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적 김지하 해석 해설 내용 배경 특징 주제 분석

by 문학정보 2022. 9.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오적 김지하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오적 김지하

오적 김지하

 

 

오적 김지하 해석 해설

오적 김지하 해석 해설입니다.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전통적인 운문 양식인 가사, 타령, 판소리 사설 등을 변용하여 쓴 '담시(譚詩)'라는 새로운 장시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담시란, 단형 서정시보다 길고 단편 소설보다는 짧은 길이 속에 당대의 정치적 문제를 기습적으로 전달하는 이야기시의 독특한 장르이다. 이러한 새로운 장르의 출현은 역사적 현실의 가장 첨예한 내용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려는 시도에서 그 정당성을 지닌다.
 여기서 '오적'이라고 못박은 사람들 ―― 재벌, 국회의원, 고급 공무원, 장성, 장차관 ――은 한마디로 말해서 일제 통치의 수혜 특권층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서 시인은 진정으로 자율적이고 근대화된 질서를 이 땅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일제 잔재를 완전히 청산하고, 새로운 인간으로 구성된 조직을 통해 새로운 통치 이념을 구현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오적'의 시대적 배경
 1960년대의 순수 ―― 참여 문학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1970년대에 들어서서도 시의 현실 참여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이러한 논의는 특히 시적 대상과 시적 인식의 범주를 확정하는 문제와 시적 형상화의 방법과 연관된 것으로, 순수와 참여의 이분법적 인식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고, 시와 현실의 간격이 상당히 좁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1970년대는 시가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시의 토대가 되는 경험의 세계와 일상적인 삶의 세계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평범한 진리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김지하의 '오적'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담시'라는 독창적인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 김지하와 담시
 담시는 김지하가 처음 쓴 용어로 '담'이란 '이야기'를 뜻한다. 직역하면 '이야기시'라는 뜻이다. 또 서구적 장르 개념인 '발라드'의 번역시로 담시가 쓰이곤 하지만, 이 개념과 담시는 일정한 차이가 있다. 가장 뚜렷한 차이는 담시에는 한국의 전통적 소리 개념이 내포된다는 점이다. 또한 이야기의 대상이 명료하고 그 이야기거리를 시인의 상상력 속에서 풍성하게 변형시키면서 마침내는 소리를 통하여 형상화되는 것을 말한다. 아울러 춤과 노래의 극적인 요소와 서정시적 요소, 서사시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목록  

 

오적 김지하 주제

오적 김지하 주제 입니다. 

주제 : 오적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사회의 요구, 일제 잔재 청산을 통한 자율적이고 근대화된 질서 정착

 

오적 김지하 내용 요약

오적 김지하 내용 요약 입니다. 


오적(五賊)-김지하-






시(詩)를 쓰되 좀스럽게 쓰지 말고 똑 이렇게 쓰럇다.
내 어쩌다 붓끝이 험한 죄로 칠전에 끌려가
볼기를 맞은지도 하도 오래라 삭신이 근질근질
방정맞은 조동아리 손목댕이 오물오물 수물수물
뭐든 자꾸 쓰고 싶어 견딜 수가 없으니, 에라 모르겄다
볼기가 확확 불이 나게 맞을 때는 맞더라도
내 별별 이상한 도둑이야길 하나 쓰겄다.
옛날도 먼 옛날 상달 초사흣날 백두산 아래 나라 선 뒷날
배꼽으로 보고 똥구멍으로 듣던 중엔 으뜸
아동방(我東方)이 바야흐로 단군 이래 으뜸
으뜸가는 태평 태평 태평 성대라
그 무슨 가난이 있겠느냐 도둑이 있겠느냐
포식한 농민은 배터져 죽는 게 일쑤요
비단옷 신물나서 사시장철 벗고 사니
고재봉 제 비록 도둑이라곤 하나
공자님 당년에도 도척이 났고
부정 부패 가렴주구 처처에 그득하나
요순 시절에도 사흉은 있었으니
아마도 현군 양상(賢君良相)인들 세살 버릇 도벽(盜癖)이야
여든까지 차마 어찌할 수 있겠느냐
서울이라 장안 한복판에 다섯 도둑이 모여 살았것다.
남녘은 똥덩어리 둥둥
구정물 한강가에 동빙고동 우뚝
북녘은 털빠진 닭똥구멍 민둥
벗은 산 만장아래 성북동 수유동 뾰쪽
남북간에 오종종종 판잣집 다닥다닥
게딱지 다닥 코딱지 다닥 그 위에 불쑥
장충동 약수동 솟을대문 제멋대로 와장창
저 솟고 싶은 대로 솟구쳐 올라 삐까번쩍
으리으리 꽃궁궐에 밤낮으로 풍악이 질펀 떡치는 소리 쿵떡
예가 바로 재벌(재벌), 국회의원(국獪의猿), 고급 공무원(고급功無원), 장성(長猩), 장차관(暲차관)이라 이름하는,
간뗑이가 부어 남산만하고 목 질기기는 동탁배꼽 같은
천하흉포 오적의 소굴이렸다.









-<사상계>(1970)-


 

오적 김지하 배경 특징

오적 김지하 배경 특징 입니다. 


[개관 정리]
◆ 성격 : 비판적, 풍자적
◆ 특성
① 산문시, 담시(譚詩)
② 고유의 판소리적 문체를 현대에 되살린 문체로 표현함.
③ 현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거침없이 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시를 쓰되 좀스럽게 쓰지 말고 똑 이렇게 쓰럇다.
   → 판소리식 문체
       시인의 사명에 대한 언급을 보여 주고 있는 구절
*  칠전 → 경찰서를 비롯한 수사 기관
*  방정맞은 조동아리 손목댕이 오물오물 수물수물
   → 현실을 비판하고픈 욕구를 의태어로 표현함.
*  에라 모르겠다 ~ 내 별별 이상한 도둑이야길 하나 쓰것다.
   → 자포자기적 태도가 아니라 시인으로서 현실의 부정을 보고 있을 수만은 없음을 말하고 있다.
       시인 김지하가 옥고를 치르면서도 현실을 비판하려는 의식이 얼마나 강했는가를 알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도둑이란 '재벌, 국회의원, 고급 공무원, 장성, 장차관'을 가리킨다.
*  백두산 아래 나라 → 단군에 의한 고조선의 건국
*  배꼽으로 보고 똥구멍으로 듣던 중엔 으뜸 → 희화화된 표현
*  으뜸가는 태평 태평 태평 성대라 → 반어적 표현을 통해 피폐화된 사회와 민중의 삶을 고발함.
*  포식한 농민은 ~ 사시장철 벗고 사니 → 반어적 표현
*  도척 → 가장 흉악한 도적과 강도
*  사흉 → 네 명의 흉칙한 인간
*  현군 양상 → 현명한 군주와 선량한 정승
*  남녘은 똥덩어리 ~ 게딱지 다닥 코딱지 다닥 그 위에 불쑥 → 가난한 서울 지역의 삶을 표현함.
*  장충동 약수동 ~ 풍악이 질펀 떡치는 소리 쿵떡 → 부유층의 삶을 표현함.
*  예가 바로 재벌 ~ 장차관이라 이름하는 
   → 오적들의 외양을 희화적으로 표현함.
       재벌을 비롯한 오적들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동음이의어 방식으로 표현하여, 풍자적 의도와 자신에게 돌아올 필화를 막으려는 의도를 보여 준다. 
*  간뗑이가 부어 남산만하고 목 질기기는 동탁배꼽 같은
   → 부정한 인간임을 묘사함.
 
◆ 제재 : 오적

 

오적 김지하 분석

오적 김지하 분석 입니다. 


[시상의 흐름(짜임)]
◆ 1 ~ 7행 : 시인으로서의 고발 정신
◆ 8 ~ 20행 : 피폐한 민중들의 삶
◆ 21~34행 : 가난한 민중과 대조적인 오적들의 화려한 삶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