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박종화 아랑의 정조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박종화 아랑의 정조
박종화 아랑의 정조 해설
박종화 아랑의 정조 해석 해설입니다. 1937년 <문장>에 발표된 단편 소설. <삼국사기>의 ‘열전(列傳)’에 기록된 [도미전(都彌傳)]에서 취재한 것으로, 백제의 개루왕이 도미의 아내를 탐냈으나 그녀는 절개가 굳어 끝내 마다한다는 내용을 골격으로 하고 있다.
박종화 아랑의 정조 주제
박종화 아랑의 정조 주제 뜻 정리 입니다.
◎ 주제 : 아랑의 절개
◎ 구성
발단 - 도미와 아랑의 행복한 생활
전개 - 아랑의 소문을 들은 개루가 아랑의 절개를 시험하나 아랑은 기지로써 물리침.
위기 - 도미는 장님이 되어 쫓겨나고 아랑은 대궐로 잡혀감.
절정 - 아랑은 위기를 모면하고 대궐을 탈출함.
결말 - 아랑은 눈먼 도미와 함께 고구려로 피신함.
등장 인물
◎ 도미 : 백제 개루왕 때의 목수. 순박하고 선량한 인물
◎ 아랑 : 도미의 아내. 아름답고 절개가 곧은 여인으로 기지(奇智)를 발휘하여 개루왕의 위협에 대처, 절개를 지킨다.
◎ 개루 : 백제의 왕으로, 정치는 잘 하였으나 여색(女色)을 탐한다.
박종화 아랑의 정조 줄거리
박종화 아랑의 정조 줄거리 입니다.
아랑은 백제 개루왕 때 목수인 도미의 아내다. 아랑은 부드러우면서도 기품이 드러나는 아름다움을 지녀 백제의 서울에서 제일가는 미인으로 불렸고, 그들은 서로 사랑하며 행복하게 지냈다. 아랑에 대한 소문은 신라와 고구려 사람의 입에까지 오르내리게 된다. 개루왕은 나라의 정사(政事)는 잘 다스렸으나 여색(女色)을 좋아하는 임금이었는데, 아랑이 어여쁘다는 소문을 듣고 마음이 움직여 사자(使者)를 도미의 집으로 보내어 아랑을 청한다.
그러나 아랑은 남편이 있는 계집의 몸이라는 이유로 거절한다. 이에, 개루왕은 도미를 불러 아랑의 정조를 시험해 보자는 내기를 한다. 개루는 시종을 거느리고 도미의 집을 방문하여 아랑을 위협하여 정조를 꺾으려 한다. 그러나 아랑은 불을 끄게 한 다음 옆집 홀어미인 부전이를 단장시켜 침실로 들여보내 위기를 모면한다. 이튿날, 이 사실을 알고 크게 노한 개루는 도미의 두 눈알을 뽑아 강물에 버리고 대궐에서 내쫓는다. 아랑은 피신하다 개루의 군사에게 붙잡혀 대궐로 끌려간다. 아랑은 꾀를 내어 달거리로 몸이 불결하다는 핑계로 몸을 보전하다가 이레째 되는 날 밤 개루가 잠든 틈을 타 병부를 훔쳐 대궐을 탈출한다. 그 후 도미의 소식을 탐문하여 헤매다가 장님 거지가 된 도미를 만나 고구려 땅으로 도망친다.
박종화 아랑의 정조 배경 특징
박종화 아랑의 정조 배경 특징 입니다.
다만, 도미의 아내에게 ‘아랑’이라는 이름을 주고 새롭게 성격화한 작품이다. 역사상의 실제 배경과 인물 및 사건을 소재로 하여 문학적 창의성을 가미한 것을 역사 소설이라 한다. 역사 소설은 역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는 하나, 그것이 작가의 창의력에 의해 허구화된 것이기 때문에 역사의 기록과는 구별된다. 뒷날 역사 소설가로서 명성을 지녔던 박종화는 초기에 <백조> 동인으로서 낭만주의적 문학을 지향했다.
이광수의 문학이 민족을 계몽하고 설교하는 목적성을 지니고 있는 데 반하여, <백조>파는 ‘문학은 오직 그것 자체로서 독자적 존재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그 본질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데 있다.’고 하면서 어느 정도 예술 지상주의적인 편향까지도 들고나섰다. 이러한 <백조>파의 문학적 성격이 박종화에게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의 문학은 비록 역사 소설에 중심을 둔 민족주의를 근간으로 하고 있지만, 작가적 생리에 있어서 그러한 낭만성은 일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황진이의 역천(逆天)”, “아랑의 정조”는 그의 단편 중에서 낭만적인 경향이 짙게 표현된 작품이다. 특히, 이 소설에서 아랑과 도미라는 부부 사이에 절대적 권력자인 개루왕을 등장시킴으로써, 현실적인 리얼리티보다는 부부의 애정을 지극히 이상적인 세계에까지 승화시키고자 하는 그의 낭만적인 태도가 설화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박종화 아랑의 정조 분석
박종화 아랑의 정조 분석 입니다.
◎ 갈래 : 단편 소설, 역사 소설
◎ 배경 : 시간(백제 개루왕 때) / 공간(한강 유역)
◎ 경향 : 설화적, 낭만주의적
◎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