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극 개념과 가면극 탈춤 개념 전승 성격 특성 정리
민속극 개념
* 가장한 배우가 몸짓 · 노래 · 재담으로써 일정한 사건을 표현하는 전승 형태
* 민속극은 민중이 그때 그때 처한 사회 전반의 객관적 의의와 한계를 올바르게 이해함으로써 공동체의 발전 과정을 보편적 민중사의 발전에 연결, 참여하는 속에서 창조되는 민중 예술의 총체이다.
판소리의 창극화 가면극(탈춤)에 대하여
가면극 개념
가면극은 배우가 가면(탈)을 쓰고 하는 연극이다. 전 과정의 흐름이 춤으로 점철되므로 탈춤이라고도 부르는 전통극이며 민속극이다.
가면극의 전승
① 농촌탈춤
* 공연의 주체는 마을의 '두레' 조직원들이며, 공연 장소는 마을 전체가 되며, 공연 과정은 길놀이(앞놀이), 판놀이, 뒤풀이의 순으로 이어진다.
* 두레는 계의 시원으로서 고대사회에서의 공동 노동 단체이며, 단순 협업을 위한 생산분배이자 분배 공동체이고 제사공동체이자 연희공동체이다. 예) 강릉 관노 놀이, 하회 별신굿 놀이, 북청 사자 놀음 등.
② 도시탈춤
* 배경 : 18세기 이후 도시의 대두 및 근대적 초기 자본주의 사회의 형성
* 현재 전해지는 모습은 대부분 도시탈춤형이라고 할 수 있다.
* 예 : 산대놀이, 해서지방의 탈춤, 영남 지방의 오광대와 야유
가면극의 성격
① 연행성
② 주술성 → 자연 재해를 물리쳐 삶의 안녕과 풍요로움을 맞이하는 주술적인 굿, 인간사회의 비정상성을 공격하여 정상을 되찾는 현실 비판적인 연극
③ 유형성 → 탈의 형상은 개별 인물의 성격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성격도 반영됨.
④ 희화성 → 변형, 과장, 축소, 왜곡이 심해 강렬한 표현성을 지님. 겉웃음의 희화화 속에는 한, 통, 눈물, 체념이 숨어 있음.
가면극의 특성
① 가면극에는 무대 장치가 없기 때문에 극중 시간과 공간을 자유롭게 선택, 변화시킬 수 있으며, 두 개의 사건을 한 무대에서 보여 줄 수 있음.
② 관중이나 악사는 방관자적인 제3자가 아니라, 극에 개입함으로써 극적 환상이 차단되고 현실적 비판이 선명해짐.
③ 대사는 말과 노래가 섞여 있고, 무언극처럼 몸짓과 춤이 의미 전달의 주요 수단이 되기도 함.
④ 언어는 일상적 구어를 기조로 하고, 때때로 관용적인 한문구를 빌려 쓰며, 신랄한 비어(卑語)와 재담을 거리낌없이 구사함.
⑤ 봉건적 질서에서 벗어나려는 하층민의 욕구가 담겨 있음.
댓글