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악장 개념 형식 내용 특징 특성 정리 분석

by 문학정보 2022. 10. 18.
반응형

악장 개념 형식 내용 특징 특성 정리 분석

악장 개념 형식 내용 특징 특성 정리 분석

악장 개념


조선 왕조의 창업과 번영을 송축하기 위해 15세기에 주로 만들어진 궁중 악가(樂歌)이다. 즉 종묘 제향이나 공사 연향(公事宴享)에서 불리워지던 조선 초기의 송축가를 이르는 말이다.

악장 발생 배경 및 발달 과정 

 발생 배경 및 발달 과정
이 태조의 건국 창업을 처음에는 반대도 하고 방관하던 사람들이 국기(國基)가 공고히 다져지고 모든 제도가 정비 개혁되면서부터 차차 조선의 건국과 문물 제도를 찬양하고, 임금의 만수 무강과 자손의 번창을 축원하는 노래를 지어 부르게 되었다.
악장의 창작은 특권층 귀족의 목적성을 띤 문학이었기 때문에, 조선조 초기로 일단락되고 그 이후에는 극히 드물게밖에 작품이 추가되지 않았으며, 성종 때에 이르러 그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악장 형식과 내용 

형식 및 내용
♠ 악장 형식상 특징
① 일정한 형태도 없이, 형태적 · 구조적 다양성을 보인다.
② 순수한 한시로 된 것, 한시 형태에 국문으로 토를 단 것, 우리말의 표현력을 잘 구사한 국문시가로 된 것, 경기체가의 형식을 빈 것, 고려가요류의 여음을 넣은 단형가요의 형태를 취한 것 등 그 형식이 실로 다양하다.
③ 다채로운 언어와 형태를 지닌 작품들이 하나의 장르를 이룬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나, 악장의 경우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들이 공유하는 기능적 특수성의 지배가 예외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그것을 하나의 특이한 갈래로 인정하는 관행이 통용되고 있는 경우이다.
악장 내용상 특징
① 조선 개국의 창업이나 왕업, 조선의 도읍인 한양의 신성함, 조선이 이룩한 문물 제도의 혁혁함을 송축하고 찬양함.
② 천명론(天命論)과 유교적 덕치주의의 이념으로 왕조 건국의 필연성을 강조하면서 개국 시조들을 일종의 문화적 · 도덕적 영웅으로 예찬하는 성향을 보임.
 

악장의 특성


♠ 목적성(조선 왕조의 체제 확립과 유지)을 띤 장르로 문학성이 높지 못함.
♠ 향유층은 귀족이며, 왕권과 체제가 확립됨과 동시에 그 존재 이유가 없어짐으로 인해 일찍 소멸됨.
♠ 정해진 음악에 맞춘 교술장르임.
♠ 작자층은 대부분 조선조의 권신(權臣)들이었으며, 진정한 국민문학으로 성장하기에는 결정적인 취약점을 지님.
♠ 유교적 충의 사상을 그 사상적 배경으로 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