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플라타너스 김현승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플라타너스 김현승
플라타너스 김현승 해설
플라타너스 김현승 해석 해설입니다. 이 시는 자연을 소재로 하여 감정 이입의 기법으로 정서를 표출해 온 우리 시가의 전통을 계승했다. 플라타너스를 단순한 식물로서 바라보지 않고, 인간과 같은 생의 반려로 형상화하였다.
이 시의 화자는 플라타너스를 통해 자신의 어떤 생각과 정서를 함께 나누고자 했는가를 음미하자.
플라타너스 김현승 주제
플라타너스 김현승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제재 : 플라타너스의 자태
▶ 주제 : 고독한 영혼의 반려를 염원함
플라타너스 김현승 줄거리
플라타너스 김현승 줄거리 입니다.
플라타너스
- 김현승
꿈을 아느냐 네게 물으면,
플라타너스
너의 머리는 어느덧 파아란 하늘에 젖어 있다.
너는 사모할 줄 모르나
플라타너스
너는 네게 있는 것으로 그늘을 늘인다.
먼 길에 올 제
호올로 되어 외로울 제
플라타너스
너는 그 길을 나와 같이 걸었다.
이제 너의 뿌리 깊이
나의 영혼을 불어 넣고 가도 좋으련만
플라타너스
나는 너와 함께 신(神)이 아니다!
이제 수고로운 우리의 길이 다하는 오늘
너를 맞아 줄 검은 흙이 먼 곳에 따로이 있느냐?
플라타너스
나는 너를 지켜 오직 이웃이 되고 싶을 뿐
그 곳은 아름다운 별과 나의 사랑하는 창이 열린 길이다.
플라타너스 김현승 배경 특징
플라타너스 김현승 배경 특징 입니다.
▶ 성격 : 서정적
▶ 어조 : 고독하면서도 친근하고 맑은 어조
▶ 심상 : 서술적, 감각적 심상
▶ 표현 : 의인법, 감정 이입법
▶ 구성 : ① 파아란 꿈을 가진 플라타너스(제1연)
② 플라타너스의 넉넉한 사랑(제2연)
③ 나의 반려자인 플라타너스(제3연)
④ 플라타너스에게 영혼을 불어넣어 주고 싶은 심정(제4연)
⑤ 영원한 반려자가 되기를 염원함(제5연)
플라타너스 김현승 분석
플라타너스 김현승 분석 입니다.
1. 이 시에서 화자의 자연에 대한 태도를 50자 내외로 쓰라.
<모범답> 자연을 의인화하여 하나의 인격체처럼 대하는 데서 시인의 자연 친화적 태도를 알 수 있다.
2. 이 시의 제재인 플라타너스가 상징하는 의미를 두 어절로 쓰라. <모범답> 영혼의 반려자
3. 이 시에서 특정 대상을 향한 사랑이 아니라, 여러 사람에게 사랑을 베풀어 주는 속성으로서의 플라타너스를 나타낸 두 어절의 말을 찾아 쓰라. <모범답> 그늘을 늘인다.
4. 제1-5연 중, 종교적 감수성이 가장 절실하게 표현된 연은?
<모범답> 제5연
<감상의 길잡이>
제1연 : 사람은 꿈을 가진 존재이다. 화자는 플라타너스에게 너도 꿈을 아느냐고 물어 본다. 플라타너스는 벌써 그의 머리를 파아란 하늘에 두고 있다고 말 없는 말을 하는 듯하다. 플라타너스 역시 푸른 꿈을 가진 존재인 것이다.
제2연 : 사람은 사모할 줄을 안다. 플라타너스는 사람이 아닌지라 누군가를 사모할 줄 모르지만 제 스스로 그늘을 만들어 누구든 쉬게 해 준다. 이것이야말로 특정한 대상을 향한 사랑보다 더 큰 사랑일 터이다.
제3연 : 플라타너스는 외롭게 먼 길을 걷는 화자에게 유일한 반려자요, 벗이다. 고독을 위로하며 그 외로운 길을 동행하여 준다.
제4연 : 화자는 이 고마운 벗에게 영혼을 불어넣어 주고 싶으나, 나무와 사람은 신과 같은 전지전능한 능력을 지니지 못했으므로 그러한 소망을 실현할 수는 없다.
제5연 : 시인과 플라타너스는 지상의 삶이 다하는 날까지 함께 이웃하며 지켜 보는 영원한 반려자가 되고자 한다.
이 시는 플라타너스를 의인화하여 꿈과 덕성을 지닌 존재로 예찬하고 그러한 자세로 삶의 길을 함께 가고자 하는 뜻을 노래한 시다. 나무와 사람은 신처럼 완벽한 존재가 아니지만, 지상의 삶 속에서 서로의 고독한 영혼을 달래며 겸허하게 살아가자는 주제가 담겨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