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처용가  처용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by 문학정보 2022. 10.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처용가  처용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처용가  처용

처용가  처용

 

 

 처용가  처용 해석 해설

 처용가  처용 해석 해설입니다.

[ 현대어 풀이 ]



서울(경주) 밝은 달밤에 / 밤깊도록 놀고 지내다가 / 들어와 잠자리를 보니 / 가랑이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아내) 것이지만 / 둘은 누구의 것인가? 
본래 내 것이다마는(내 아내이지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오.

 

 처용가  처용 내용 요약

 처용가  처용 내용 요약 입니다. 



처용가(處容歌)- 처용 -


東京明期月良夜入伊遊行如可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二 兮隱吾下於叱古二 
兮隱誰支下焉古本矣吾下是如馬於隱奪叱良乙何如爲理古

-<삼국유사> -

 

 처용가  처용 특징 주제

 처용가  처용 배경 특징 입니다. 



신라 제49대 헌강왕 때에는 서울에서 지방까지 집과 담이 연이어져 있고 초가집은 하나도 없었다. 길거리에 풍악이 그치지 않고 비바람도 사철 순조로왔다. 이 때에 대왕이 개운포(開雲浦)에 놀러 나갔다가 곧 돌아오려고 잠시 물가에서 쉬는데, 문득 짙은 구름과 안개가 끼어 길을 분간하기 어려웠다. 괴이하게 여겨 좌우에게 물으니, "이는 동해 용왕의 조화이므로 마땅히 용왕을 위해 좋은 일을 하여 그 마음을 풀어주셔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은 곧 용왕을 위하여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명하였다. 왕의 명령이 떨어지자 안개가 걷히고 구름이 개었으므로 그곳을 개운포라고 이름지었다. 
이윽고, 동해 용왕이 기뻐하여 일곱 아들을 데리고 헌강왕 앞에 나와 춤을 추며 용궁 음악을 아뢰게 했다. 그 때 용왕의 아들 하나가 헌강왕을 따라 서울에 와서 정사(政事)를 보좌하였는데, 이름을 처용(處容)이라 했다. 왕은 미녀를 골라 아내를 삼게 하고 급간(級干) 벼슬을 주어 머물 게 했다. 그의 아내가 매우 아름다웠으므로 역신(疫神)이 흠모하여, 사람의 형상을 꾸며 밤에 몰래 들어와 동침했다. 밖에서 놀다가 밤늦게 돌아온 처용은 그 광경을 보고 노래(<처용가>)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나갔다. 그러자 역신이 감복하여 현형(現形)해서 앞에 꿇어앉아 말하기를, "내가 공의 아내를 흠모하여 지금 잘못을 범하였는데, 노하지 않으시니 감격하여 아름답게 여기는 바입니다. 이후로는 맹세코 공의 모습을 그린 그림만 보아도 그 집에는 들어가지 않겠습니다."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나라 사람들은 처용의 형상을 문에 붙여서 사귀(邪鬼)를 쫓고 경사(慶事)를 맞는 표시로 삼았다.
왕은 서울로 돌아오자 이내 영취산(지금의 울산에 있는 산) 동쪽 기슭의 경치 좋은 곳을 가려서 절을 세우고, 망해사(望海寺) 또는 신방사(新房寺)라 하였으니 용을 위하여 세운 것이다.

 

 처용가  처용 분석

 처용가  처용 분석 입니다. 



[ 이해와 감상 ]



이 노래는 헌강왕대에 왕정을 보좌하던 처용이 밤늦도록 놀다가 집에 돌아오니 역신이 그의 아내를 범함을 보고 지어 부른 노래이다. 언뜻 외설적인 느낌을 갖게 하기도 한데, 전반부의 상황설정은 후반부에서 보여주는 처용의 태도를 부각시켜 신격화하기 위한 극한 상황 설정으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아내가 외간 남자와 자고 있는 것을 보고도 노래부르며 춤을 추며 물러간 처용의 태도에, 역신 스스로 잘못을 자백하고 물러나고 만다. 처용의 이러한 관용적인 태도는 이 노래의 절정을 이루며 처용의 초극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게 된다. 
이 노래에 대해서는 불교적인 해석, 사회·역사적인 해석 등 여러 가지가 분분하지만 축사(逐邪:사악한 귀신을 물리침)와 벽사진경(僻邪進慶:사악함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함)의 노래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술적인 노래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벽사진경'을 위해 신라에서는 처용의 가면을 대문에 걸어두는 풍습이 있다고 하니 당시의 풍속과도 연관이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아무리 악신(惡神)이라 하더라도 즐겁게 하여 보낸다는 우리나라의 무속을 통해 한국인의 여유에 찬 생활의 예지를 엿볼 수 있기도 한다.



[ 핵심정리 ]



성격 및 갈래 : 8구체 향가. 주술가 (축사(逐邪)를 도모한 무가(巫歌))
표현 : 풍자적, 제유법(아내와 아내를 범한 대상을 '다리'로 표현함)
화자의 태도 : 관용적, 체념적
구성 
*1∼4 : 처용의 유락(遊樂)과 그의 처가 교접하는 장면
* 5∼6 : 처용의 갈등과 대결의식
*7∼8 : 처용의 관용적 정신 발현
의의 
① 주술가로서 본격적인 무가(巫歌)의 기원
②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의식무로 계승됨
③ 가사의 일부가 속요<처용가>에 인용, 한글로 표기되어 전해짐으로써, 향찰 문자 해독의 중요한 열쇠가 됨.
주제 :
아내를 범(犯)한 역신을 감복시켜 내쫓음.



[ 생각해 보기 ]



" 처용의 정체 " 에 대한 이견들 
⑴ 민속 신앙적 관점 → 처용이 무당(巫)이면서 동시에 무(巫)의 신이기도 한 동해 용신(龍神)을 주신으로 섬기는 강신무라고 보는 견해.
⑵ 불교 신앙적 관점 → 처용은 호국호법(護國護法)의 용이고, 그가 왕정을 보좌하는 것과 가무(歌舞)는 중생 교화로서의 임무 수행이자 불교적 교화 가무의 의미를 지닌다.
⑶ 역사 사실적 관점 → 처용은 중앙 정권에 순복하지 않는 지방 호족의 자제로 보는 견해
⑷ 신라 시대 때 서역지방과의 교역이 있었음을 근거로 해서, 처용을 이슬람 상인으로 보려는 견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