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현보 어부가 해석 해설 주제 감상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이현보 어부가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이현보 어부가

이현보 어부가

 

 

이현보 어부가 해설

이현보 어부가 해설입니다. 어부의 노래는 일찍이 고려시대부터 12장으로 된 장가와 10장으로 된 단가로 전해져 왔는데, 이현보가 이를 개작하여 9장의 장가, 5장의 단가로 만들었습니다.

 

이현보 어부가 주제

이현보 어부가 주제 입니다. 이현보 어부가 의 주제는 江 に에 묻혀 사는 어부의 한정입니다

 

이현보 어부가 감상

이현보 어부가 핵심 정리 입니다. 농암 어부는 한자어가 많아 부르기 부적합한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정경의 묘사도 관념적입니다. 나중에 고산 윤선도 어부의 시사점에 영향을 줍니다. 생업을 떠나 자연을 벗 삼아 고기잡이를 하는 풍류객으로서 '가마'의 생활을 그린 이 작품은 선조들이 예로부터 장대산 가마터의 운치 있는 생활을 즐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자연 속에 묻혀 숨기를 즐긴다고 해도 마음속에는 인간사에서 벗어날 수 없었기 때문에 인세를 대니 젯과 니즌스치인가 한 것은 임금에 대한 충성을 표현한 것으로 애국의 충성을 드러낸 것입니다. 정경의 묘사나 생활 실태를 구체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천심녹수, 만첩청산과 같이 상투적인 용어를 구사하여 관념적으로 어부의 생활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현보 어부가 특징

이현보 어부가 특징 입니다. 

[1] 이러한 생활(어부 생활) 속에 근심 걱정할 것 없으니 어부의 생활이 최고로다.
조그마한 쪽배를 끝없이 넓은 바다 위에 띄워 두고 
인간 세사를 잊었거니 세월 가는 줄을 알랴.
[2] 아래로 굽어보니 천 길이나 되는 깊고 푸른 물이며, 돌아보니 겹겹이 쌓인 푸른 산이로다.
열 길이나 되는 붉은 먼지(어수선한 세상사)는 얼마나 가려 있는고,
강호에 밝은 달이 비치니 더욱 무심하구나.
[3] 푸른 연잎에다 밥을 싸고 푸른 버들가지에 잡은 물고기를 꿰어,
갈대꽃이 우거진 떨기에 배를 매어두니,
이런 일반적인 맑은 재미를 어느 사람이 알 것인가.
[4] 산머리에는 한가로운 구름이 일고 물 위에는 갈매기가 날고 있네.
아무런 사심없이 다정한 것으로는 이 두 가지뿐이로다.
한평생의 근심 걱정을 잊어 버리고 너희들과 더불어 놀리라.
[5] 멀리 서울을 돌아보니 경복궁이 천 리로구나.
고깃배에 누워 있은들 (나랏일을) 잊을 새가 있으랴.
두어라, 나의 걱정이 아닌들 세상을 건져낼 위인이 없겠느냐?

 

이현보 어부가 분석

이현보 어부가 분석 입니다. 

◁ 작자 : 이현보(李賢輔 ; 1467~1555)
◁ 종류 : 연시조[5수로 됨]
◁ 제재 : 어부(漁父)의 생활
◁ 내용 : 멀리 속세를 떠나 유유자적하며 자연에 흥취를 즐기는 어부의 생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