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설시점 거리 갈래 서술자 정의 뜻 특징 정리

by 문학정보 2022. 10. 17.
반응형

소설시점 거리 갈래 서술자 정의 뜻 특징 정리

 

소설시점 거리 갈래 서술자 정의 뜻 특징 정리


서술자


㉠ 작가가 아니라 작가가 만들어 낸 허구적 대리인
㉡ 서사 내용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화자
㉢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의 서술 방식과 효과가 달라짐.
♠ 서술자의 개입 : 서술자가 자신의 입장이나 생각을 드러내는 것
㉠ 인물의 내면 심리 분석 →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이나 심리를 모두 알고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독자는 인물의 심리와 행동을 직접 알 수 있어 작중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
㉡ 서술자의 논평 → 서술자가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는 것이다. 주로 "~하지 않으랴. ~이구나" 등의 의문형이나 감탄형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고전소설에서 보이는 서술 방법이다.
♠ 서술 방식
㉠ 묘사 → 서술자가 장면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 대화 → 인물들의 대사를 보여주는 방법
㉢ 서술 → 서술자가 독자에게 인물, 사건, 배경 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방식
㉣ 요약적 제시 → 서술자가 사건의 중요한 내용만 간추려서 설명해 주는 것
㉤ 특정 인물의 시각에서 서술 → 작품 밖 서술자가 인물의 생각에 초점을 두어 서술하는 방식

 

소설시점


♠ 시점이란?
소설이 진행되는 데 있어, 화자(서술자)가 이야기의 상황을 관찰하는 각도와 위치를 말한다.
♠ 시점의 분류 기준
① 서술자의 위치 : 서술자가 등장인물이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됨.
② 서술자의 태도 :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 속에 들어가 있느냐, 아니면 바깥에서 관찰만 하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됨.
♠ 시점의 종류
① 1인칭 주인공 시점 : 주인공 '나'가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시점
㉠ 작품 속의 '나'가 주인공이자 서술자(화자)이다.
㉡ 주동 인물의 내면 세계를 제시하는 데 효과적이다.
㉢ 독자에게 신뢰감, 친근감을 준다.
㉣ 인물과 독자와의 심리적 거리가 가깝다.
㉤ 서간체 소설, 수기체 소설, 사소설(私小說), 심리소설 등에 주로 쓰인다.
㉥ 예> 이상의 <날개>,   김유정의 <봄봄> 등
② 1인칭 관찰자 시점 : 작품 속에 등장하는 부수적 인물인 '나'가 주인공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점.
㉠ '나'는 관찰자이며 인물의 초점은 주인공에게 있다.
㉡ '나'의 눈에 비친 외부 세계만을 다룰 수 있는 제한이 있다. 
㉢ '나'가 주인공을 직접 묘사하고 그 행동에 대해 언급할 수 있다.
㉣ 주인공의 내면을 숨김으로써 긴장과 경이감을 자아낸다. 
㉤ 예: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동인의 <붉은 산> 등
③ 작가 관찰자 시점 : 서술자가 외부 관찰자의 위치에서 이야기를 서술하는 시점
㉠ 3인칭 관찰자 시점 또는 3인칭 제한적 시점이라고 한다.
㉡ 서술자는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외부적인 사실만을 관찰하고 묘사한다.
㉢ 극적이고 객관적인 특성을 지니며, 판단은 독자에게 맡긴다.
㉣ 현대 사실주의 소설에 많이 쓰인다.
㉤ 예: 김동인의 <감자>,  황순원의 <소나기> 등
④ 전지적 작가 시점 : 작품에 등장하지 않는 서술자가 마치 신처럼 모든 것을 알고 사건을 서술함.
㉠ 서술자가 전지적 위치에서 작중 인물의 심리 상태, 행동의 동기 등을 해석 · 분석하여 서술한다.
㉡ 서술자가 작품에 광범위하게 관여하기 때문에 독자의 상상적 참여가 제한될 우려가 있다.
㉢ 작가의 사상과 인생관이 직접 드러난다.
㉣ 고대 소설과 장편 소설에 많이 쓰인다.
㉤ 예: 김만중의 <구운몽>, 염상섭의 <삼대>, 이광수의 <무정> 등.
 

 

소설 거리 

♠ 거리란 ?
작가(서술자)와 독자, 작가(서술자)와 작중 인물, 작중 인물과 독자 사이의 거리 및 독자와 작품 사이의
심리적 · 미적인 거리로, 이 거리감은 상대적인 것이다.
♠ 거리의 정도
'서술자 - 대상(인물) - 독자'의 관계에서 대상을 중심으로 볼 때, 1인칭 주인공 시점은 '서술자 = 주인공'이므로 서술자와 대상의 거리가 거의 없고, 3인칭 관찰자 시점은 거리가 가장 멀다.  반면, 독자의 입장에서는 대상과 독자의 거리가 1인칭 주인공 시점이 가장 멀고, 3인칭 관찰자 시점이 가장 가깝게 느껴진다.

♠ 길이(분량)에 따라
① 단편소설 
* 200자 원고지 100매 내외의 분량이다.
* 분량이 짧은 만큼 압축의 기교, 기지, 해학 등이 필요하다.
* 단일한 주제, 성격, 사건을 긴밀하게 구성하여 통일된 인상을 준다.
* 인생의 한 단면을 제시하며, 주인공은 평면적 인물이 적합하다.
② 중편소설
* 200자 원고지 300매 내외의 분량이다.
* 단편 소설처럼 구성의 긴밀성을 유지하나, 인물 설정, 주제, 사건의 발전 등은 장편소설과 유사
* 사회와 인간을 전체적으로 그린다.
③ 장편(長篇) 소설
* 서구의 로망(roman), 노블(novel)에 해당하는 것으로, 원고지 1,000매 이상의 분량이다.
* 사회와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그려내므로 규모가 크고 구성이 복잡하다.
* 인간에 대한 통찰, 곧 사상성이 요구되며, 상황에 따라 성격이 변하는 입체적 인물이 적합하다.
* 대하소설 → 한 인물의 성장 과정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포괄적으로 그리거나 한 가족이 세대를 이어서 시대의 변화에 다라 변화해 나가는 대장편 소설
④ 장편(掌篇) 소설
* 가장 짧은 형식의 소설로, 200자 원고지 20~30매 내외의 분량이다.
* 콩트(conte), 엽편(葉篇) 소설이라고도 하며, 아주 작은 이야기를 함축성 있게 표현한다.
* 작가의 뛰어난 기교, 재치, 해학이 매우 필요하다.
♠ 작가의 의도에 따라
① 순수(본격) 소설
* 작품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소설
* 정치적 목적과 교훈성을 배제하고, 예술적 아름다움이나 문학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소설
② 목적소설
* 소설 작품의 효용성, 즉 독자에게 어떠한 교훈이나 도움을 주느냐를 최우선의 목적으로 삼음.
③ 대중(통속) 소설
* 흥미 본위의 소설로, 문학적 가치나 예술적 아름다움은 무시되는 소설이다.
* 대부분 남녀의 사랑을 제재로 한, 질이 낮은 작품들이 많다.
♠ 인물의 묘사 방식에 따라
① 성격 소설 : 인물의 성격 묘사를 주로 한 소설로,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 그리고 외부 관계를 중시함.
② 심리 소설 : 인물의 내면 의식의 흐름을 주로 묘사하는 소설이다.       예> 이상의 <날개>
♠ 작품의 주제나 소재에 따라
① 인물이 활동하는 무대에 따라서 : 시정(市井)소설, 농촌 소설, 해양 소설, 전쟁 소설 등.
② 작품의 쓰임새에 따라서 : 정치 소설, 종교 소설, 과학 소설, 교육 소설, 계몽 소설 등.
③ 작품의 대상에 따라서 : 소년 소설, 성인 소설 등.
④ 특이한 행위나 추리를 보여주는 소설 : 탐정 소설, 추리 소설, 모험 소설 등.
♠ 시대에 따라
① 고대 소설 : 개화기 이전에 쓰여진 소설
② 신소설 : 개화기 이후부터 이광수의 <무정(1917)>이 발표되기 이전까지의 소설
③ 현대 소설 : 이광수의 <무정> 이후부터 쓰여진 소설로, 언문 일치의 문장과 내용과 형식면의 다양성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