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박인로 누항사 해석 해설 주제 감상 특징 분석

by 문학정보 2022. 8.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박인로 누항사 에 관련 문학 정보를 알려드릴께요.

 

 

박인로 누항사

박인로 누항사

 

 

박인로 누항사 해설

박인로 누항사 해설입니다. 저자가 임진왜란이 끝난 후 고향에 돌아와 생활하고 있을 때 한음 이덕형이 찾아와 누각생활의 어려움을 묻자 자신의 곤궁한 생활상과 안빈·낙도하는 심정을 답한 작품이라고 전합니다. 한음이 노계의 고생한 생활상을 물었을 때 가난하지만 원망하지 않고 안빈·낙도하는 심회와 생활상을 읊은 작품으로 내용은 임진왜란을 겪으며 곤궁한 생활을 하고 있지만 가난을 원망하지 않고 길을 즐기는 장부의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웃집에 농우를 얻으려다 뜻대로 되지 않아 돌아와 세상일에 대한 체념 심회를 읊는가 하면, 속세의 물욕을 떠나 청풍명월과 벗삼아 대자연과 함께 한가롭게 살아보자는 초월적인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박인로 누항사 주제

박인로 누항사 주제 입니다. 박인로 누항사 의 주제는 누각에 묻혀 빈집을 구해요. 초야에 묻혀 사는 선비의 고난의 생활과 현실의 부조화, 자연을 즐기는 풍류생활, 안빈·낙도의 경지입니다.

 

박인로 누항사 감상

박인로 누항사 핵심 정리 입니다. 이러한 작품의 내용은 사대부의 소외되고 어려운 처지를 직시하고 현실 생활의 가난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조선 전기 가사가 보여준 자연 완상의 세계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누항이란 논어에 나오는 말로 가난한 삶 속에서도 학문을 닦으면서 길을 추구하는 즐거움을 즐기는 공간을 말할 때 많이 쓰입니다. 이 시는 제목부터 가난하지도 원망하지도 않는 가난하지도 무원의 경지나 자연을 벗 삼아 안빈악도를 알려줍니다. 이 점에서 이 작품은 당대 산림에 묻힌 선비들의 고난의 생활과 현실의 부조화를 직접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동안 가사에 등장하지 않았던 일상생활 언어를 대폭 수용해 생동감과 구체성을 획득하는 탁월성을 보였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작품은 자연스럽게 숨기면서도 현실 세계의 어려움을 직시하고 그것을 사실적으로 그렸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즉, 사대부와의 관계에서는 어려운 한문어구를 상징적으로 쓰면서도 농민에게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을 감안하여 일상 언어를 대폭 사용하여 구체적이고 절실하게 묘사함으로써 가사문학에 현실인식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되며, 특히 그동안 나타나지 않았던 일상생활의 언어를 대폭 등장시켜 생동감과 구체성을 배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박인로 누항사 특징

박인로 누항사 특징 입니다. 

 대구법, 설의법, 과장법, 열거법이 사용되었고, 자신의 궁핍한 생활을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형상화했고, 농촌의 일상 생활과 관련된 시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어려운 한자어들이 많이 쓰였고, 고상한 삶의 목표와 현실적인 문제 사이의 갈등이 담겨 있다.빈궁한 삶  현실적 제약  시적화자  갈등  안빈낙도 추구  이상적인 삶의 목표

 

박인로 누항사 분석

박인로 누항사 분석 입니다. 

 갈래: 가사, 은일가사
 문체: 가사체. 운문체
 성격: 전원적, 사색적, 한정가
제재: 빈이무원의 삶
구성: 서사, 본사, 결사의 3단으로 4음보의 연속체
 서사  길흉 화복을 하늘에 맡기고 안빈 일념으로 살려는 심정
 본사 1  충성심으로 백전 고투했던 왜란의 회상
 본사 2  전란 후 돌아와 몸소 농사를 지음
 본사 3  농사를 지으려 하니 농우가 없어, 농우를 빌리러 감
 본사 4  농우를 빌리러 갔다가 수모를 당하고 돌아옴
 본사 5  집에 돌아와 야박한 세태를 한탄하며 춘경을 포기함
 결사 1  자연을 벗 삼으면서 절로 늙기를 소망함
 결사 2  빈이무원하고 단사표음을 만족하게 여기면서 충효와 화형제·신붕우에 힘 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