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입암곡 박인로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입암곡 박인로
입암곡 박인로 해설
입암곡 박인로 해석 해설입니다. ‘입암 29 곡’으로 된 연시조 중 일부이다.
입암곡 박인로 주제
입암곡 박인로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주제 : 자족하며 살겠다는 의지
입암곡 박인로 줄거리
입암곡 박인로 줄거리 입니다.
무정(無情)히 섰는 바위 유정(有情)하여 보이나다.
[최령(最靈)한 오인(吾人)도 직립불의(直立不倚) 어렵거늘
만고(萬古)에 곧게 선 저 얼굴이 고칠 적이 없나다.]
계구대(戒懼臺) 올라오니 문득 절로 전긍(戰兢)하다.
대상(臺上)에 살펴보며 이같이 저허커든
못 보고 못 듣는 땅이야 아니 삼가 어찌하리.
격진령(隔塵嶺) 하 높으니 홍진(紅塵)이 멀어 간다.
가뜩이 먹은 귀 씻을수록 먹어가니
산 밖의 시시비비(是是非非)를 듣도 보도 못하도다.
세상이 하 수상하니 나를 본들 반길런가
본분 버리고 사람 좇아 내 어디로 옮아가리오.
산 좋고 물 좋은 골에 생긴 대로 늙으리라.
입암곡 박인로 배경 특징
입암곡 박인로 배경 특징 입니다.
1) ‘유정’과 ‘무정’의 대조
2) 기대지 않고 똑바로 서다
3) ‘오인’과 ‘저 얼굴(바위)’이 대조 - 흔들림 없고 불변하는 바위와 같은 삶을 지향하는 태도 - 교훈적 의미
4)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함
5) 바위 위에 올라
6) 두렵운데
7) 번거롭고 속된 세상의 비유.
8) 격진령의 한자어가 ‘ 세상과 사이를 두는 고개’라는 의미를 풀이한 것인 듯
9) ‘홍진’과 같은 의미 - ‘산 안(격진령)’은 세상과 등진 곳. 따라서 두 공간은 대조적이다.
10) 인간 세상인 세속 공간, 갈등과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어지러운 세상
11) 설의적 표현으로 화자의 의지를 강조
12) 세상과 대조되는 탈속적 공간
13) 세상을 떠난, 초월한 곳에서 자족하며 살아가겠다는 의지
입암곡 박인로 분석
입암곡 박인로 분석 입니다.
◉ 지은이 - 박인로
◉ 갈래 : 평시조, 연시조
◉ 성격 : 자족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