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진주난봉가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진주난봉가
진주난봉가 해석 해설
진주난봉가 해석 해설입니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서 시집 삼 년만에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얘야 아기 며늘아가
진주 낭군 오실 터이니 진주 남강 빨래 가라
진주 남강 빨래 가니 산도 좋고 물도 좋아
우당탕탕 빨래하는데 난데없는 말굽 소리
고개 들어 그 곳 보니 하늘 같은 갓을 쓰고
구름 같은 말을 타고서 못 본 듯이 지나간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서 시집살이 삼 년 만에
흰 빨래는 희게 빨고 검은 빨래 검게 빨아
집이라고 돌아와 보니 사랑방이 소요하다.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얘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 낭군 오시었으니 사랑방에 들어가라.
사랑방에 나가 보니 온갖 가지 안주에다
기생첩을 옆에 끼고서 권주가를 부르더라.
울도 담도 없는 집에서 시집살이 삼 년 만에
이것을 본 며늘아기 아랫방에 물러나와
아홉 가지 약을 먹고서 목매달아 죽었더라.
이 말 들은 진주 낭군 버선발로 뛰어나와
내 이런 줄 내 몰랐다 사랑 사랑 내 사랑아
화륫정은 삼 년이요 본댁정은 백 년인데
내 이럴 줄 내 몰랐던가 사랑 사랑 내 사랑아.
너는 죽어 꽃이 되고 나는 죽어 벌나비 되어
남녀 차별 없는 곳에서 천년 만년 살고지고.
어화둥둥 내 사랑아 어화둥둥 내 사랑아.
[ 이해와 감상 ]
진주난봉가 내용 요약
진주난봉가 내용 요약 입니다.
진주난봉가-미 상-
경북 영양 지방에서 구전되어 전해지는 한국의 구전민요(口傳民謠)로, 남존여비의 유교적 · 봉건적 도덕률 속에서 각종 사회적 구속에 얽매여 시집살이를 하던 부녀자들의 생활을 노래한 것으로, 그들의 슬픔과 고난을 감동적으로 노래한 것이 많아 부요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진주난봉가 특징 주제
진주난봉가 배경 특징 입니다.
시집살이 노래의 특징은 그 문체나 수사가 굳이 유식하려 하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평민적으로 솔직하게 표현한 점으로, 영남지방에 많이 전해지는 내방가사와는 매우 대조적이다. 시부모의 학대, 남편의 배신, 고된 노동 등 시집살이의 고초를 영탄조로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나, 그 중에는 압제자의 횡포와 맞서 그들을 비난하며 자유롭고 보람 있는 생활을 관철시키고자 한 내용을 익살과 풍자를 섞어 반항적으로 노래한 것도 있다.
특히, 이 작품은 남편의 배신을 소재로 한 것이 특이하며, 임을 만나려는 주인공의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 있으며, 줄거리가 있다는 것도 다른 노래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을 자살로 해결하려는 점은 이 작품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3년 만에 /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얘야 아가 며늘아가 / 진주 낭군 오실 것이다 진주 남강 빨래가라"로 시작된다. 가난한 시집에서 남편도 없이 시집살이를 하나 남편인 진주 낭군은 기생첩을 데려오고 아내를 외면하자 목을 매 죽었다는 이야기이다. 죽은 아내를 보고 진주 낭군이 '첩의 정은 3년이요 본처의 정은 100년인데 너 그럴 줄 내 몰랐단다.'라고 후회하는 것으로 마친다. 아내에 대한 남편의 횡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의미 깊은 사설이다. 남편과 아내의 처지가 너무 다르다는 것을 잘 나타내고, 남편의 배신에 대한 항변이 준엄하다. 짧으면서도 묘미가 있는 서사민요이다. 같은 내용의 노래는 다른 지역에서도 널리 나타나지만 특히 남편을 진주 낭군이라고 한 사설은 경상도지역에서 부른다.
진주난봉가 분석
진주난봉가 분석 입니다.
◆작자 및 연대 : 미상
◆성격 및 갈래 : 구비문학, 민요, 부요, 서사민요,
◆표현 : 반복법, 대조법
◆주제 : 시집살이의 한
◆출전 : 경북 영양지방에서 채록
◆구성
* 기( 1행) : 가난하고 외로운 삶
* 승(2 ~7행) : 남편의 귀가
* 전(8~14행) : 화자의 기대와 남편의 외도를 목격함.
* 결(15 ~ 끝) : 배신감으로 인한 화자의 자살과 남편의 후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