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확한 발음 생활

by 문학정보 2022. 10. 8.
반응형

정확한 발음 생활

정확한 발음 생활

 

<정확한 발음 생활>

1. 갈래 - 설명문(부분적으로 논설문적인 요소도 있음.)

 

2. 글의 특징

(1) 다양한 진술 방식을 보여 주고 있다.

(2) 글의 끝부분에 글쓴이의 설득적 의도가 드러나고 있다.

 

3. 글의 짜임

(1)음운 음운의 개념과 음운이 되기 위한 조건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의 개념
(2)우리말의 음운 체계 우리말의 자음 체계
-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 , , , , , , , ), 파찰음(, , ), 마찰음(, , ), 비음(, , ), 유음()
조음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 , , ), 잇몸소리(, , , , , , ), 센 입천장소리(, , ), 여린입천장소리(, , , ), 목청소리()
우리말의 모음 체계
단모음`:
혀의 최고점의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 , , , ), 후설 모음(, , , , )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 , , ), 중모음(, , , ), 저모음(, )
입술 모양에 따라: 평순 모음(, , , , , ), 원순 모음(, , , )
이중 모음`: , , , , , , , , , ,
(3) 우리말 음운의 특징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를 구별함.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없음.
(4) 정확한 발음 생활 음운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발음하는 방법을 익혀야 함.

 

 

4. 음운

음운 음소(분절 음운) 자음 공기가 입안에서 장애를 받아 만들어지는 소리
모음 성대의 진동을 받은 소리가 목, , 코를 거쳐 나오면서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입 밖으로 나오는 소리
음소
(비분절 음운)
소리의 길이
소리의 높낮이
소리의 억양

 

 

5. 우리말의 음운 체계

(1)우리말의 자음 체계

조음 위치


조음 방법
두 입술 윗잇몸,
혀끝
센입천장,
혓바닥
여린입천장,
혀 뒤
목청 사이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비음   o  
유음   f      

 

 

(2)우리말의 모음 체계

단모음

- 발음하는 도중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

혀 앞뒤
입술의 모양
혀의 높낮이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l
중모음
저모음    

이중 모음

- 혀가 일정한 자리에서 시작하여 다른 자리로 옮겨 가면서 발음되는 모음

- , , , , , , , , , ,

 

6. 우리말 음운의 특징

(1)‘`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를 구별함.(소리의 세기에 따른 변별이 있음.)

) //////, //////, //////

(2)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없음.(성대를 울리면서 발음하느냐의 유무를 구별하지 않음.)

) ‘`부부`’에서 첫 음절 //(무성음)과 둘째 음절의 //(유성음)을 구별하지 않음.

 

7. 정확한 발음 생활

(1) 표준 발음법: 같은 단어라도 다르게 발음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러한 차이가 심해지면

의사소통에 큰 지장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만들어 둔 우리말 발음법임.

(2) 발음할 때 흔히 하는 실수

유형
받침의 발음을 잘못 하는 경우 꽃을[꼬슬] (×), [꼬츨] ()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아도 될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
하는 경우
번데기[뻔데기] (×), [번데기] ()
모음를 혼동하는 경우 ,
이중 모음의 발음을 실수하는 경우 의사[으사] (×), [이사]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