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이신의 단가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이신의 단가
이신의 단가 해설
이신의 단가 해석 해설입니다. 유배지에서의 생활과 심정을 그려낸 6수의 연시조이다.
이신의 단가 주제
이신의 단가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갈래 : 연시조
◉ 성격 : 절의적. 유교적
◉ 주제 : 유배지에서 느끼는 심정. 임금에 대한 그리움과 효제충신(孝悌忠信)
이신의 단가 줄거리
이신의 단가 줄거리 입니다.
남산(南山)에 많던 솔이 어디로 가단 말고
난 후(亂後) 도끼가 그대도록 날랠시고
두어라 우로(雨露) 곧 깊으면 다시 볼까 하노라
창밖에 세우(細雨) 오고 뜰 가에 제비 나니
적객(謫客)의 회포는 무슨 일로 그지없어
저 제비 나는 걸 보고 한숨 겨워 하나니
적객(謫客)에 벗이 없어 빈 들보에 제비로다
종일 하는 말이 무슨 사설 하는작고
어즈버 내 품은 시름은 너보다도 많노라
인간(人間)에 유정(有情)한 벗은 명월(明月)밖에 또 있는가
천리(千里)를 머다 아녀 간 데마다 따라오니
어즈버 반가운 옛 벗이 다만 넨가 하노라
설월(雪月)의 매화를 보려 잔을 잡고 창을 여니
섞인 꽃 여윈 속에 잦았나니 향기로다
어즈버 호접(胡蝶)이 이 향기 알면 애 끊을까 하노라
이신의 단가 배경 특징
이신의 단가 배경 특징 입니다.
작자는 인목대비의 폐위를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렸다가 함경도의 회령으로 유배되어 6년에 걸쳐 유배 생활을 하는데, 그때의 심정이 잘 드러나 있다. 비슷한 주제의 다른 고전시가와 마찬가지로 자연물에 관습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화자의 처지와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신의 단가 분석
이신의 단가 분석 입니다.
이신의 : 조선 중기의 문신. 1592년 임진왜란 때 향군(鄕軍) 300을 거느리고 적과 싸워 공을 세우고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이 되었다. 공조좌랑 ·고부군수(古阜郡守)를 거쳐 1604년 임천군수(林川郡守), 이어 남원부사(南原府使), 홍주(洪州) ·해주(海州)의 목사를 지냈다. 광해군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죽이고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려는 데 대해 항소(抗疏)를 올렸다가 회령(會寧)에 유배되고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와 1627년(인조 5) 형조참의 ·형조참판을 역임했다. 같은 해 정묘호란으로 왕을 호종하여 강화로 가던 도중 수원에서 병사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