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문소설 송반궁도우구복
한문소설 송반궁도우구복 설명
'청구야담'이라는 야담집에 실린 작품으로 비슷한 이야기가 구비설화로도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 퍼졌던 이야기로 주정됩니다. 주인공 '막동'은 송씨 일가의 하인이었지만 가난을 이기지 못하고 몰래 도망쳐 재산을 모읍니다. 이후 양반 최승선이라는 사람인 척하면서 주위의 인심을 얻고 덕망을 인정받게 됩니다. 조선후기 양반계층으로의 신분상승을 꿈꾸던 서민들의 바람과 조선후기 신분질서의 급격한 변동양상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청구야담이란?
1700년대부터 1800년까지의 현실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조선후기 한문야담집의 하나로 결구와 수법이 뛰어나 당시의 언어, 풍속, 관습 등을 연구하기에 좋은 자료가 됩니다. 사대부들의 간단한 에피소드는 채택하지 않고 사대부들이 등장하더라도 행동 양상과 사건 설정 측면에서 하층민의 생활을 잘 드러내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야담집을 엮었습니다. 또한 하층민들이 겪는 사회적 갈등에 관심을 두고 상세한 세태 묘사를 통해 당시의 현실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야담이 소설에 가까운 경지에 이르도록 기술하고 있습니다.
한문소설 송반궁도우구복 주제
재산을 모아 양반 행세를 하던 막동의 위기 대처 능력입니다.
한문소설 송반궁도우구복 줄거리
사족 송씨 일족이 몰락한 뒤 굶주림을 견디지 못한 막동은 잠적합니다. 손씨의 어린 아들 손생이가 가난을 견디지 못하고 있어요. 최승성이라는 인물을 알게 되는데, 최승선은 성생이 자신의 옛 주인의 아들임을 알아보고 자신을 드러낸 뒤 비밀을 지킬 것을 당부합니다. 최승선은 자신의 신세를 지고 돌아가는 성생에게 거금을 선물합니다. 송생의 사촌동생은 이 말을 듣고 최승선을 만나 반상의 기강을 바로 세우겠다며 떠납니다. 송생으로부터 이별을 받은 최승선은 험피에게 광증이 있다며 주위를 속인 뒤 협박을 하며 그를 꾸짖습니다. 한피는 자신의 생각대로 상황을 이끌 수 없음을 깨닫고 정중한 태도로 최승선을 대합니다.
한문소설 송반궁도우구복 핵심 정리
갈래 : 야담
성격 : 풍자적, 비판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조선 후기, 서울, 고성
한문소설 송반궁도우구복 특징
- 청구야담에 수록되어 있으며 비슷한 이야기가 구비설화로 전승되고 있습니다.
- 조선 후기 양반계층으로의 신분 상승을 꿈꾸던 서민들의 바람이 담겨 있습니다.
- 조선후기 신분질서의 급격한 변동양상이 나타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