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해석 해설 주제 감상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해설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해설입니다. 이 시는 다른 시편과 달리 제목에서 알 수 있도록 시 앞에 사진을 한 장 제시하고 있습니다. 1992년 TIME지 표지에 실린 소말리아의 굶주린 아이의 사진입니다. 이 사진을 계기로 유엔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에서 소말리아, 기아, 난민을 위한 구호 활동이 활성화되었습니다. 같은 사진이라도 보는 사람에 따라 심적 충격의 정도와 감흥은 다를 것입니다. 시인은 자신이 해석한 사진의 의미, 그리고 거기에서 유발된 우리 이웃에 대한 무관심과 이기주의를 비판합니다.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주제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주제 입니다.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의 주제는 남의 고통에 무관심한 삶에 대한 비판입니다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감상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핵심 정리 입니다. 총 2연으로 구성된 이 시에서 시인은 먼저 사진의 의미를 '~을 향한'이라는 반복어를 통해 기아에 시달리다 머리를 땅에 대고 엎드린 소말리아 어린이의 모습을 해석합니다. 시인의 눈에 그 아이는 지금 개인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 인류의 죄를 백안시하는 사람, 인류의 죄악, 혼자만 호의적인 사람, 나아가 시인 자신을 향해 엎드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2연에서는 시인이 어떻게 그 사진을 보게 됐는지를 밝히는데, 이 부분에 시인의 철저한 자기반성이 나옵니다. 이내 "자정이 넘어서 취한 채 귀가하라"고 한 시인은 "주택가 골목에서 음식을 먹어요" 울다가 '어쩌다 펼친 TIME이겠죠'에서 사진을 보고 "이 검은 생명 앞에서 나는 도대체 뭘"이라며 말을 잇지 못한다. 소말리아 한 어린이의 양 무릎과 양 팔꿈치, 그리고 머리까지 땅에 닿은 오체투지의 예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진은 시인을 얼어붙게 했다고 하지만 이런 자기반성은 자신만의 반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바로 일련에서 제시된 수많은 인간 군상에 대한 비판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진을 제외한 문자는 점강법과 점층법을 사용하여 그 의미를 배가시키고 있습니다. 일련에서는 행이 점점 짧아지고 시인 자신에게 초점이 맞춰지는 것 같아 소말리아 어린이가 시인을 향해 엎드린 것으로 인식됩니다. 2연에서는 행의 길이가 점점 길어져 그 의미를 확산합니다. 시인 자신, 그리고 세계 모든 사람들에 대한 시인의 비판입니다.


사진작가는 사진 한 장으로 사실을 고발합니다. 시인은 그 사진에 글자를 첨가하여 자신만의 시각으로 사진을 해석합니다. 사진이 없으면 이해하기 어려웠던 시지만 사진과 결합했기 때문에 더 나아가 시인의 독특한 견해와 함께 사진의 의미에서 출발한 자기반성과 세태에 대한 고발, 나아가 비판을 담았기 때문에 사진을 포함한 글씨가 훌륭한 시 작품으로 승화되고 있습니다.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특징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특징 입니다. 

  ① 이미지 자료를 제시하여 관심을 일으킴
 ② 유사한 통사구조의 반복~을 향한을 통해 비판하려는 대상을 강조하며, 운율 형성
 ③ 시행의 길이를 1연은 점차 짦게, 2연은 점차 길게 배열하여 주제를 강조
 ④ 점층법점강법과 반복을 통한 자기 반성
 ⑤ 서술어를 생략한 채 시를 마무리하여 여운 형성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분석

이승하 이 사진 앞에서 분석 입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구체시
 [구체시: 글자의 의미 뿐 아니라 글자가 도안이나 그림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생각에서 글자를 그림처럼 활용한 시이 시에서는 이뿐만 아니라 사진도 활용하고 있음 → 독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글만을 통해 전달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주제 의식을 강조할 수 있음]
성격: 상징적, 비판적, 반성적, 참여적, 고발적
구성
 1연: 사진이 환기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전달 대상에 대해 생각함 
 2연: 이웃의 고통을 외면한 채 살아가는 삶에 대한 참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