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약용 견여탄 해설 주제 줄거리 요약 뜻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정약용 견여탄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정약용 견여탄

정약용 견여탄

 

 

정약용 견여탄 해설

정약용 견여탄 해설입니다. 견여탄은 견여의 가마터, 숯의 탄식이라는 뜻입니다. 즉, 가마꾼의 탄식이라는 뜻입니다.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인 정약용은 기존의 학문이나 사회체계를 비판하며 등장했던 실학자답게 당시 기득권층이 백성을 착취하는 것에 대해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비판한 작품입니다. 

 

여기에 알맞은 한자성어로는 가룡주구, 가정맹어호가 있죠. 예전보다는 많이 나아졌다고 생각하지만 지금도 기득권층이 서민을 핍박하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가렴주구', '가정맹어호' 이런 단어들이 과거 역사에만 존재했던 단어로 사라질 수 있는 현실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정약용 견여탄 주제

정약용 견여탄 주제 입니다. 정약용 견여탄 의 주제는 궁핍한 현실에 대한 자조입니다

 

정약용 견여탄 줄거리 요약

정약용 견여탄 줄거리 요약입니다. 한두 줄은 가난한 현실입니다.

3~12행은 아내가 호박을 훔친 여자 집단을 꾸짖습니다.

13~15행은 아내의 꾸지람을 만류하는 '나'의 모습입니다.

16~18행은 현재 상황에 대한 '나'의 자조입니다.

19~20행은 생계를 신경 쓰지 못한 데 대한 자책입니다.

 

정약용 견여탄 특징

정약용 견여탄 특징 입니다. 정약용의 문학작품은 일상적 현실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는 그의 시가 보여주는 시적 자아의 일상생활인으로서의 성격, 일상적 소재와 신변잡사의 시적 수용 등을 통해 확인됩니다. 또 정약용은 시라는 현실을 사실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삶에 대한 깨달음을 주고 잘못된 세상을 바로잡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러한 생각은 실용을 중시한 정약용의 가치관과도 결합됩니다. 

 

① '성내에도 시골에도 밥 짓는 연기가 사라졌다'는 것은 궁핍한 현실이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상황이라는 것으로, 시가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② '태학'은 글을 읽는 공간으로 '식사'와 관련된 현실적 문제와 동떨어진 공간으로서 '난리'가 일어난 '집'과 구별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③ '식사'와 관련된 사건에 대해 묘사한 것은 일상생활인으로서 신변잡사를 통해 느끼는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④ '밥 짓는 연기', '호박', '항아리', '밭' 등을 언급한 것은 시에 일상적 소재를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⑤ '열매'가 맺히지 않은 '꽃'은 호박이 아직 어리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꽃이 떨어진 후에 호박 열매를 맺는 것입니다. ⑥ '계집종'이 훔친 호박으로 '충성을 바쳤지만' 꾸중을 들은 것을 통해 '계집종'은 '식사'를 얻기 어려운 상황에서 호박을 훔쳐 '충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⑦ '오릉중자 작은 청렴'이 기쁘지 않다고 말한 것은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청렴이라는 가치와 생계의 문제에 대해 되돌아본 것입니다.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아 청렴하지 못한 지배층의 잘못을 바로잡으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은 아닙니다. ⑧ '아내가 왜 배가 부를까', '여자집단 종죄를 짓지 않았을까'라고 한 것은 생계를 꾸려가는 문제에 대한 현실적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⑨ '만권서적'은 화자가 관심을 기울인물 '1만 권의 책을 읽는다고 아내가 왜 배부를까'를 통해 '1만 권의 서적'이 '식사'에는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⑩ '밭 두 장만 있어도 여자 집단 종죄를 짓지는 않았을 거예요'를 통해 '밭 두 장'이 '식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것이어서 화자가 갖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정약용 견여탄 분석

정약용 견여탄 분석 입니다. 이 작품은 일상적인 사건을 통해 현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작가는 끼니가 없어 호박을 훔친 여자 집단을 꾸짖고 있는 아내에게 화를 풀라고 하면서 생계를 꾸려가기 어려운 처지에 대한 자조의 목소리를 내뱉고 있습니다. 학문에 몰두하느라 생계를 신경 쓰지 못한 것에 대한 책망, 앞으로의 삶에 대한 고민 또한 묻어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