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사청사우 김시습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사청사우 김시습
사청사우 김시습 해석 해설
사청사우 김시습 해석 해설입니다.
이 작품은 세상 인심의 변덕스러움을 날씨에 빗대어 읊으면서 세속적인 명리를 초월하여 무위 자연으로 돌아갈 것을 세상 사람들에게 권고하기 위한 의도로 지어졌다. 세상의 인심이란 한결같지 않아 언제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꽃과 구름을 대하는 봄날과 산처럼 외부의 변화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욕심을 버리고 순리대로 유유히 살아간다면 오히려 은근한 생의 즐거움이 있다고 충언하고 있다. 한편 마지막 구절은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끝없이 무엇인가를 찾아 떠돌아다니는 작가 자신의 처지를 자조적으로 말하면서, 세상 사람들에게 현실의 처지에 만족하라고 권유하는 것이라 하겠다.
* 꽃이 피고 지는 것, 구름 가고 오는 것 → 변덕스런 외적 상황
* 봄이 어찌 관장했으며, 산은 다투지 않네 → 의연한 자연의 모습
사청사우 김시습 내용 요약
사청사우 김시습 내용 요약 입니다.
사청사우(乍晴乍雨) -김시습-
乍晴還雨雨還晴(사청환우우환청)
天道猶然況世情(천도유연황세정)
譽我便是還毁我(예아변시환훼아)
逃名却自爲求名(도명각자위구명)
花開花謝春何管(화개화사춘하관)
雲去雲來山不爭(운거운래산부쟁)
寄語世人須記認(기어세인수기인)
取歡無處得平生(취환무처득평생)
언뜻 개었다가 다시 비가 오고 비 오다가 다시 개니
하늘의 도도 그러하거늘, 하물며 세상 인정이랴.
나를 칭찬하다가 문득 돌이켜 나를 헐뜯고
공명을 피하더니 도리어 스스로 공명을 구하는 것이 되네.
꽃이 피고 지는 것을 봄이 어찌 관장했으며
구름 가고 오는 것을 산은 다투지 않네.
세상 사람들에게 말하노니, 반드시 기억해 알아 두라.
기쁨을 취하려 한들, 어디에서인들 평생 얻을 수는 없다는 것을.
사청사우 김시습 특징 주제
사청사우 김시습 배경 특징 입니다.
◆형식 및 갈래 : 한시(7언 율시), 풍자시
◆특성
* 대구적 표현을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 자연 현상(변화무쌍한 날씨)에 빗대어 인간사를 설명함.
* 세상 사람을 청자로 설정하여 주제의식을 드러냄.
* 욕망을 버리고 순리대로 살 것을 깨우침.
* 제목은 '날이 개었다 비 내렸다 하는데~'의 뜻임.
◆구성
* 수련 : 날씨처럼 변덕스런 세상의 이치
* 함련 : 변덕스러운 인간사
* 경련 : 변화에 의연하게 대처하는 자연
*미련 : 순리에 따라 욕망을 버리고 살 것을 경계함.
◆주제 : 변덕스러운 인간 세상에 대한 비판과 순리대로 사는 삶
사청사우 김시습 분석
사청사우 김시습 분석 입니다.
[ 참고 ]
◆감상을 위한 읽을거리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이 생산한 산물을 먹고 자연 속에서 살다가 자연 속으로 간다. 이런 면에서 인간과 자연은 하나다. 아니, 자연은 부모요 인간은 자식이다. 뿐만 아니라 자연은 인간에게 정신적 가치의 영감(靈感)까지 제공한다. 도잠은 사시(四時)에서 동령수고송(冬嶺秀孤松)이라고 노래한다. 즉, 추운 겨울 고개에 홀로 남은 소나무는 그 기상이 더욱 뛰어나 보인다는 것이다.
진정 바르고 가치 있는 것을 위해서는, 어떠한 어려움과 위협도 감수하고 이겨내는 강인한 정신력과 일관성을 겨울 추위에 홀로 남아 푸른빛을 잃지 않는 소나무에서 보고 있는 것이다. 한 사회가 건전하려면 지조를 지키는 사람이 많아야 한다. 지조를 잃어 버린 사람과 그들이 구성하는 사회의 말로는 혼란과 멸망이 있을 뿐이다.
이 시의 작가 김시습은 지조를 지킨 삶을 산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소위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다. 김시습은 그의 나이 20세 전후에 패륜을 목격한 것이다. 삼촌인 세조가 조카인 단종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사건을 말이다. 물론 이 사건을 두고 당시의 정치적 상황론으로 다른 각도의 설명과 해설을 붙여 정치적 이해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방법만이 당시의 유일한 대안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것은 분명 반인륜이고 패륜임이 분명한 것이었다.
이러한 충격적인 사건이 어린 김시습으로 하여금 자신의 출세만을 위한 정상적 삶을 불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사실 그는 당시 신동으로 알려졌을 뿐 아니라 과거 준비에 열중하고 있었다. 그는 세조의 왕위 찬탈의 소식을 듣고 바로 과거 준비를 중지하고 출가하여 전국을 떠도는 삶을 산 것이다.
이 시에서 우리는 이러한 김시습의 내면을 엿볼 수 있다. 즉 당시의 정치와 인간성에 대한 불신과 냉소의 정서를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먼저 1, 2행은 이러한 패륜을 목격하고 가치관의 혼란에 빠진 김시습의 떠도는 삶의 현장이다. 무대는 산이다. 산길을 걷는 도중일 수도 있고, 어느 절이나 암자일 수도 있다. 날씨는 비가 내렸다 그쳤다 하는 변덕스런 날씨다. 바로 이것이다. 김시습이 이 시를 짓게 한 것은 이 날씨의 변덕인 것이다. 그는 이것을 이 시의 첫 구절로 삼고, 제목으로도 삼았다. 즉 인간이 변하지 않는 진리로 크게 믿는 천도, 즉 자연의 법칙까지도 변덕스럽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어서 3, 4행에서 그는 자신이 겪은 변덕스런 사람들의 인심을 예를 들어 소개하고 있다. 즉, 지조와 원칙을 내세우던 사람들도 입장이 바뀌거나 이해관계가 달라지게 되면 자신을 칭찬하던 사람이 더 심하게 욕을 하게 되고, 명예를 마다하던 사람이 도리어 명예를 탐하는 변덕을 보았다고 진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5, 6행에서는 대자연의 질서는 변치 않음을 보여준다. 즉, 꽃이 피고 지게 하는 대자연의 시간 운영과 구름을 오가게 하는 자연의 섭리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바람과 구름, 산과 꽃은 이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며 살아간다는 것이다.
마지막 7, 8행에서 작가는 변덕스런 인간세계의 법칙과 큰 질서에 의해 움직이는 자연스런 자연 세계를 대조시키며, 우리가 어느 세계의 질서에 따라 사는 것이 행복하겠느냐고 묻고 있는 것이다. 즉, 여기서도 그는 인간의 세계는 이해 관계가 지배하는 변덕스런 곳이며, 이해 관계의 변화에 따라 인간의 행동도 달라지는 곳이니 너무 집착해서 살 곳이 못 됨을 알려주고 있다. 즉, 인간 세상에서의 삶은 늘 인심의 변화와 추이를 살피며 살아야 하는 피곤한 곳임을 알아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자연의 세계는 변덕과 배신이 없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곳임을 암시하고 있다.
그렇다. 여기서 김시습이 희구하는 인간 세계의 질서란 변덕 없고 일관성 있는 평화로운 세계, 꽃은 꽃대로 산은 산대로 구름은 구름대로 스스로의 속성대로 자유로이 살아가는 자연과 같은 삶임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