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중요 이기영 서화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중요 이기영 서화

중요 이기영 서화 해설
중요 이기영 서화 해석 해설입니다. 3․1운동 직전 ‘반개울’이라는 농촌을 배경으로 한 중편소설로 1933년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작품이다.
중요 이기영 서화 주제
중요 이기영 서화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주제 : 쥐불 놀이의 쇠퇴, 그리고 농촌 현실의 황폐화
◎ 출전 : <조선일보>(1933)
등장 인물
◎ 돌쇠 : 주인공. 건강한 생활력을 가졌지만 집안 살림에는 매우 시큰둥하다. 쥐불놀이가 성하던 옛날을 그리워하나 마을은 점점 황폐해지고, 살아 남기 위해서는 도박을 할 수밖에 없다고 강변한다.
◎ 응삼이 : 어리숙한 사내. 노름판에서 돌쇠에게 돈을 잃는다.
◎ 이쁜이 : 응삼이의 처. 돌쇠에게 추파를 던진다. 면서기 원준이의 욕망의 대상
◎ 원준 : 면서기. 이쁜이에게 흑심을 품다 모욕을 당한다.
◎ 정광조 : 동경 유학생. 새로운 시대의 인간상으로 부각된다.
중요 이기영 서화 줄거리
중요 이기영 서화 줄거리 입니다.
반개울 마을 앞에서는 도깨비불 같은 불길이 솟아나고 있다. 새빨간 불이 어둠 속에서 총총히 번지고 있다. 정초에 벌어지는 쥐불놀이였다. 돌쇠는 쥐불 싸움에 신나게 뛰어들었으나, 쥐불 싸움은 시시하게 끝나고 만다. 먹고사는 일이 힘들어 그것도 해마다 시들해진다. 돌쇠는 응삼이를 꾀어 내어 노름판을 벌인다. 반쯤 바보인 응삼이는 소 판 돈을 돌쇠에게 잃는다. 돌쇠는 그 돈으로 자기 가족의 양식을 마련한다. 그러나 돌쇠 아버지는 역정을 낸다. 바보 남편에게 불만을 가진 응삼이의 처 이쁜이는 돌쇠의 남성다움에 이끌린다. 여기에 면서기 원준이는 이쁜이에게 흑심을 품고 접근한다. 원준이는 돈을 잃은 응삼이를 동정하는 척하며 응삼이 집을 자주 출입한다.
그러나 만족은 이쁜이에게 있다. 돌쇠는 이쁜이를 남몰래 만나 응삼이와 노름한 것에 대해 사과하며, 노름이라도 하지 않으면 먹고 살 수 없음을 실토한다. 면서기 원준이가 혼자 집을 보는 이쁜이에게 추근대며 협박까지 하나, 이쁜이는 완강하게 저항한다. 결국, 봉변당한 원준이가 구장을 부추겨 동네 집회를 열도록 한다. 원준이는 그 집회에서 도박과 가정 풍기를 거론하며 돌쇠를 궁지에 몰아 넣는다. 이 때 동경 유학생 정광조의 발언에 힘입어 돌쇠가 자기 입장을 밝힌다. 생계를 위해 불가피하게 노름한 이유와 이쁜이에게 욕심을 채우려 한 자가 원준임을 폭로한다. 돌쇠는 이쁜이와 함께 집으로 오면서 유학생 정광조의 합리적인 사리 판단에 감격하며 그런 세상을 동경한다.
중요 이기영 서화 배경 특징
중요 이기영 서화 배경 특징 입니다.
서화(鼠火)는 곧 ‘쥐불’인데, 농사에 해로운 쥐나 벌레를 없애기 위해 정초에 논둑이나 밭둑을 태우는 일이다. 동시에 농민의 생기를 상징하고 있어 의미 심장한 배경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 쥐불도 농촌의 피폐와 더불어 해마다 시들먹하다. 민촌(民村) 이기영의 작품은 식민지 자본주의로 돈을 벌어 새로 득세하는 계층과 그들에게 토지를 빼앗겨 더욱 가난해진 농민과의 갈등을 기본 구조로 하고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돌쇠는 가난한 농민의 대표적 인물이다. 돌쇠는 농사만으로는 도저히 살 수 없어 노름으로 돈을 따서 식량을 마련한다.
또, 가정을 가진 돌쇠는 응삼이의 처 이쁜이와 눈이 맞아 정을 통한다. 그러나 돌쇠와 이쁜이가 만나지 않을 수 없었던 사랑의 과정보다는 조혼과 강제 결혼의 폐해가 더 크게 부각되고 있다. 결국, 조혼과 강제 결혼도 어려운 경제적 환경을 벗어나기 위한 방편이라는 데에 이 소설의 의미가 있다. 도박과 간통도 경제적 동기로 합리화되며, 경제 논리가 도덕적 규범보다 위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기영의 초기 작품에 비해서 도식적 계급 의식과 목적 의식을 벗어나 리얼리즘에 충실한 작품으로 “서화(鼠火)”가 중요한 위치에 있지만, 빈농으로 전락한 돌쇠와 부농으로 부상한 원준이라는 있는 자와 없는 자의 갈등이 확장을 시도한다. 그러나 그의 기능은 소설 후반부에서 돌쇠에게 지적(知的) 자극을 줄 정도로 미미한 것이며, 새로운 시대의 인간형은 장편 소설 “고향”의 김희준에 와서야 선명히 드러난다.
중요 이기영 서화 분석
중요 이기영 서화 분석 입니다.
◎ 갈래 : 중편 소설, 농민 소설
◎ 배경 : 시간(3․1 운동 직전) / 공간(‘반개울’이라는 농촌)
◎ 경향 : 카프 계열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의의 : 도식적 프로 문학에서 벗어나 리얼리즘 지향
◎ 구성
발단 - 쥐불 싸움이 시들하자 돌쇠는 노름에 관심을 가짐.
전개 - 돌쇠는 응삼이 돈을 따고 응삼이 처와 남몰래 만남.
위기 - 면서기 원준이 응삼이 처 이쁜이에게 욕심을 채우려다 봉변
절정․결말 - 동네 집회에서 원준이 돌쇠를 공격하나 돌쇠는 원준이의 흑심을 밝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