와 궁중 내의 갖은 음모에 의해 일어난 임오화변의 참상을 자세히 서술하고 친정의 연루 혐의를 해명하였다. 홍씨가 차마 말하고 싶지 않은 궁중 비사의 내막을 폭로한 것도 바로 이러한 아버지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중록>은 비빈이라는 신분의 인물이 쓴 글이라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절계 야화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한편, 궁중용어와 풍속을 잘 보여주는 궁중문학의 효시로도 평가될 만하다. 문장과 표현에 있어서 고상하고도 우아한 어휘의 사용, 절실하고도 간곡한 묘사, 전아하고 품위있는 분위기를 지니고 있어 가히 한글로 된 궁중문학의 백미라 일컬어진다. 작품 전편에서 귀인다운 품위와 사실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문체를 보이며, 기구한 내용을 입체적 구성에 담고 있기에 그 자체가 한 편의 소설에 비길 만하다.  

 

한중록 혜경궁 홍씨 분석

한중록 혜경궁 홍씨 분석 입니다. 

* 작자: 혜경궁 홍씨
* 갈래: 한글 수필, 궁정 수필, 수기 형식의 자전적 회고록
* 연대: 정조 19(1795) 작자의 회갑 때 친정 조카의 요청으로 처음 쓴 후 순조 원년(1801, 67세), 68세, 71세 때 쓴 이본(異本)이 있음.
* 표현: 우아하고 품위 있는 표현
* 문체: 내간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